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납줄개
개요
한강납줄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의 잉어과 어류로 우리나라 고유종이다. 한강수계의 남한강 일부 지역과 충남 예산과 보령 등에서만 발견된다. 산란기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으며, 조개의 아가미 안에 산란한다. 개체군의 크기가 작아 산란숙주조개와 함께 적극적인 보호가 요구된다. 현재 한국적색목록에 멸종위기범주로 평가되어 있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형태
몸길이는 5~7cm이며, 몸은 타원형으로 체고가 높고 납작하며 꼬리자루는 긴 편이다. 등지느러미 연조수 9개, 뒷지느러미 연조수 9~10개, 새파수는 11~12개, 종렬비늘수는 34~37개이다. 비늘은 큰 편이고 옆줄은 불완전해 앞쪽 6~7개의 비늘에만 구멍이 있다. 등 쪽은 회녹색이며 배 쪽은 은백색이다. 청색 세로줄이 체측 중앙부 후반부터 꼬리지느러미의 기부까지 이어진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에는 검은색 점이 세 줄로 줄지어 있다.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분포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한강 수계의 횡성, 양평, 가평 등에 주로 서식하며 서해로 흐르는 무한천 상류 등에도 분포한다. [1]
우리나라 고유종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생태
하천 중·상류의 하상이 돌이나 자갈로 구성되고 흐름이 느린 곳에 주로 서식하며, 수서 곤충과 부착조류(규조류)를 먹는 잡식성이다. 조개의 아가미 안에 여러 번에 걸쳐 산란하며, 알은 황색의 서양배 모양이다.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해설
현재 극히 제한된 지역에서만 서식이 확인된다. 또한 서식지의 수환경 훼손과 하상구조 교란에 의한 산란숙주조개의 감소로 인해 절멸할 위험이 있다.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국가생물종목록
분포지도
번호 | 자원번호 | 자원유형 | 채집지 | 채집일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배양체
은행번호 | 학명,국명 | 분류군 | Strain no. | 동정자 | 채집정보 | 배양조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배지 | 온도 | pH | 산소요구성 | 광도 | 명암주기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추출물
은행번호 | 학명,국명 | 채집지정보 | 제작정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추출용매 | 추출방법 | 추출부위 | 농도(mg/ml) | 제조일 | 제작자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조직
조직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채집일 | 채집지 | 조직부위 | 보존방법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DNA
DNA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채집일 | 채집지 | 보존액 | 농도(ng/ul) | 순도(260/280) | 용량(ul)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유전정보 번호 | 자원번호 | 분류군 | 학명,국명 | Strain no. | 프라이머셋명 | 근연종 | 유사도 (%) | 상세보기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종류 | |
---|---|
NCBI | |
유전자서열 |
유용성번호 | 자원번호/은행자원번호 | 분류군 | 학명,국명 | 유용성분야 | 유용성실험 | 상세보기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유전정보
유용성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