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성붕어마름
개요
중부 이남의 강, 연못이나 저수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물속에 잠기며, 길이 30~80cm,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녹색 또는 연두색으로 2~3회 갈라지며, 8~9개의 갈래조각이 돌려난다. 갈래조각의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톱니 끝에 투명한 가시가 있다. 꽃은 7~8월에 암수한포기에 피며, 막질의 총포에 싸여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열매는 수과, 가시가 4개 있다. 위쪽과 아래쪽 가시는 직각을 이루며, 암술대가 남아 있다. 일본과 중국에 분포한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형태
줄기는 가늘고 길며, 길이 30~80cm,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녹색 또는 연두색으로 2~3회 갈라지며, 8~9개의 갈래조각이 돌려난다. 갈래조각의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톱니 끝에 투명한 가시가 있다. 꽃은 암수한포기에 피며, 막질의 총포에 싸여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열매는 수과, 가시가 4개 있다. 위쪽과 아래쪽 가시는 직각을 이루며, 위쪽 가시는 길이 5mm쯤, 아래쪽 가시는 길이 8~12mm다. 암술대가 남아 있다.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분포
중부 이남 [1]
일본, 중국(동북부)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생태
여러해살이 침수성 수생식물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열매는 8~9월에 익는다.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이용 및 활용
사료로 사용하고, 전초를 고혈압 등에 약용하며, 해열제의 약재로 쓴다.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해설
기본종인 붕어마름(Ceratophyllum demersum L.)은 가시가 2개인데 비해, 본 종은 가시가 4개이므로 구분된다. 열매에 암술대가 남아 있어 가시가 5개처럼 보인다.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국가생물종목록
분포지도
번호 | 자원번호 | 자원유형 | 채집지 | 채집일 |
---|---|---|---|---|
1 | NNIBRVP37336 | 건조 | 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합리 우포늪 | 2015-08-19 |
2 | NNIBRVP37337 | 건조 | 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합리 우포늪 | 2015-08-19 |
3 | NNIBRVP38713 | 건조 |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덕천리 654 | 2018-07-23 |
4 | NNIBRVP60215 | 건조 | 경상남도 창녕군 대지면 석리 | 2017-09-26 |
5 | NNIBRVP60220 | 건조 |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월곡리 | 2017-10-30 |
6 | NNIBRVP61565 | 건조 |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덕천리 | 2018-07-23 |
7 | NNIBRVP61566 | 건조 |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덕천리 | 2018-07-23 |
8 | NNIBRVP61567 | 건조 |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덕천리 | 2018-07-23 |
9 | NNIBRVP61568 | 건조 |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덕천리 | 2018-07-23 |
10 | NNIBRVP61726 | 건조 | 경상북도 영천시 본촌동 | 2018-07-27 |
11 | NNIBRVP61727 | 건조 | 경상북도 영천시 본촌동 | 2018-07-27 |
12 | NNIBRVP63815 | 액침 | 경상북도 영천시 남부동 산142 | 2019-10-09 |
13 | NNIBRVP63816 | 액침 | 경상북도 영천시 남부동 산142 | 2019-10-09 |
14 | NNIBRVP63817 | 액침 | 경상북도 영천시 남부동 산142 | 2019-10-09 |
15 | NNIBRVP63693 | 액침 | 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이방리 209 | 2019-10-11 |
16 | NNIBRVP63694 | 액침 | 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이방리 209 | 2019-10-11 |
17 | NNIBRVP63695 | 액침 | 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이방리 209 | 2019-10-11 |
18 | NNIBRVP86848 | 건조 | 경상남도 창녕군 대지면 석리 453−1 | 2017-07-26 |
19 | NNIBRVP87387 | 건조 | 경상남도 창녕군 대지면 석리 453−1 | 2017-09-26 |
20 | NNIBRVP87388 | 건조 | 경상남도 창녕군 대지면 석리 453−1 | 2017-09-26 |
배양체
은행번호 | 학명,국명 | 분류군 | Strain no. | 동정자 | 채집정보 | 배양조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배지 | 온도 | pH | 산소요구성 | 광도 | 명암주기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추출물
은행번호 | 학명,국명 | 채집지정보 | 제작정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추출용매 | 추출방법 | 추출부위 | 농도(mg/ml) | 제조일 | 제작자 | ||||
FBCC-EP559 | 다섯가시붕어말 Ceratophyllum demersum var. quadrispinum Makino | 2017-10-30 |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월곡리 | 70%에탄올 | 용매추출 | 전초 | 20 | 2018-01-23 | 황병수, 남현주 | 상세보기 | ||
FBCC-EP572 | 다섯가시붕어말 Ceratophyllum demersum var. quadrispinum Makino | 2017-10-30 |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월곡리 | 증류수 | 열수추출 | 전초 | 20 | 2018-01-23 | 황병수, 남현주 | 상세보기 |
조직
조직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채집일 | 채집지 | 조직부위 | 보존방법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DNA
DNA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채집일 | 채집지 | 보존액 | 농도(ng/ul) | 순도(260/280) | 용량(ul)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유전정보 번호 | 자원번호 | 분류군 | 학명,국명 | Strain no. | 프라이머셋명 | 근연종 | 유사도 (%) | 상세보기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종류 | |
---|---|
NCBI | |
유전자서열 |
유용성번호 | 자원번호/은행자원번호 | 분류군 | 학명,국명 | 유용성분야 | 유용성실험 | 상세보기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유전정보
유용성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