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잎가래
개요
바닷가 매립지 및 갯벌, 간척지, 석호 등에서 주로 자라지만 드물게 내륙의 석회암지역에서도 나타나는 여러해살이풀로 침수성 수생식물이다. 땅속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으며 흰색이고 가을에 난형의 덩이줄기가 생긴다. 줄기는 많이 갈라진다. 잎은 모두 물속에 잠기며 잎자루가 없다. 잎몸은 선형으로 길이 2~6cm, 끝은 둔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턱잎은 잎집처럼 되며 밑부분은 잎과 합쳐져서 줄기를 감싸며 길이 1~6cm, 윗부분은 잎과 붙지 않고 길이 약 1mm의 잎혀가 된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길이 3~10cm의 꽃대에 7~11개가 성글게 달려서 이삭꽃차례를 이룬다. 꽃차례는 길이 15~30mm이다. 열매는 수과, 7~8월에 익는데 난형으로 길이 2.7mm, 폭 2.2mm, 부리는 길이 0.5mm이다. 우리나라 전역의 해안지역이나 강원도 영월 석회암지대에 자생하며, 세계적으로 북반구에 분포한다. 국내 가래속 식물들과 구분되는 덩이줄기와 긴 잎집을 가지고 있으며, 담수와 기수역에 모두 자라므로 구분된다. 수질정화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형태
땅속줄기는 길게 옆으로 벋으며 흰색이고 가을에 난형의 덩이줄기가 생긴다. 줄기는 많이 갈라진다. 잎은 모두 물속에 잠기며 잎자루가 없다. 잎몸은 선형으로 길이 2~6cm, 끝은 둔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턱잎은 잎집처럼 되며 밑부분은 잎과 합쳐져서 줄기를 감싸며 길이 1~6cm, 윗부분은 잎과 붙지 않고 길이 약 1mm의 잎혀가 된다. 꽃은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길이 3~10cm의 꽃대에 7~11개가 성글게 달려서 이삭꽃차례를 이룬다. 꽃차례는 길이 15~30mm이다. 열매는 수과, 난형으로 길이 2.7mm, 폭 2.2mm, 부리는 길이 0.5mm이다.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분포
전국의 해안지역과 강원도(영월) [1]
북반구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생태
여러해살이풀로 침수성 수생식물이다. 꽃은 5~6월에 피고 열매는 7~8월에 익는다. 덩이줄기가 발달하고, 갯벌이나 간척지에 주로 나타나지만 내륙의 석회암지역에 나타나기도 한다. 기수지역의 집단은 담수지역의 집단보다 높은 생장속도와 생체량을 보이며 물새의 섭식에 따른 생체량의 증감도 다르게 타나났다(Van Wijik, 1988).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이용 및 활용
부영양화된 호소의 질소(N)와 인(P)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으며 중금속(Cd, Cu, Pb, Zn)을 제거하므로 수질정화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Howard-Williams, 1981; Peng et al., 2008).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해설
가래속(Potamogeton) 식물 중에서 독특한 생태형과 다양한 지역적 변이가 나타나는 분류군이다. 국내 가래속 식물들과 구분되는 덩이줄기와 긴 잎집을 가지고 있으며, 담수와 기수역에 모두 자란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서 가래속 내에서 Coleogeton아속 또는 Stuckenia속으로 구분하기도 한다(김 등, 2002).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국가생물종목록
분포지도
번호 | 자원번호 | 자원유형 | 채집지 | 채집일 |
---|---|---|---|---|
1 | NNIBRVP63870 | 액침 | 강원도 삼척시 성남동 1−1 | 2019-08-22 |
2 | NNIBRVP63871 | 액침 | 강원도 삼척시 성남동 1−1 | 2019-08-22 |
3 | NNIBRVP63872 | 액침 | 강원도 삼척시 성남동 1−1 | 2019-08-22 |
4 | NNIBRVP63546 | 액침 |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자라리 696−1 | 2019-09-18 |
5 | NNIBRVP63547 | 액침 |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자라리 696−1 | 2019-09-18 |
6 | NNIBRVP63548 | 액침 |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자라리 696−1 | 2019-09-18 |
7 | NNIBRVP79043 | 건조 | 강원도 삼척시 남양동 318−7 | 2020-07-04 |
8 | NNIBRVP79044 | 건조 | 강원도 삼척시 남양동 318−7 | 2020-07-04 |
9 | NNIBRVP79045 | 건조 | 강원도 삼척시 남양동 318−7 | 2020-07-04 |
10 | NNIBRVP79005 | 액침 | 강원도 삼척시 남양동 318−7 | 2020-07-04 |
11 | NNIBRVP94584 | 건조 |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용신리 933−45 | 2022-04-27 |
12 | NNIBRVP94788 | 건조 |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용신리 933−45 | 2022-04-27 |
13 | NNIBRVP94789 | 건조 |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용신리 933−45 | 2022-04-27 |
14 | NNIBRVP112826 | 건조 | 강원도 삼척시 성남동 1−1 | 2019-08-22 |
15 | NNIBRVP112860 | 건조 |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자라리 696−1 | 2019-09-18 |
16 | NNIBRVP101147 | 건조 |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정당리 1317 | 2020-09-24 |
17 | NNIBRVP101148 | 건조 |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정당리 1317 | 2020-09-24 |
18 | NNIBRVP101149 | 건조 |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정당리 1317 | 2020-09-24 |
19 | NNIBRVP101150 | 건조 |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정당리 1317 | 2020-09-24 |
20 | NNIBRVP101151 | 건조 |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용신리 933−45 | 2020-05-20 |
배양체
은행번호 | 학명,국명 | 분류군 | Strain no. | 동정자 | 채집정보 | 배양조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배지 | 온도 | pH | 산소요구성 | 광도 | 명암주기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추출물
은행번호 | 학명,국명 | 채집지정보 | 제작정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추출용매 | 추출방법 | 추출부위 | 농도(mg/ml) | 제조일 | 제작자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조직
조직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채집일 | 채집지 | 조직부위 | 보존방법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DNA
DNA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채집일 | 채집지 | 보존액 | 농도(ng/ul) | 순도(260/280) | 용량(ul)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유전정보 번호 | 자원번호 | 분류군 | 학명,국명 | Strain no. | 프라이머셋명 | 근연종 | 유사도 (%) | 상세보기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종류 | |
---|---|
NCBI | |
유전자서열 |
유용성번호 | 자원번호/은행자원번호 | 분류군 | 학명,국명 | 유용성분야 | 유용성실험 | 상세보기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유전정보
유용성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