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담수생물다양성
  • HOME
  • 담수생물다양성

종 상세정보

떡납줄갱이

<i>Rhodeus</i> <i>notatus</i> Nichols, 1929
  • 학명
    Rhodeus notatus Nichols, 1929
  • 분류체계
    척삭동물문 > 조기강 > 잉어목 > 잉어과 > 납줄개속 > 떡납줄갱이
  • 일반분류군
    어류
  • 지정관리
    국외반출승인대상종
  • 자원정보
    (20점)
  • 분양정보
    (0점)
  • 유전정보
    (0점)
  • 유용성정보
    (0점)

떡납줄갱이 Rhodeus notatus Nichols, 1929

공공누리
다운로드
원본 이미지가 필요하신 분은digitalspecimen@nnibr.re.kr 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섬네일
  • 섬네일
  • 섬네일
  • 섬네일
  • 섬네일

종정보

  • 개요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에 주로 분포하는 소형 담수어로, 몸길이 5cm 정도이다. 하천 중, 하류의 흐름이 느리고 수초가 많은 지역에서 산다. 산란철은 4~7월로 서식처의 바닥에 사는 조개의 아가미실에 산란한다. 염색체수는 2n=46이다(김, 1997).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 형태

    체장은 3~5cm이며, 체형은 좌우로 납작하지만 체고는 높지 않다. 등지느러미 기조수 12~13개, 뒷지느러미 기조수 12~13개, 새파수 5~7개, 종열비늘수 32~33개 및 척추골수 32~34개다(김 1997). 머리와 입은 작고, 주둥이는 앞으로 돌출되었다. 옆줄은 불완전해 4번째 비늘까지만 구멍이 나 있다. 암컷의 산란관은 매우 가늘다. 등 쪽은 담갈색이고, 아가미덮개의 뒤쪽 위에 작은 암색 반점이 있으며, 몸의 중앙에는 아가미덮개의 끝과 등지느러미 기점의 중간 지점에서 시작되는 진한 암청색 세로줄이 있다. 등지느러미 앞쪽에는 작은 흰색 반점과 커다란 흑색 반점이 있으며, 앞쪽 가장자리는 붉은색이다. 뒷지느러미 가장자리를 따라 폭이 좁은 검은색 띠가 나타나고 그 안쪽에는 조금 넓은 붉은색 띠가 나타난다. 산란기 수컷의 눈 위쪽은 붉은색이다. [1]
    몸은 장타원형으로 옆으로 납작하고 체고는 낮다. 측선은 불완전하며 처음 4번째 비늘까지만 측선공(측선구멍)이 있다. 입은 작고 수엽은 없다. 등지느러미 기점 전방에서 꼬리부분까지 이르는 체측 중앙부에 암청색의 세로줄이 있다. 크기는 약 5cm이다. [2]
    등지느러미 기조수는 iii,9~10, 뒷지느러미 기조수는 iii,9~10, 종렬비늘수는 32~33, 척추골수는 32~34. 몸은 옆으로 납작하고 체고는 낮다. 측선은 불완전하며 4번째의 비늘까지 구멍이 있다. 입은 작고 주둥이 아래쪽에 있으며 수염은 없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가장자리는 다소 둥글며 꼬리지느러미 뒤쪽은 깊게 파였다. 성숙한 수컷의 주둥이에는 추성이 발달하여 추성반을 이루며 눈과 콧구멍 사이에도 추성이 있다. 산란철이 되면 암컷에서는 산란관이 길게 발달한다. 몸의 등쪽은 연한 갈색을 띠고 배쪽은 담회색이다. 아가미뚜껑의 후상단부에 동공크기의 청색 점이 있고 3개쯤의 비늘 뒤에는 눈 크기 정도의 불분명한 검은 점이 있다. 몸 옆구리의 가운데에는 등지느러미 시작점과 아가미뚜껑 뒤끝의 가운데 지점에서 청색의 띠가 시작하여 뒤로 갈수록 굵어지며 꼬리지느러미 기부에서 끝난다. 산란철의 수컷에서는 복부 아랫부분이 검게 변하며, 눈의 위쪽 부분, 입술, 등지느러미 위쪽, 뒷지느러미 가장자리에 붉은 색 또는 분홍색이 나타난다. 암컷의 등지느러미 앞쪽 가운데에는 검은 점이 명료하게 나타나나 수컷에서는 약하게 보인다. 꼬리지느러미 기부의 가운데와 꼬리자루 끝부분에 약간 검은 띠와 점이 있다. [3]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 분포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에 분포한다. 주로 서해로 흐르는 하천에 폭넓게 분포한다(환경부 1997-2009). [1]
    대동강, 한강, 금강, 만경강,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 [3]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각 하천의 저수지 [2]
    중국에 서식한다(Uchida 1939, 김 1997). [1]
    중국 [2]
    중국의 산둥 반도 일대 [3]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 생태

    유속이 완만한 하천이나 저수지의 수초가 많은 지역에 무리 지어 서식한다. 잡식성으로 플랑크톤, 유기물 등을 먹는다. 산란기는 4~6월이며, 조개의 아가미 안에 산란관을 이용해 산란한다. 알은 서양배 모양으로 평균 장경 3.58mm, 단경 1.17mm이며, 수정란은 약 22℃에서 약 40시간 만에 전장 4.0~4.4mm로 부화하고, 부화 후 19~20일경에 전장 8.8~9.0mm로 성장하며 조개로부터 빠져 나온다(Suzuki and Jeon 1988). 1년이면 성숙하며 이듬해 봄에 산란에 참여한다.
    산란기에 수컷은 이매패를 중심으로 세력권을 형성하며 암컷을 유인해 이매패의 아가미 안에 산란한다.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 해설

    동해로 흐르는 하천을 제외한 전국의 하천, 저수지 등에 서식하는 잉어과의 소형 어류다. 유속이 느리고 수초가 많은 곳을 선호하며, 식성은 잡식성이다. 이매패의 아가미 안에 산란한다. 개체군 보호를 위해서는 하천 환경뿐만 아니라 산란숙주조개의 보호도 함께 필요하다.
    Mori(1935)는 수원과 전주에서 채집한 개체를 대상으로 Pseudoperilampus suigensis로 기재해 발표했다. 이후 Kim(1982)은 Rhodeus suigensisR. notatus의 동종이명으로 간주했다.
    하천 개수, 수질 변화 등으로 서식지가 감소하고 있다. 보호를 위해서는 산란숙주조개도 함께 보호해야 한다.
    멸종위기 평가 결과: LC
    하천 개수, 수환경 변화 등으로 인해 산란숙주조개 서식지가 점차 감소하고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1]
    Mori(1935)는 본 종을 수원에서 채집한 표본을 기준으로 Pseudoperilampus suigensis라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김(1982)은 Nichols(1929)가 중국 산둥 반도의 濟南에서 채집한 6개체의 표본을 근거로 기재 발표한 Rhodeus notatus의 원기재 내용과 그림은 한국산 P. suigensis의 표본과 잘 일치하며, P. suigensis의 기재상의 문제로 중국산 R. notatus의 표본과 비교검토가 없었으므로 P. suigensisR. notatus의 동종이명이라고 하였다. 또한 Wu(1964)는 R. notatusR. sinensis의 동종이명으로 취급하고 있으나 체고, 종렬비늘수, 몸옆 중앙부의 띠 모양, 암컷의 산란관 모양 등이 아주 상이하므로 R. notatusR. sinensis와는 구분되는 별종으로 취급한다고 하였다(김, 1982). Choi(1976)는 Rhodeus atremius가 우리나라에도 출현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나, 이 종은 체장/체고비가 비교적 높은 편이어서 R. notatus와는 잘 구분된다고 하였다(김, 1997). 한편 Suzuki and Jeon(1988)은 안성천과 발안천 납줄갱이(R. suigensis)의 난발생과 성장에 관하여 보고하면서 R. atremius, R. uyekii, R. notatus는 서로 근사종이어서 아종의 수준에 있는 것이라고 하였다. 최근에는 전 세계의 어류를 정리하는 인터넷 홈페이지인 Fish Base에서는 R. notatusR. ocellatus ocellatus의 동종이명이며 우리나라의 본 종에 대해서는 R. suigensis로 취급하고 있다(http://www.fishbase.org). 따라서 이들 유사종들에 대해서는 분류학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므로 형태적, 발생학적, 유전학적인 정밀 조사가 필요하다. [3]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 출처

  • [1]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집
    [2] 국립생물자원관(2010),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자료집
    [3] 국립생물자원관(2009),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국가생물종목록

분포지도

자원정보

번호, 자원번호, 채집지, 채집환경, 채집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번호 자원번호 자원유형 채집지 채집일
1 NNIBR-P4164 액침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옥성리 13−1 2016-08-21
2 NNIBR-P4234 액침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 274 2016-11-10
3 NNIBR-P4235 액침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 274 2016-11-10
4 NNIBR-P4236 액침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 274 2016-11-10
5 NNIBR-P4237 액침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 274 2016-11-10
6 NNIBR-P4238 액침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 274 2016-11-10
7 NNIBR-P4239 액침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 274 2016-11-10
8 NNIBR-P4240 액침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 274 2016-11-10
9 NNIBR-P4241 액침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 274 2016-11-10
10 NNIBR-P4242 액침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 274 2016-11-10
11 NNIBR-P4243 액침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 274 2016-11-10
12 NNIBR-P4244 액침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 274 2016-11-10
13 NNIBR-P4245 액침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 274 2016-11-10
14 NNIBR-P4246 액침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 274 2016-11-10
15 NNIBR-P4247 액침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 274 2016-11-10
16 NNIBR-P4248 액침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 274 2016-11-10
17 NNIBR-P4249 액침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 274 2016-11-10
18 NNIBR-P4250 액침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 274 2016-11-10
19 NNIBR-P4251 액침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 274 2016-11-10
20 NNIBR-P4252 액침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 274 2016-11-10

검색결과 더보기 +

분양정보

배양체

체크박스, 은행번호, 학명,국명, 분류군, Strain no., 동정자, 채집지정보(채집환경, 채집일, 채집자), 배양조건(배지,온도,pH,산소요구성,광도,명암주기), 상세보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은행번호 학명,국명 분류군 Strain no. 동정자 채집정보 배양조건 상세보기
채집환경 채집일 채집지 배지 온도 pH 산소요구성 광도 명암주기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추출물

체크박스,은행번호,학명,국명, 채집자정보(채집환경,채집일,채집지), 제작정보(추출용매,추출방법,추출부위,농도(mg/ml),제조일,제작자), 상세보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은행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정보 제작정보 상세보기
채집환경 채집일 채집지 추출용매 추출방법 추출부위 농도(mg/ml) 제조일 제작자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조직

체크박스, 조직번호, 자원유형(조직), 분류군, 채집일, 채집지, 조직부위(플랫폼 상시료종류), 보존방법, 상세보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조직번호 자원유형 분류군 채집일 채집지 조직부위 보존방법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DNA

체크박스, DNA번호, 자원유형(gDNA), 분류군, 채집일, 채집지, 보존액, 농도(ng/ul), 순도(260/280), 용량(ul), 상세보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DNA번호 자원유형 분류군 채집일 채집지 보존액 농도(ng/ul) 순도(260/280) 용량(ul)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유전정보

유전정보번호, 자원번호, 분류군, 학명,국명, Strain no., 프라이머셋명, 근연종, 유사도(%), 상세보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유전정보 번호 자원번호 분류군 학명,국명 Strain no. 프라이머셋명 근연종 유사도 (%) 상세보기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유전정보

종류, NCBI, 유전자서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종류
NCBI
유전자서열

유용성정보

유용성정보번호, 자원번호/은행번호, 분류군, 학명,국명, 유용성분야, 유용성실험(플랫폼 상 소제목), 상세보기 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유용성번호 자원번호/은행자원번호 분류군 학명,국명 유용성분야 유용성실험 상세보기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유전정보

유용성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