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통합예약시스템
담수생물자원은행
지적재산관리시스템 기술담다
연구장비 활용 신청
검색
네이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페이지
블로그
유튜브
검색
사이트맵
검색
소개
담수생물다양성
관련법률
담수생물종목록
담수생물종목록 검색
담수생물자원검색
자원 검색
유전정보 검색
유용성정보 검색
담수생물이야기
E-BOOK
소식지
주니어
담수생물색칠
담수생물퀴즈
담수생물퍼즐
메뉴 닫기
소개
담수생물다양성
관련법률
담수생물종목록
담수생물종목록 검색
담수생물자원검색
자원 검색
유전정보 검색
유용성정보 검색
담수생물이야기
E-BOOK
소식지
주니어
담수생물색칠
담수생물퀴즈
담수생물퍼즐
네이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페이지
블로그
유튜브
시스템 바로가기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통합예약시스템
담수생물다양성 정보포털
담수생물자원은행
기술담다
연구장비 활용 신청
사이트맵
Freshwater Biodiversity Information Portasl
담수생물다양성
메인으로 바로가기
담수생물다양성
소개
담수생물종목록
담수생물자원검색
담수생물이야기
주니어
현황판
담수생물자원은행
/
담수생물종목록 검색
전체
동물계
식물계
전체
전체
어류
무척추동물류
곤충류
양서류
파충류
관속식물류
조류
원생동물
균류
세균류
게시물 검색
검색
담수생물종목록 검색결과
(총 11,964종)
정렬순서 선택
학명 ABC순
국명 가나다순
앨범
리스트
복섬
학명
:
Takifugu
niphobles
(Jordan and Snyder, 1901)
분류군
: 척삭동물문> 조기강> 복어목> 참복과> 참복속> 복섬
몸은 유선형이며 등쪽과 배쪽에는 작은 소극이 있고 체측에는 상부측선을 따라 미병부까지 소극이 있다. 등쪽에는 청갈색이나 황갈색이며, 군데군데 동공 크기보다 작은 백색 원형 반점이 산재되어 있다. 복부는 백색이고 가슴지느러미 후단부에는 큰 흑색 반문이 1개 있다. 울릉도, 제주도를 포함한 전 연안 주변과 인접 기수역에서 서식한다.
버들매치
학명
:
Abbottina
rivularis
(Basilewsky, 1855)
분류군
: 척삭동물문> 조기강> 잉어목> 잉어과> 버들매치속> 버들매치
몸길이는 8~12cm이다. 입에 굵고 짧은 1쌍의 수염이 있다. 눈 앞부분은 오목하며 눈은 작고 머리의 중앙에 있다. 옆줄은 거의 일직선이다. 등지느러미의 기점은 배지느러미 기점보다 약간 앞쪽에 있다. 수컷의 등지느러미 후연은 둥글다.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왜매치
학명
:
Abbottina
springeri
Banarescu and Nalbant, 1973
분류군
: 척삭동물문> 조기강> 잉어목> 잉어과> 버들매치속> 왜매치
크기는 5~6cm다. 모래무지와 비슷하나 머리가 다소 뭉툭한 점이 다르다. 돌마자에 비하여 주둥이가 짧고 둔하다. 옆줄을 따라 7~8개의 흑색 반점이 있다. 가슴지느러미, 등지느러미 및 꼬리지느러미에 작은 흑점이 흩어져 있다. 주둥이의 등쪽, 눈 밑, 아가미뚜껑 등에도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반점이나 줄무늬가 있다. 산란기의 수컷은 온몸이 검은 갈색으로 변할 뿐만 아니라 각 지느러미의 살까지 검은 갈색으로 변한다. 하천 중류의 물살이 빠르지 않고 바닥에 모래나 자갈이 깔린 여울에 서식하며 부착조류를 먹는다. 산란기는 5~6월이다. 한국 고유종으로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에 널리 분포한다.
구리수중다리잎벌
학명
:
Abia
formosa
Takeuchi, 1927
분류군
: 절지동물문> 곤충강> 벌목> 수중다리잎벌과> 구리수중다리잎벌속> 구리수중다리잎벌
전나무
학명
:
Abies
holophylla
Maxim.
분류군
: 나자식물문> 소나무강> 소나무목> 소나무과> 전나무속> 전나무
소나무목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이다. 비교적 높은 산지의 숲 속과 능선부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40m, 지름 1.5m에 달한다. 줄기껍질은 흑갈색이며 거칠고, 회백색의 얕은 홈이 있다. 잎은 선형으로 길이 4cm, 폭 2mm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 뒷면 가운데 잎맥 양쪽에 하얀 기공선이 있다. 암수한그루이며 4~5월에 수분한다. 수구화수는 원통 모양으로 길이 15mm, 황록색이고, 2년지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암구화수는 2~3개가 가까이 달리며 긴 타원 모양으로 길이 3.5cm, 연한 녹색, 2년지에 곧추서서 달린다. 열매는 구과이며, 원통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고 길이 10~20cm, 폭 3.5cm이다. 10월에 익으며, 씨는 난상 삼각형으로 연한 갈색이고 날개가 있다. 목재는 건축재, 기구재, 선박재, 펄프재로 이용하며, 가로수 또는 산지 조림용으로 심는다. 일본에서 들여와 식재하고 있는 일본전나무와 비슷하나 소지에 털이 없고 어린잎이나 성숙한 잎이 모두 끝이 갈라지지 않고 하나인 점에서 구분할 수 있다. 젓나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중국 동북부, 러시아 우수리 지역 등에 분포한다.
구상나무
학명
:
Abies
koreana
E. H. Wilson
분류군
: 나자식물문> 소나무강> 소나무목> 소나무과> 전나무속> 구상나무
소나무목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이다. 해발고도 1,000여 m 이상의 산지 사면 및 능선부에서 높이는 18m, 지름 1m 정도로 자라는 침엽 큰키나무이다. 나무껍질은 거칠며, 겨울눈은 난상 원형이다. 잎은 성숙한 개체의 경우, 도피침상 선형으로 길이 1cm, 너비 2mm 내외지만 어린 개체에서는 길이가 2cm 내외로 보다 길며, 끝이 대개 오목하게 파이고, 뒷면은 흰빛을 띤다. 구화수는 암수한그루이며 수분기는 4~5월이다. 수구화수는 타원형, 암구화수는 거의 장타원형으로 검은 자주색에서부터 밝은 녹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포편의 상부가 배주 인편 밖으로 노출되어 끝부분이 아래쪽을 향해 젖혀진다. 열매는 구과, 길이 5cm 정도의 타원상 원통형으로 녹갈색 또는 자갈색이며, 길이 4~6cm로 8~9월에 익는다. 종자에 날개가 있다. 이 종은 분비나무에 비해 잎이 약간 짧고 넓으며 구과 포린(包鱗)의 끝이 뒤로 젖혀지므로 구별된다. 목재는 건축재, 기구재로 이용하며, 정원수로 심는다. 우리나라 전북 덕유산, 경남 지리산, 가야산, 제주도 한라산에 자생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대구잎벌레
학명
:
Abiromorphus
anceyi
Pic, 1924
분류군
: 절지동물문> 곤충강> 딱정벌레목> 잎벌레과> Abiromorphus> 대구잎벌레
솜털잎벌레
학명
:
Abirus
fortunei
(Baly, 1861)
분류군
: 절지동물문> 곤충강> 딱정벌레목> 잎벌레과> Abirus> 솜털잎벌레
한알락깔따구
학명
:
Ablabesmyia
hanea
Ree, 2016
분류군
: 절지동물문> 곤충강> 파리목> 깔따구과> 알락깔따구속> 한알락깔따구
긴꼬리알락깔따구
학명
:
Ablabesmyia
longistyla
Fittkau, 1962
분류군
: 절지동물문> 곤충강> 파리목> 깔따구과> 알락깔따구속> 긴꼬리알락깔따구
작은긴꼬리알락깔따구
학명
:
Ablabesmyia
microlongistyla
Ree, 2016
분류군
: 절지동물문> 곤충강> 파리목> 깔따구과> 알락깔따구속> 작은긴꼬리알락깔따구
목걸이알락깔따구
학명
:
Ablabesmyia
monilis
(Linnaeus, 1758)
분류군
: 절지동물문> 곤충강> 파리목> 깔따구과> 알락깔따구속> 목걸이알락깔따구
옆긴꼬리알락깔따구
학명
:
Ablabesmyia
paralongistyla
Ree, 2016
분류군
: 절지동물문> 곤충강> 파리목> 깔따구과> 알락깔따구속> 옆긴꼬리알락깔따구
정알락깔따구
학명
:
Ablabesmyia
jeongi
Ree, 2013
분류군
: 절지동물문> 곤충강> 파리목> 깔따구과> 알락깔따구속> 정알락깔따구
날개 길이가 2.9mm인 황갈색의 대형종이다. 두부는 갈색이고, 눈은 검고 털이 없다. 촉수는 암갈색이며 5절로 되어 있다. 순판은 갈색이고 경계가 불분명한 암갈색의 세로줄무늬(vittae)가 있다. 소순판은 황갈색이고 후배판은 암갈색이다. 날개 전체에 털이 있고, 6개의 크고 작은 검은 무늬가 있다. 퇴절은 황백색인데 말단 가까이의 검은 띠가 있다. 경절은 황백색이고 기부 가까이, 중앙, 말단에 3개의 검은 띠가 있다. 제1부절은 흰색에 중앙과 말단에 검은 띠가 있고, 제2~3부절은 흰색이고 말단에 검은 띠가 있으며, 제4~5부절은 황갈색이다. 복부는 제1~5배판은 희고, 제6~8배판은 황갈색이다. 강변 풀숲에서 봄에 출현한다. 강원도(춘천)에 분포한다.
뭉툭알락깔따구
학명
:
Ablabesmyia
prorasha
Kobayashi & Kubota, 2002
분류군
: 절지동물문> 곤충강> 파리목> 깔따구과> 알락깔따구속> 뭉툭알락깔따구
용알락깔따구
학명
:
Ablabesmyia
yongi
Ree, 2013
분류군
: 절지동물문> 곤충강> 파리목> 깔따구과> 알락깔따구속> 용알락깔따구
참빗살얼룩가지나방
학명
:
Abraxas
latifasciata
Warren, 1894
분류군
: 절지동물문> 곤충강> 나비목> 자나방과> Abraxas> 참빗살얼룩가지나방
날개 편 길이는 37~42mm이다. 머리, 가슴의 등면은 황갈색이고, 배는 황색 바탕에 검은 점들이 퍼져 있다. 앞·뒷날개는 백색을 띠며 백갈색의 원형 무늬가 날개 가장자리를 따라 존재한다. 성충은 5~8월에 출현하며 어디에나 개체수가 많은 편이다. 유충은 노박덩굴과 식물을 먹는다.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며, 울릉도에서의 기록은 없다. 국외에는 일본,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버드나무얼룩가지나방
학명
:
Abraxas
miranda
Butler, 1878
분류군
: 절지동물문> 곤충강> 나비목> 자나방과> Abraxas> 버드나무얼룩가지나방
작은알락밤나방
학명
:
Abrostola
ussuriensis
Dufay, 1958
분류군
: 절지동물문> 곤충강> 나비목> 밤나방과> Abrostola> 작은알락밤나방
줄자돔
학명
:
Abudefduf
sordidus
(Forsskål, 1775)
분류군
: 척삭동물문> 조기강> 농어목> 자리돔과> 줄자돔속> 줄자돔
최대 몸길이 약 23cm이다. 몸은 달걀 모양이고 옆으로 납작하다. 꼬리자루 부분은 짧고 높다. 위턱은 아래턱보다 약간 길다. 등지느러미의 기저(基底)는 뒷지느러미의 기저보다 길다. 가슴지느러미는 보통이며 둥글다. 배지느러미 제1연조는 신장하여 그 후단이 뒷지느러미의 기점을 넘는다. 꼬리지느러미는 둘로 갈라진다. 머리와 몸은 어둡고 배쪽은 다소 연하다. 등지느러미의 극조부 전방은 어둡다. 미병(꼬리자루) 상부에 눈의 지름 정도의 뚜렷한 흑색 반점이 1개 있다. 가슴지느러미 기점에 흑색 반점이 있고 앞쪽 가장자리는 어둡다. 바위가 많은 곳, 암초가 깔린 해안선, 방파제 등에서 서식하며 유어(幼魚)는 조수 웅덩이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남해와 인도양, 태평양의 열대 해역에 분포한다.
처음으로
이전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마지막으로
총게시물 11,964 건 페이지(1/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