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개나리
개요
산지의 암석 위에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로 높이 1m 정도이다. 작은 가지는 자줏빛이 돌며 2년생 가지는 회갈색이고 속은 엷은 판상이다. 잎은 난형, 장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길이 2~6cm, 너비 1~3cm이고 마주나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뒷면은 맥 위에 잔털이 있으며 잎자루는 깊이 2~10mm이다. 꽃은 3~4월에 잎보다 먼저 황금색으로 잎겨드랑이에 1개씩 피며 작은꽃자루는 1mm 정도이다. 꽃받침은 4열하고 열편은 인편 모양으로 갈색이며 꽃부리는 4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선상 장타원형이며 2개의 수술은 화통에 나고 암술대보다 짧다. 열매는 삭과로 난형이고 9~10월에 성숙한다. 우리나라 강원도, 경기도 북한산, 관악산, 화산, 경상북도, 전라북도 임실 등 중부지방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이 종은 개나리에 비하여 줄기에 능선이 없으며, 잎몸 가장자리의 톱니가 미약하고, 꽃이 연노란색인 점에서 톱니가 뚜렷하거나 진노란색 꽃을 갖는 분류군들과 구별한다. 관상용으로 이용한다. 북한산개나리라고도 부른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형태
낙엽성으로 줄기는 높이 1~2m, 회갈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긴 난형이다. 뒷면 맥 위와 엽병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가 있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암술이 수술보다 길다. [1]
낙엽활엽 관목으로 높이 1m 정도이고, 작은 가지는 자줏빛이 돌며 2년된 가지는 회갈색이고 속은 엷은 판상이다. 잎은 난형, 장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길이 2~6cm, 너비 1~3cm이고 대생하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뒷면은 맥 위에 잔털이 있으며 엽병은 깊이 2~10mm이다. 꽃은 잎보다 먼저 황금색으로 잎겨드랑이에 1개씩 피며 소화경은 1mm 정도이다. 꽃받침은 4열하고 열편은 인편 모양으로 갈색이며 화관은 4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선상 장타원형이며 2개의 수술은 화통에 나고 암술대보다 짧다. 열매는 삭과로 난형이고 9~10월에 성숙한다. 개화기는 3~4월이다. 씨, 삽목으로 번식하고 관상용으로 이용된다. 본 종은 개나리에 비해 줄기는 곧게 서고 잎 뒤에 털이 있으며 암술이 수술보다 길다. [2]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분포
한국 [1]
중부지방, 북한산, 관악산 [2]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생태
꽃은 3~4월 잎이 나기 전에 개화하고 열매는 9월에 성숙한다.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이용 및 활용
관상용으로 심는다. [3]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2010),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자료집
[2]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고유종특성평가및총람발간
[3]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국가생물종목록
분포지도
번호 | 자원번호 | 자원유형 | 채집지 | 채집일 |
---|---|---|---|---|
1 | NNIBRVP25637 | 건조 | 서울특별시 강북구 미아동 | 2016-08-23 |
2 | NNIBRVP85813 | 건조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 산48-1 | 2017-04-21 |
배양체
은행번호 | 학명,국명 | 분류군 | Strain no. | 동정자 | 채집정보 | 배양조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배지 | 온도 | pH | 산소요구성 | 광도 | 명암주기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추출물
은행번호 | 학명,국명 | 채집지정보 | 제작정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추출용매 | 추출방법 | 추출부위 | 농도(mg/ml) | 제조일 | 제작자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조직
조직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채집일 | 채집지 | 조직부위 | 보존방법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DNA
DNA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채집일 | 채집지 | 보존액 | 농도(ng/ul) | 순도(260/280) | 용량(ul)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유전정보 번호 | 자원번호 | 분류군 | 학명,국명 | Strain no. | 프라이머셋명 | 근연종 | 유사도 (%) | 상세보기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종류 | |
---|---|
NCBI | |
유전자서열 |
유용성번호 | 자원번호/은행자원번호 | 분류군 | 학명,국명 | 유용성분야 | 유용성실험 | 상세보기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유전정보
유용성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