각시붕어
개요
잉어목 잉어과에 속하는 어류이다. 몸 길이는 4-5cm로 몸통은 옆으로 납작하고 높이는 비교적 높지 않다. 아래턱은 위턱보다 약간 짧으며 수염은 없다. 눈은 비교적 크며 머리의 옆면 가운데보다 약간 위에 위치한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뒤쪽 가장자리는 다소 둥글며 꼬리지느러미 뒤쪽은 깊게 파였다. 성숙한 수컷의 주둥이에는 돌기가 발달한다. 산란기가 되면 암컷에서는 회갈색의 산란관이 길게 발달한다. 몸의 등쪽은 청갈색을 띠고 배쪽은 담황색이다. 아가미뚜껑에 암청색 점이 있고, 뒤쪽에 두꺼운 청색 띠가 세로로 나 있다. 몸 옆구리의 가운데에는 청색의 띠가 시작하여 뒤로 갈수록 굵어진다. 산란기의 수컷에서는 아가미 뒤쪽에는 진한 분홍색, 머리 아래쪽, 가슴, 복부의 앞쪽은 진한 노란색이 나타난다. 지느러미들 색깔은 노란색, 분홍색, 주황색 등으로 화려해진다. 하천 중, 하류의 흐름이 느리고 수초가 많은 지역에서 발견되며, 수초나 돌 위에 붙어있는 부착조류나 미세한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는다. 산란철은 5~6월로 서식처의 바닥에 사는 조개의 아가미실에 산란한다.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에 주로 분포하는 고유종이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형태
몸은 장타원형이며 옆으로 매우 납작하며 체고가 비교적 높다. 아가미 뒤에 작은 암청색 반점이 있고 등지느러미 아래에서 꼬리까지 청색 줄무늬가 있고 꼬리지느러미 중앙부에는 붉은 줄무늬로 이어진다. 크기는 4~5cm이다. [1]
등지느러미 연조수 iii 8~9, 뒷지느러미 연조수 iii 8~10, 종렬비늘수 32~34. 입은 주둥이 아래쪽에 있고 수염은 없다. 눈은 비교적 크고 머리 옆면 중앙보다 위쪽에 있다. 측선은 불완전해서 3~4번째 비늘까지 개공되었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후연은 약간 둥글게 되었고 꼬리지느러미 중앙은 안쪽으로 깊이 파이었다. 산란기가 되면 암컷 항문 뒤쪽에 긴 산란관이 나온다. 살아 있을때 몸 등쪽은 청갈색을 띠고 복부는 담황색 또는 회색을 띤다. 아가미 구멍 후방에 동공크기의 암청색 둥근점이 있고 등지느러미 기점 아래 체측 중앙에서 꼬리지느러미 기부까지 암청색의 띠가 이어진다. [2]
몸은 옆으로 납작하고 높이는 비교적 높지 않다. 아래턱은 위턱보다 약간 짧으며 수염은 없다. 눈은 비교적 크며 머리의 옆면 가운데보다 약간 위에 위치한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뒤쪽 가장자리는 다소 둥글며 꼬리지느러미 뒤쪽은 깊게 파였다. 성숙한 수컷의 주둥이에는 돌기가 발달한다. 산란기가 되면 암컷에서는 회갈색의 산란관이 길게 발달한다. 몸의 등쪽은 청갈색을 띠고 배쪽은 담황색이다. 아가미뚜껑에 암청색 점이 있고, 뒤쪽에 두꺼운 청색 띠가 세로로 나 있다. 몸 옆구리의 가운데에는 청색의 띠가 시작하여 뒤로 갈수록 굵어진다. 산란기의 수컷에서는 아가미 뒤쪽에는 진한 분홍색, 머리 아래쪽, 가슴, 복부의 앞쪽은 진한 노란색이 나타난다. 지느러미들 색깔은 노란색, 분홍색, 주황색 등으로 화려해진다. [3]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분포
한강, 금강, 만경강, 동진강,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 태화강, 형산강 [3]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각 하천 [1]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경상남북도; 한강, 금강, 영산강, 낙동강; 북한 예성강 [2]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생태
수초나 돌 위에 붙어있는 부착조류나 미세한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는다. 산란철은 5~6월로 서식처의 바닥에 사는 조개의 아가미실에 산란한다. [4]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해설
본 종은 Mori(1935)가 서울에서 채집된 체장 49mm의 암컷 개체를 기준으로 신종으로 보고하였으며 수원, 해남, 부산에서도 채집하였다고 기록하였다. 內田(1939)는 Acanthorhodeus atremius와 본 종이 거의 구별하가 어려울 정도로 유사하여 독립종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한가라는 의문을 제기하였으며, Pseudoperilampus notatus와도 매우 복잡한 유사관계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Kim(1982)은 납자루아과 어류의 분류학적 관계를 논하면서 본 종을 Rhodeus속으로 하는 한편 본 종이 Pseudoperilampus lighti의 동종이명이라고 한 Wu(1965)에 반하여 체고와 반문이 다르기 때문에 P. lighti와는 별종으로 간주하였다.
본 종의 분포는 과거에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에 한정되어 있었으나(정, 1977; 김, 1997), 동해로 흐르는 태화강(최, 1983; 강과 김, 1998; 장 등, 2001)과 형산강(최, 1990)에서도 출현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 중 최(1983, 1990)는 태화강의 각시붕어는 물금에서 송수관을 통하여 이입되었으며, 형산강의 각시붕어는 영천댐에서 형산강으로 물을 수송하는 송수관을 따라 도입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영천댐의 담수지역은 원래 각시붕어가 살지 않는 상류지역이어서 금호강에서 형산강으로 옮겨갔을 것이라는 추정은 설득력이 없다. 따라서 태화강과 형산강에 서식하는 각시붕어에 대해서는 원래 서식하고 있었던 것인지 미지의 경로를 통해 도입된 것인지에 대해서는 앞으로 정밀한 조사를 필요로 한다. [3]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2010),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자료집
[2]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고유종특성평가및총람발간
[3] 국립생물자원관(2009), 한반도생물자원포털
[4]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국가생물종목록
분포지도
번호 | 자원번호 | 자원유형 | 채집지 | 채집일 |
---|---|---|---|---|
1 | NNIBR-P363 | 액침 |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반월리 77−22 | 2013-08-30 |
2 | NNIBR-P1320 | 액침 |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천담리 78 | 2013-08-30 |
3 | NNIBR-P1321 | 액침 |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천담리 78 | 2013-08-30 |
4 | NNIBR-P1322 | 액침 |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천담리 78 | 2013-08-30 |
5 | NNIBR-P1323 | 액침 |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천담리 78 | 2013-08-30 |
6 | NNIBR-P1324 | 액침 |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천담리 78 | 2013-08-30 |
7 | NNIBR-P1325 | 액침 |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천담리 78 | 2013-08-30 |
8 | NNIBR-P2341 | 액침 |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인천리 327−4 | 2017-07-19 |
9 | NNIBR-P2406 | 액침 | 경상북도 고령군 고령읍 외리 67 | 2017-07-13 |
10 | NNIBR-P3915 | 액침 | 충청남도 청양군 장평면 구룡리 390−1 | 2016-08-20 |
11 | NNIBR-P3916 | 액침 | 충청남도 청양군 장평면 구룡리 390−1 | 2016-08-20 |
12 | NNIBR-P6526 | 액침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 107 | 2015-05-12 |
13 | NNIBR-P6569 | 액침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기산리 1110−1 | 2015-05-12 |
14 | NNIBR-P6611 | 액침 |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효갈리 815−3 | 2015-05-12 |
15 | NNIBR-P6943 | 액침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1803 | 2017-08-31 |
16 | NNIBR-P6944 | 액침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1803 | 2017-08-31 |
17 | NNIBR-P6945 | 액침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1803 | 2017-08-31 |
18 | NNIBR-P6946 | 액침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1803 | 2017-08-31 |
19 | NNIBR-P6947 | 액침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1803 | 2017-08-31 |
20 | NNIBR-P6948 | 액침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1803 | 2017-08-31 |
배양체
은행번호 | 학명,국명 | 분류군 | Strain no. | 동정자 | 채집정보 | 배양조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배지 | 온도 | pH | 산소요구성 | 광도 | 명암주기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추출물
은행번호 | 학명,국명 | 채집지정보 | 제작정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추출용매 | 추출방법 | 추출부위 | 농도(mg/ml) | 제조일 | 제작자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조직
조직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채집일 | 채집지 | 조직부위 | 보존방법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DNA
DNA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채집일 | 채집지 | 보존액 | 농도(ng/ul) | 순도(260/280) | 용량(ul)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유전정보 번호 | 자원번호 | 분류군 | 학명,국명 | Strain no. | 프라이머셋명 | 근연종 | 유사도 (%) | 상세보기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종류 | |
---|---|
NCBI | |
유전자서열 |
유용성번호 | 자원번호/은행자원번호 | 분류군 | 학명,국명 | 유용성분야 | 유용성실험 | 상세보기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유전정보
유용성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