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담수생물다양성
  • HOME
  • 담수생물다양성

종 상세정보

금강모치

<i>Rhynchocypris</i> <i>kumgangensis</i> (Kim, 1980)
  • 학명
    Rhynchocypris kumgangensis (Kim, 1980)
  • 분류체계
    척삭동물문 > 조기강 > 잉어목 > 잉어과 > 버들치속 > 금강모치
  • 일반분류군
    어류
  • 이명
    Moroco kumgangensis 금강모치
  • 지정관리
    한국의고유생물종 국가기후변화지표종
  • 자원정보
    (20점)
  • 분양정보
    (0점)
  • 유전정보
    (0점)
  • 유용성정보
    (0점)

금강모치 Rhynchocypris kumgangensis (Kim, 1980)

공공누리
다운로드
원본 이미지가 필요하신 분은digitalspecimen@nnibr.re.kr 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섬네일
  • 섬네일
  • 섬네일

종정보

  • 개요

    잉어목 잉어과에 속하는 어류이다. 몸 길이는 7~8cm로 몸통은 길고 옆으로 납작하며 입은 주둥이 앞쪽 아래에 있다. 비늘은 작고 옆줄은 불완전하며 거의 직선이다. 주둥이는 뾰족하고 눈은 비교적 크다. 등지느러미 끝은 뾰족하고 뒤쪽 가장자리는 직선이다. 꼬리자루는 길며 꼬리지느러미 뒤쪽 가장자리의 중앙은 깊게 파여 있다. 몸 색은 등 쪽이 황갈색이고 배 쪽은 은백색이다. 등지느러미에는 검은색 반점이 있어 버들치, 버들개와 구별된다. 산란기 수컷은 몸통 중앙에 두 줄의 밝은 주황색 띠가 머리 뒤에서 꼬리까지 나타난다. 깊은 산 물이 맑고 찬 계류에 살며 주로 수서곤충이나 작은 갑각류를 잡아 먹는다. 산란 시기는 4~5월경이고, 암수가 어울린 집단이 자갈 밑을 파고 들어가 산란한다. 한강 최상류, 금강의 무주구천동, 북한의 대동강, 압록강에 분포하는 고유종이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 형태

    몸길이는 7~8cm로 몸통은 길고 옆으로 납작하며 입은 주둥이 앞쪽 아래에 있다. 비늘은 작고 옆줄은 불완전하며 거의 직선이다. 주둥이는 뾰족하고 눈은 비교적 크다. 등지느러미 끝은 뾰족하고 뒤쪽 가장자리는 직선이다. 꼬리부위는 길며 꼬리지느러미 뒤쪽 가장자리의 중앙은 깊게 파여 있다. 몸색은 등 쪽이 황갈색이고 배 쪽은 은백색이다. 등지느러미에는 검은색 반점이 있어 버들치, 버들개와 구별된다. 산란기 수컷은 몸통 중앙에 두 줄의 밝은 주황색 띠가 머리 뒤에서 꼬리까지 나타난다. [1]
    크기는 7~8cm이다. [2]
    등지느러미 연조수 iii 7, 뒷지느러미 연조수 iii 8, 측선비늘수 55~65, 척추골수 42~43, 몸은 길고 납작하며 주둥이는 뾰족하고 눈은 비교적 크다. 체측에는 작은 비늘이 덮여 있고 측선은 완전하며 거의 직선이다. 배지느러미의 기점은 등지느러미의 기점보다 훨씬 앞쪽에 있고 등지느러미 정상부는 뾰족하며 뒤쪽 가장자리는 직선이다. 미병부는 길며, 꼬리지느러미 뒤쪽 가장자리의 중앙은 비교적 깊이 파였다. 몸의 등쪽은 황갈색이고 배쪽은 은백색이다. 생식 시기의 수컷은 체측 중앙에 2 줄의 주황색 띠가 머리 뒤에서 미병부까지 이른다. 가슴지느러미 기부에도 주황색을 띤다. 등지느러미 기부 위에는 뚜렷한 흑색 반점이 있어 버들치나 버들개와 잘 구별된다. [3]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 분포

    한강 수계의 최상류역 산간 계류에 분포하며 금강 수계에서는 무주 구천동계곡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동해로 흐르는 고성군 남강 상류역에도 분포한다(김 1997, 환경부 1997-2009). 최근 강릉 남대천과 양양 남대천에 도입·방류되어 서식하고 있다. 북한의 대동강과 압록강에 분포한다(김 1997). [1]
    한강의 최상류의 여러 지류와 금강 최상류인 무주 구천동 계곡에서만 제한 분포 [2]
    경기도, 강원도, 전라북도(한강, 금강), 북한(대동강, 압록강) [3]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 생태

    물이 맑고 수온이 낮은 산간 계류의 소를 중심으로 무리 지어 생활한다. 소는 급여울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상은 주로 암반이나 큰 돌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변부에는 갯버들을 포함한 낙엽활엽수림이 인접해 생육하고 있다. 하도 및 하상의 자연성이 잘 보전된 곳에 서식하는 냉수성 어종으로 한여름에 수온이 25℃ 이하를 유지해야 한다. 물이 맑고 용존산소가 9ppm 이상으로 풍부한 곳에 서식하며 버들치, 새미, 연준모치, 둑중개, 열목어 등과 공서하는 경우가 많으며, 무리 지어 생활한다. 수서곤충과 소형 동물을 먹는다. 산란기는 4~5월이며 산란장은 유속이 빠른 소와 급여울이 접하며 자갈층을 형성한 곳이다. 산란 시 수백 개체의 집단을 형성하며 자갈층을 파고 들어가면서 산란한다. 수정란은 자갈층 사이에 침강해 부착되며 구형으로 황갈색을 띤다. 수정 후 16℃에서 5일 지나면 부화하며 전장은 5.3mm이다. 부화 후 10일이 경과하면 전장 11mm에 달하고 자유유영생활을 한다. 1년생은 전장 50mm, 2년생은 70~80mm로 성장한다(최 등 2002, 김 등 2005).
    산란장 수심은 10~50cm이고 하상은 잔 자갈층이 10cm 이상으로 두껍고 유속이 빠르며 소와 이어지는 여울에 주로 산란한다. 산란장 주변에는 갯버들이 다량 생육하고 있다. [1]
    수서곤충이나 작은 갑각류를 먹고산다. 산란기는 5~6월이며 암수가 집단으로 자갈 밑을 파고 들어가 산란한다. [3]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 해설

    한강과 금강 상류에 서식하는 유영성 소형 어류다. 냉수성 어종으로 하천 상류역 소에 서식하며 하상은 암반과 돌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 하천 정비, 수질오염, 수온 상승 등으로 서식지가 파괴되었다. 현재는 서식지가 감소되어 제한적 분포하는 곳도 있다.
    Uchida(1939)는 압록강 상류, 북한강 상류, 금강산 내금강 계류 등에 채집된 개체를 Moroco sp.라고 기재했고 Kim(1980)은 Phoxinus kumgangensis로 기재했다. 김(1997)은 Rhynchocypris속으로 전속시켰다.
    비료, 농약, 생활하수 등의 유입으로 인한 수질오염, 무분별한 하천 공사, 수변부 수목 제거로 수온 상승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어 감소하고 있다. 현재 과거의 서식지로부터 축소 및 조각화되어 제한된 지역에서만 출현한다.
    멸종위기 평가 결과: LC
    금강 수계의 무주 구천동과 한강 수계의 최상류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환경부 1997~2009). 수질오염과 수환경 교란에 매우 민감하다. [1]
    한강 및 금강 최상류에 제한 분포하는 냉수 계류성 고유 어종으로 분포의 축소 예상 [4]
    버들치와 비슷하나 살아 있을 때는 몸의 옆면에 2줄의 주황색 세로띠가 있고 등지느러미의 기부에 뚜렷한 흑색 반점이 있어 구별된다. [2]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 출처

  • [1]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집
    [2] 국립생물자원관(2010),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자료집
    [3]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고유종특성평가및총람발간
    [4] 국립생물자원관(2010), 기후변화생물지표100종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국가생물종목록

분포지도

자원정보

번호, 자원번호, 채집지, 채집환경, 채집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번호 자원번호 자원유형 채집지 채집일
1 NNIBR-P1228 액침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55−2 2016-10-18
2 NNIBR-P1229 액침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55−2 2016-10-18
3 NNIBR-P1230 액침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55−2 2016-10-18
4 NNIBR-P1231 액침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55−2 2016-10-18
5 NNIBR-P1232 액침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55−2 2016-10-18
6 NNIBR-P1233 액침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55−2 2016-10-18
7 NNIBR-P1234 액침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55−2 2016-10-18
8 NNIBR-P1235 액침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55−2 2016-10-18
9 NNIBR-P1236 액침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55−2 2016-10-18
10 NNIBR-P1237 액침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55−2 2016-10-18
11 NNIBR-P1238 액침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55−2 2016-10-18
12 NNIBR-P1239 액침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55−2 2016-10-18
13 NNIBR-P1240 액침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55−2 2016-10-18
14 NNIBR-P1241 액침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55−2 2016-10-18
15 NNIBR-P1242 액침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55−2 2016-10-18
16 NNIBR-P1333 액침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239 2016-10-18
17 NNIBR-P1334 액침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239 2016-10-18
18 NNIBR-P1335 액침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239 2016-10-18
19 NNIBR-P1336 액침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239 2016-10-18
20 NNIBR-P1337 액침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239 2016-10-18

검색결과 더보기 +

분양정보

배양체

체크박스, 은행번호, 학명,국명, 분류군, Strain no., 동정자, 채집지정보(채집환경, 채집일, 채집자), 배양조건(배지,온도,pH,산소요구성,광도,명암주기), 상세보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은행번호 학명,국명 분류군 Strain no. 동정자 채집정보 배양조건 상세보기
채집환경 채집일 채집지 배지 온도 pH 산소요구성 광도 명암주기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추출물

체크박스,은행번호,학명,국명, 채집자정보(채집환경,채집일,채집지), 제작정보(추출용매,추출방법,추출부위,농도(mg/ml),제조일,제작자), 상세보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은행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정보 제작정보 상세보기
채집환경 채집일 채집지 추출용매 추출방법 추출부위 농도(mg/ml) 제조일 제작자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조직

체크박스, 조직번호, 자원유형(조직), 분류군, 채집일, 채집지, 조직부위(플랫폼 상시료종류), 보존방법, 상세보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조직번호 자원유형 분류군 채집일 채집지 조직부위 보존방법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DNA

체크박스, DNA번호, 자원유형(gDNA), 분류군, 채집일, 채집지, 보존액, 농도(ng/ul), 순도(260/280), 용량(ul), 상세보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DNA번호 자원유형 분류군 채집일 채집지 보존액 농도(ng/ul) 순도(260/280) 용량(ul)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유전정보

유전정보번호, 자원번호, 분류군, 학명,국명, Strain no., 프라이머셋명, 근연종, 유사도(%), 상세보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유전정보 번호 자원번호 분류군 학명,국명 Strain no. 프라이머셋명 근연종 유사도 (%) 상세보기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유전정보

종류, NCBI, 유전자서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종류
NCBI
유전자서열

유용성정보

유용성정보번호, 자원번호/은행번호, 분류군, 학명,국명, 유용성분야, 유용성실험(플랫폼 상 소제목), 상세보기 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유용성번호 자원번호/은행자원번호 분류군 학명,국명 유용성분야 유용성실험 상세보기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유전정보

유용성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