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버섯
개요
자실체는 배착성이거나 반전성이다. 때로는 간혹 좌생한다. 갓은 흔히 좌우로 유착하거나 중첩하고 반원형에서 조개형의 모습을 보이며 크기 4cm까지 자란다. 조직은 코르크 가죽질이고 담황갈색이다. 두께는 2mm이다. 자실층의 표면은 회색에서 검은색을 띠며, 구멍은 원형에서 각형이고, mm당 7~8개 존재한다. 여름, 가을에 걸쳐 서어나무 부러진 밑동, 죽은 고로쇠나무 둥치, 죽은 소나무 줄기 등에 발생한다. 북반구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형태
자실체는 배착성이며, 반전성 내지 간혹 좌생하고, 갓은 반원형으로 4cm까지 자라며, 갓 표면은 처음 흰색에서 크림색을 띠다가 점차 회색에서 검은색을 띤다. 자실층의 표면은 회색에서 검은색을 띠며, 구멍은 원형에서 각형이고 크기는 7∼8/mm이다. 균사체계는 일균사형이며, 클램프를 지닌 생식균사로 구성되어 있고, 지름은 3∼8μm이다. 담자기는 곤봉형이며, 크기는 15∼23 × 5∼6μm이다. 담자포자는 타원형에서 난형이며 투명하고, 크기는 3∼4.2 × 2∼2.5μm이다.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분포
전국에 분포 [1]
북반구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해설
선정사유: 활엽수의 우수한 목재부후능을 지닌 생물자원으로 산업적 가치가 있다.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2017),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국가생물종목록
분포지도
번호 | 자원번호 | 자원유형 | 채집지 | 채집일 |
---|---|---|---|---|
1 | NNIBRFG11109 | 배양체 |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죽산리 142-46 | 2016-06-29 |
2 | NNIBRFG11110 | 배양체 |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죽산리 142-46 | 2016-06-29 |
3 | NNIBRFG10201 | 건조 |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죽산리 142-46 | 2016-06-29 |
4 | NNIBRFG10202 | 건조 |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죽산리 142-46 | 2016-06-29 |
5 | NNIBRFG11615 | 생체 |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죽산리 142-46 | 2016-06-29 |
6 | NNIBRFG11616 | 생체 |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죽산리 142-46 | 2016-06-29 |
7 | NNIBRFG20 | 배양체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하맹방리 | 2015-10-13 |
8 | NNIBRFG3109 | 배양체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강정동 | 2016-08-12 |
9 | NNIBRFG3189 | 배양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판포리 | 2016-08-10 |
10 | NNIBRFG3373 | 배양체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강정동 | 2016-08-12 |
11 | NNIBRFG3435 | 배양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판포리 | 2016-08-10 |
12 | NNIBRFG14670 | 건조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168 | 2015-08-18 |
13 | NNIBRFG14995 | 건조 | 경상남도 합천군 대양면 정양리 136−4 | 2015-08-17 |
14 | NNIBRFG15412 | 배양체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상효동 1463 | 2018-12-12 |
15 | NNIBRFG15502 | 배양체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감산리 409 | 2018-12-12 |
16 | NNIBRFG6123 | 배양체 | 강원 춘천시 북산면 추곡리 | 2018-05-03 |
17 | NNIBRFG7916 | 건조 | 강원 춘천시 북산면 추곡리 | 2018-05-03 |
18 | NNIBRFG37895 | 배양체 |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김용리 403 | 2021-07-19 |
19 | NNIBRFG38748 | 건조 |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김용리 403 | 2021-07-19 |
20 | NNIBRFG46623 | 배양체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상당리 산96 | 2022-06-10 |
배양체
은행번호 | 학명,국명 | 분류군 | Strain no. | 동정자 | 채집정보 | 배양조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배지 | 온도 | pH | 산소요구성 | 광도 | 명암주기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추출물
은행번호 | 학명,국명 | 채집지정보 | 제작정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추출용매 | 추출방법 | 추출부위 | 농도(mg/ml) | 제조일 | 제작자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조직
조직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채집일 | 채집지 | 조직부위 | 보존방법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DNA
DNA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채집일 | 채집지 | 보존액 | 농도(ng/ul) | 순도(260/280) | 용량(ul)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유전정보 번호 | 자원번호 | 분류군 | 학명,국명 | Strain no. | 프라이머셋명 | 근연종 | 유사도 (%) | 상세보기 |
---|---|---|---|---|---|---|---|---|
NNIBRBN30 | NNIBRFG20 | 균류 | Bjerkandera adusta (Willd.) P. Karst. 1879 | 조회 | ||||
NNIBRBN1475 | NNIBRFG3109 | 균류 | Bjerkandera adusta (Willd.) P. Karst. 1879 | 조회 | ||||
NNIBRBN1551 | NNIBRFG3189 | 균류 | Bjerkandera adusta (Willd.) P. Karst. 1879 | 조회 | ||||
NNIBRBN1675 | NNIBRFG3373 | 균류 | Bjerkandera adusta (Willd.) P. Karst. 1879 | 조회 | ||||
NNIBRBN1737 | NNIBRFG3435 | 균류 | Bjerkandera adusta (Willd.) P. Karst. 1879 | 조회 | ||||
NNIBRBN7166 | NNIBRFG6123 | 균류 | Bjerkandera adusta (Willd.) P. Karst. 1879 | 18F-1238 | ITS | 조회 |
종류 | |
---|---|
NCBI | |
유전자서열 |
유용성번호 | 자원번호/은행자원번호 | 분류군 | 학명,국명 | 유용성분야 | 유용성실험 | 상세보기 |
---|---|---|---|---|---|---|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
유전정보
유용성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