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표본열람/대출
  • HOME
  • 표본열람/대출
  • 생물표본

생물표본

개요

생물표본은 특정 시공간에 존재했던 생물의 형태, 유전적 특징과 분포기록의 실물 증거자료로써 영구적인 보전이 필요합니다.
특히 하천, 호수 등 담수 환경에서 채집된 생물의 표본은 ‘담수생물표본’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생물표본은 생물다양성의 기본단위인 생물종을 파악하는 근간이 되며, 각 국가가 보유한 생물자원의 주권 인정 기준이 됩니다.
연구뿐만 아니라 전시,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그 목적에 따라 실물 표본과 함께 생체시료, 유전자원, 디지털 이미지 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표본의 정보

표본 정보에는 채집된 생물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기록하며, 생물의 이름인 학명, 생물이 살았던 장소, 환경, 채집일, 채집자 등을 포함합니다.
모든 정보는 표본 라벨에 기재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표본 정보는 단순히 기록이 아니라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을 이해하고 보전하기 위한 토대가 됩니다.

표본의 종류

표본은 생물의 특성, 보존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됩니다. 곤충, 식물 등을 건조시켜 보존하는 건조표본과 어류, 양서〮파충류, 무척추동물 등을 보존액에 담가 저장한 액침표본이 대표적입니다.
현미경 관찰을 위해 생물 조직이나 미생물 등을 슬라이드에 고정한 슬라이드표본과 배양이나 유전학 연구를 위해 저온에 보관하는 동결표본도 있습니다.
또한 연구 목적에 따라 표본을 분류하기도 합니다. 어떤 생물 종을 처음 발견했을 때 그 이름을 정하는 기준이 되는 표본을 기준표본(모식표본)이라고 하며 아주 귀중한 가치를 지닙니다.
연구 논문이나 보고서에 사용된 표본은 확증표본이라고 하며, 연구 결과의 증거나 정확성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의 표본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한반도 담수생물자원의 발굴, 조사 및 연구를 위하여, 총 600만점 이상의 담수생물표본을 소장할 수 있는 수장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2015년에 설립된 이래로 여러 연구사업을 통하여 55만 점이 넘는 담수생물표본을 확보·보존하고 있으며, 표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에서 표본 정보 및 디지털 이미지를 공개하고 있으며, 표본 열람 및 대출 신청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