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통합예약시스템
담수생물자원은행
지적재산관리시스템 기술담다
연구장비 활용 신청
검색
네이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페이지
블로그
유튜브
검색
사이트맵
검색
소개
담수생물다양성
관련법률
담수생물종목록
담수생물종목록 검색
담수생물자원검색
자원 검색
유전정보 검색
유용성정보 검색
담수생물이야기
E-BOOK
소식지
주니어
담수생물색칠
담수생물퀴즈
담수생물퍼즐
메뉴 닫기
소개
담수생물다양성
관련법률
담수생물종목록
담수생물종목록 검색
담수생물자원검색
자원 검색
유전정보 검색
유용성정보 검색
담수생물이야기
E-BOOK
소식지
주니어
담수생물색칠
담수생물퀴즈
담수생물퍼즐
네이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페이지
블로그
유튜브
시스템 바로가기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통합예약시스템
담수생물다양성 정보포털
담수생물자원은행
기술담다
연구장비 활용 신청
사이트맵
Freshwater Biodiversity Information Portasl
담수생물다양성
메인으로 바로가기
담수생물다양성
소개
담수생물종목록
담수생물자원검색
담수생물이야기
주니어
현황판
담수생물자원은행
/
담수생물종목록 검색
전체
동물계
식물계
전체
전체
어류
무척추동물류
곤충류
양서류
파충류
관속식물류
조류
원생동물
균류
세균류
게시물 검색
검색
담수생물종목록 검색결과
(총 11,964종)
정렬순서 선택
학명 ABC순
국명 가나다순
앨범
리스트
복섬
학명
:
Takifugu
niphobles
(Jordan and Snyder, 1901)
분류군
: 척삭동물문> 조기강> 복어목> 참복과> 참복속> 복섬
몸은 유선형이며 등쪽과 배쪽에는 작은 소극이 있고 체측에는 상부측선을 따라 미병부까지 소극이 있다. 등쪽에는 청갈색이나 황갈색이며, 군데군데 동공 크기보다 작은 백색 원형 반점이 산재되어 있다. 복부는 백색이고 가슴지느러미 후단부에는 큰 흑색 반문이 1개 있다. 울릉도, 제주도를 포함한 전 연안 주변과 인접 기수역에서 서식한다.
가시납지리
학명
:
Acanthorhodeus
chankaensis
(Dybowski, 1872)
분류군
: 척삭동물문> 조기강> 잉어목> 잉어과> 큰납지리속> 가시납지리
몸길이는 6~10cm이다. 체형은 긴 타원형이고 옆으로 납작하며 체고는 약간 높다. 머리와 입은 작고 주둥이는 뾰족하며 입가에 수염 흔적이 남아 있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기부와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폭넓은 암색띠가 있다. 등지느러미줄기는 12~13개이고, 뒷지느러미줄기는 10~11개이다. 옆줄의 비늘 수 36~37개이다. 측선은 완전하다. 몸 색깔은 금속광택을 띠며 등쪽은 청록색이지만 배쪽은 옅다. 암컷 산란관은 회색이다.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각 하천의 중하류, 물 흐름이 느리고 탁하며 바닥에 펄이 있는 곳에 서식한다. 산란은 조개의 새강에 한다. 한국 특산종으로 경기도 한강, 충청북도, 전라북도 금강, 전라남도 섬진강, 영산강, 경상남도 낙동강 등에 서식한다.
깨알하루살이
학명
:
Acentrella
gnom
(Kluge, 1983)
분류군
: 절지동물문> 곤충강> 하루살이목> 꼬마하루살이과> 알락하루살이속> 깨알하루살이
몸길이는 3.0~3.2mm, 가운데 꼬리는 0.9mm, 옆 꼬리는 1.8mm이다. 몸은 유선형을 이루나 다소 편평하다. 각 다리 발톱의 치열은 기부의 것이 더 크다. 제1~7배마디의 기관아가미는 1쌍으로 되어 있고, 난형이다. 뒷날개는 날개주머니를 가지지 않는다. 꼬리는 3개로 잘 발달되어 있고, 안쪽에 긴 강모가 측생한다. 이 종은 가운데 꼬리가 잘 발달하여 있으므로 다른 종과 구별된다. 경기도에 서식하며 일본, 극동 러시아에도 분포한다.
콩알하루살이
학명
:
Acentrella
sibirica
(Kazlauskas, 1963)
분류군
: 절지동물문> 곤충강> 하루살이목> 꼬마하루살이과> 알락하루살이속> 콩알하루살이
몸길이 3.3mm, 옆꼬리 2.3mm다. 몸은 유선형으로 다소 편평하다. 각 다리 발톱의 치열은 기부의 치열이 가장 더 크다. 제1~7배마디의 기관아가미는 난형이며 1쌍으로 되어 있다. 꼬리는 2개로 안쪽에 긴 강모가 측생한다. 가운데꼬리가 없으므로 다른 종과 구별된다. 한국(경기: 가평 가평천, 조종천, 강원: 양양 설악산, 홍천, 원주 치악산 등 다수 지역의 하천), 러시아, 일본에 분포한다.
산겨릅나무
학명
:
Acer
tegmentosum
Maxim.
분류군
: 피자식물문> 목련강> 무환자나무목> 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 산겨릅나무
무환자나무목 단풍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깊은 산 계곡 사이에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로 높이 15m 정도로 자란다. 녹색 나무껍질에 백색 줄이 세로로 나 있다. 잎은 마주나고 난형 내지 아원형, 길이 10~13cm, 3~5갈래로 얕게 갈라진다. 잎끝은 꼬리처럼 길게 뾰족하고, 밑은 심장형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겹톱니가 있으며, 기부에서 맥이 5개로 갈라지고, 양면에 털이 없으나 뒷면 맥 겨드랑이에 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암수한그루, 드물게 수그루에 양성화가 섞여 피는데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에 모여 달리며, 황색이다. 꽃차례의 길이는 8cm 정도이고 밑으로 처진다. 열매는 시과로 황갈색이며 길이 3cm 정도로서 둔각 또는 수평으로 벌어지고 9월에 익는다. 이 종은 어린가지가 녹색이며 나무껍질에 백색 줄이 세로로 나 있고, 잎이 3~5갈래로 얕게 갈라지고, 꽃차례가 아래로 처지는 특징이 있으므로 쉽게 구별된다. 목재는 기구재로 쓰며, 나무껍질은 끈 대용으로 이용한다. 나뭇가지를 약재로 사용한다. 우리나라 경상남도 지리산 이북에 자생하며 중국 동북부, 러시아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납지리
학명
:
Acheilognathus
rhombeus
(Temminck and Schlegel, 1846)
분류군
: 척삭동물문> 조기강> 잉어목> 잉어과> 납자루속> 납지리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대부분의 하천에 서식하고 있으며, 몸길이 6~8cm 정도의 소형 어종이지만 10cm가 넘는 개체가 발견되기도 한다. 중, 하류의 하천이나 저수지에 살며 작은 동물, 식물질, 유기침전물 등을 먹고 사는 잡식성이다. 산란철은 9~11월로 알려져 있으나 7월에 산란하는 개체도 있다. 서식처의 바닥에 사는 조개의 아가미실에 산란한다(김, 1997).
길쭉하루살이
학명
:
Alainites
muticus
(Linnaeus, 1758)
분류군
: 절지동물문> 곤충강> 하루살이목> 꼬마하루살이과> 길쭉하루살이속> 길쭉하루살이
몸길이는 5.0~10.0mm이다. 가운데 꼬리는 2.0mm, 옆 꼬리는 4.0mm이다. 몸은 유선형을 이루나 다소 좌우로 편평하고 길쭉하다. 제1~7배마디의 기관아가미는 1쌍으로 되어 있고, 기관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배마디등판에 무늬가 거의 없다. 꼬리는 3개이고, 강모의 발달이 미약하다. 경기도에 서식하며 러시아에도 분포한다.
복자기
학명
:
Acer
triflorum
Kom.
분류군
: 피자식물문> 목련강> 무환자나무목> 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 복자기
무환자나무목 단풍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산지 숲 속에서 높이 10m 정도로 자라는 낙엽 작은큰키나무이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껍질이 벗겨진 자리는 연한 붉은색을 띤다. 잎은 마주나며, 3출겹잎, 작은잎은 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5~10cm, 폭 2~4cm, 끝은 뾰족하고, 2~3개의 큰 톱니가 있다. 잎 앞면에는 털이 드문드문 있고, 뒷면 맥 위에 거센털이 있다. 작은잎자루는 길이 약 3mm, 긴 털이 성기게 있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서 3개씩 달리고, 꽃자루에 갈색 털이 있다. 열매는 시과, 9~10월에 익으며, 예각 또는 둔각으로 벌어지고, 겉에 회갈색 털이 있다. 복장나무에 비해서 작은잎에 톱니가 없거나 2~3개 있고, 잎자루와 열매에 털이 있다. 목재는 가구재로 이용한다. 단풍이 아름다워 관상수로 식재한다. 나도박달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 나며, 러시아, 중국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큰납지리
학명
:
Acheilognathus
macropterus
(Bleeker, 1871)
분류군
: 척삭동물문> 조기강> 잉어목> 잉어과> 납자루속> 큰납지리
몸길이 약 20cm로 한국산 납자루 중 가장 큰 종이다. 몸은 옆으로 납작하고 체고는 비교적 높다. 주둥이는 뾰족하고 입은 작으며 말굽 모양이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짧으며 입술은 얇고 매끄럽다. 등지느러미는 배지느러미보다 뒤에서 시작되고 기저가 길며 바깥 가장자리는 둥글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기조에는 2~3줄의 불분명한 줄무늬가 있다. 측선은 완전하고 가운데 부분은 아래로 약간 굽어진다. 유속이 완만한 하천이나 수초가 우거진 저수지의 바닥 근처에 서식한다. 산란은 4~6월로 담수산 이매패의 새강(아가미구멍) 안에 알을 낳는다. 한국, 중국에 분포한다.
자귀풀
학명
:
Aeschynomene
indica
L.
분류군
: 피자식물문> 목련강> 콩목> 콩과> 자귀풀속> 자귀풀
논이나 습지에서 높이 60~80cm가량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속이 비어 있다. 잎은 어긋나며, 짝수깃꼴겹잎으로 작은잎은 10~20쌍이고 선상 장타원형, 길이 10~15mm, 폭 3~5mm, 양 끝은 둔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 뒷면은 분백색이다. 꽃은 7~9월에 황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꽃줄기가 나와 끝에 2~3개의 꽃이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싸개잎은 턱잎과 비슷하나 보다 작고 작은꽃싸개잎은 꽃받침 밑부분에 달린다. 꽃받침은 2갈래로 갈라진다. 꽃부리는 나비 모양이다. 열매는 협과로 편평하고 6~8개의 마디가 있으며, 9~10월에 성숙하면 분리된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아시아,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에 분포한다. 차풀에 비해 자귀풀은 꽃이 나비 모양이고, 줄기는 속이 비었으며, 열매는 뚜렷한 마디가 6~8개 있으므로 다르다.
반곡딴옛새우
학명
:
Allobathynella
bangokensis
Park & Cho, 2016
분류군
: 절지동물문> 연갑강> 고하목> 나도고하과> 딴옛새우속> 반곡딴옛새우
몸길이는 암컷 2.24mm, 수컷 2.20mm, 너비보다 약 12배 길다. 머리는 흉부의 첫 3마디보다 약간 짧다. 제I촉각은 7마디이다. 제1마디는 내면 끝에 1개의 강모, 등 면에 2개의 강모와 등 면 및 배 면에 각 1개씩의 깃털강모 그리고 2개의 측변 깃털강모를 갖는다. 제II촉각은 7마디, 제I촉각의 1~5마디와 같은 길이이다. 상순은 평평하다. 8개의 이빨과 좌우로 3개의 작은 이빨을 갖는다. 대악은 송곳돌기는 4개의 이빨로 구성되어 있다. 배면기저이빨이 없다. 어금니돌기는 11개의 가시를 갖는다. 촉절은 1마디로 2개의 강모를 갖는다. 제I소악은 2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제II소악은 네 마디이다. 미각은 기절의 내측 면에 10개의 가시를 갖는다. 미절은 강모를 갖지 않는다. 삭개는 뾰족하게 돌출한다. 미차상기는 길이는 너비의 1.2배이다. 우리나라 강원도(홍천)에 분포한다.
부론딴옛새우
학명
:
Allobathynella
buronensis
Park & Cho, 2016
분류군
: 절지동물문> 연갑강> 고하목> 나도고하과> 딴옛새우속> 부론딴옛새우
몸길이는 암컷 1.66mm, 수컷 1.66mm, 너비보다 약 11배 길다. 머리는 흉부의 첫 3마디보다 약간 짧다. 제I촉각은 7마디이다. 제1마디는 내면 끝에 1개의 강모, 등 면에 2개의 강모와 등 면 및 배 면에 각 1개씩의 깃털강모 그리고 2개의 측변 깃털강모를 갖는다. 제II촉각은 7마디, 제I촉각의 1~5마디와 같은 길이이다. 상순은 평평하다. 6개의 이빨과 좌우로 2개의 작은 이빨을 갖는다. 대악은 송곳돌기는 4개의 이빨로 구성되어 있다. 배면기저이빨이 없다. 어금니돌기는 7개의 가시를 갖는다. 촉절은 1마디로 2개의 강모를 갖는다. 제I소악은 2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기저마디는 내측 면 끝에 4개의 강모를 갖는다. 제II소악은 네 마디이다. 미각은 기절의 내측 면에 8~9개의 가시를 갖는다. 끝 면의 2개 가시는 다른 것보다 약간 크다. 미절은 강모를 갖지 않는다. 삭개는 뾰족하게 돌출한다. 미차상기는 길이는 너비는 거의 같다. 우리나라 강원도(원주)에 분포한다.
청도딴옛새우
학명
:
Allobathynella
cheongdoensis
Park & Cho, 2016
분류군
: 절지동물문> 연갑강> 고하목> 나도고하과> 딴옛새우속> 청도딴옛새우
몸길이는 암컷 2.15mm, 수컷 1.82mm, 너비보다 약 12배 길다. 머리는 흉부의 첫 3마디보다 약간 짧다. 제I촉각은 7마디이다. 제1마디는 내면 끝에 1개의 강모, 등 면에 2개의 강모와 등 면 및 배 면에 각 1개씩의 깃털강모 그리고 2개의 측변 깃털강모를 갖는다. 제II촉각은 7마디, 제I촉각의 1~5마디와 같은 길이이다. 상순은 평평하다. 8개의 이빨과 좌우로 3 또는 5개의 작은 이빨을 갖는다. 대악은 송곳돌기는 4개의 이빨로 구성되어 있다. 배면기저이빨이 없다. 어금니돌기는 8개의 가시를 갖는다. 촉절은 1마디로 2개의 강모를 갖는다. 제I소악은 2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제II소악은 네 마디이다. 미각은 기절의 내측 면에 10개의 가시를 갖는다. 미절은 강모를 갖지 않는다. 삭개는 뾰족하게 돌출한다. 미차상기는 길이는 너비는 거의 같다. 우리나라 경북(청도)에 분포한다.
고련딴옛새우
학명
:
Allobathynella
coreana
Morimoto, 1970
분류군
: 절지동물문> 연갑강> 고하목> 나도고하과> 딴옛새우속> 고련딴옛새우
몸길이는 암컷 2.00mm, 수컷 2.01mm, 너비보다 약 12배 길다. 머리는 흉부의 첫 3마디보다 약간 짧다. 제I촉각은 7마디이다. 제1마디는 내면 끝에 1개의 강모, 등 면에 2개의 강모와 등 면 및 배 면에 각 1개씩의 깃털강모 그리고 2개의 측변 깃털강모를 갖는다. 제II촉각은 7마디, 제I촉각의 1~5마디와 같은 길이이다. 상순은 평평하다. 8개의 이빨과 좌우로 3개의 작은 이빨을 갖는다. 대악의 송곳돌기는 4개의 이빨로 구성되어 있다. 배면기저이빨이 없다. 어금니돌기는 9개의 가시를 갖는다. 촉절은 1마디로 1개의 강모를 갖는다. 제I소은 2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제II소악은 네 마디이다. 미각은 기절의 내측 면에 12개의 가시를 갖는다. 미절은 강모를 갖지 않는다. 삭개는 뾰족하게 돌출한다. 미차상기는 길이는 너비의 1.2배에 이른다. 우리나라 강원(영월)에 분포한다.
정선딴옛새우
학명
:
Allobathynella
donggangensis
Park & Cho, 2016
분류군
: 절지동물문> 연갑강> 고하목> 나도고하과> 딴옛새우속> 정선딴옛새우
몸길이는 암컷 2.54mm, 수컷 2.50mm, 너비보다 약 10배 길다. 머리는 흉부의 첫 3마디보다 약간 짧다. 제I촉각은 7마디이다. 제1마디는 내면 끝에 1개의 강모, 등 면에 2개의 강모와 등 면 및 배 면에 각 1개씩의 깃털강모 그리고 2개의 측변 깃털강모를 갖는다. 제II촉각은 7마디, 제I촉각의 1~5마디와 같은 길이이다. 상순은 평평하다. 9개의 이빨과 좌우로 4개의 작은 이빨을 갖는다. 대악은 송곳돌기는 4개의 이빨로 구성되어 있다. 배면기저이빨이 없다. 어금니돌기는 9개의 가시를 갖는다. 촉절은 1마디로 1개의 강모를 갖는다. 제I소악은 2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제II소악은 네 마디이다. 미각은 기절의 내측 면에 10개의 가시를 갖는다. 미절은 강모를 갖지 않는다. 삭개는 뾰족하게 돌출한다. 미차상기은 길이는 너비의 1.3배에 이른다. 우리나라 강원도(정선)에 분포한다.
강릉딴옛새우
학명
:
Allobathynella
gangneungensis
Park & Cho, 2016
분류군
: 절지동물문> 연갑강> 고하목> 나도고하과> 딴옛새우속> 강릉딴옛새우
몸길이는 암컷 1.28mm, 너비보다 약 10배 길다. 머리는 흉부의 첫 3마디보다 약간 짧다. 제I촉각은 7마디이다. 제1마디는 내면 끝에 1개의 강모, 등 면에 2개의 강모와 등 면 및 배 면에 각 1개씩의 깃털강모 그리고 2개의 측변 깃털강모를 갖는다. 제II촉각은 7마디, 제I촉각의 1~5마디와 같은 길이이다. 상순은 평평하다. 6개의 이빨과 좌우로 1개의 작은 이빨을 갖는다. 대악은 송곳돌기는 3개의 이빨로 구성되어 있다. 배면기저이빨이 없다. 어금니돌기는 6개의 가시를 갖는다. 촉절은 1마디로 1개의 강모를 갖는다. 제I소악은 2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제II소악은 네 마디이다. 미각은 기절의 내측 면에 7개의 가시를 갖는다. 끝 면의 2개 가시는 다른 것보다 약간 크다. 미절은 강모를 갖지 않는다. 삭개는 둥글게 돌출한다. 미차상기는 길이는 너비의 1.3배에 이른다. 우리나라 강원도(강릉)에 분포한다.
구례딴옛새우
학명
:
Allobathynella
guryeensis
Park & Cho in Shin, 2014
분류군
: 절지동물문> 연갑강> 고하목> 나도고하과> 딴옛새우속> 구례딴옛새우
몸길이는 암컷 1.75mm, 수컷 1.76mm, 너비보다 약 10배 길다. 머리는 흉부의 첫 3마디보다 약간 짧다. 제I촉각은 7마디이다. 제1마디는 내면 끝에 1개의 강모, 등 면에 2개의 강모와 등 면 및 배 면에 각 1개씩의 깃털강모 그리고 2개의 측변 깃털강모를 갖는다. 제II촉각은 7마디, 제I촉각의 1~5마디와 같은 길이이다. 상순은 평평하다. 8개의 이빨과 좌우로 5개의 작은 이빨을 갖는다. 대악은 송곳돌기는 4개의 이빨로 구성되어 있다. 어금니돌기는 9개의 가시를 갖는다. 촉절은 1마디로 2개의 강모를 갖는다. 제I소악은 2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제II소악은 네 마디이다. 미각은 기절의 내측 면에 8개의 가시를 갖는다. 미절은 강모를 갖지 않는다. 삭개는 둥글게 약간 돌출한다. 미차상기는 길이는 너비와 같다. 우리나라 전남(구례)에 분포한다.
홍천딴옛새우
학명
:
Allobathynella
hongcheonensis
Park & Cho, 2016
분류군
: 절지동물문> 연갑강> 고하목> 나도고하과> 딴옛새우속> 홍천딴옛새우
몸길이는 암컷 1.83mm, 수컷 1.82mm, 너비보다 약 12배 길다. 머리는 흉부의 첫 3마디보다 약간 짧다. 제I촉각은 7마디이다. 제1마디는 내면 끝에 1개의 강모, 등 면에 2개의 강모와 등 면 및 배 면에 각 1개씩의 깃털강모 그리고 2개의 측변 깃털강모를 갖는다. 제II촉각 7마디, 제I촉각의 1~5마디와 같은 길이이다. 상순은 평평하다. 8개의 이빨과 좌우로 3개의 작은 이빨을 갖는다. 대악은 송곳돌기는 4개의 이빨로 구성되어 있다. 어금니돌기는 9개의 가시를 갖는다. 촉절은 1마디로 2개의 강모를 갖는다. 제I소악은 2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제II소악은 네 마디이다. 미각은 기절의 내측 면에 7개의 가시를 갖는다. 미절은 강모를 갖지 않는다. 삭개는 둥글게 약간 돌출한다. 미차상기는 길이는 너비의 1.3배에 이른다. 우리나라 강원도(홍천)에 분포한다.
임진딴옛새우
학명
:
Allobathynella
imjinensis
Park & Cho, 2016
분류군
: 절지동물문> 연갑강> 고하목> 나도고하과> 딴옛새우속> 임진딴옛새우
몸길이는 암컷 1.75mm, 수컷 1.75mm, 너비보다 약 10배 길다. 머리는 흉부의 첫 3마디보다 약간 짧다. 제I촉각은 7마디이다. 제1마디는 내면 끝에 1개의 강모, 등 면에 2개의 강모와 등 면 및 배 면에 각 1개씩의 깃털강모 그리고 2개의 측변 깃털강모를 갖는다. 제II촉각 7마디, 제I촉각의 1~5마디와 같은 길이이다. 상순은 평평하다. 8개의 이빨과 좌우로 3개의 작은 이빨을 갖는다. 대악은 송곳돌기는 4개의 이빨로 구성되어 있다. 어금니돌기는 8개의 가시를 갖는다. 촉절은 1마디로 2개의 강모를 갖는다. 제I소악은 2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제II소악은 네 마디이다. 미각은 기절의 내측 면에 유사한 크기의 8개의 가시를 갖는다. 미절은 강모를 갖지 않는다. 삭개는 둥글게 약간 돌출한다. 미차상기는 길이는 너비와 같다. 우리나라 경기도(연천)에 분포한다.
마성딴옛새우
학명
:
Allobathynella
maseongensis
Park & Cho, 2016
분류군
: 절지동물문> 연갑강> 고하목> 나도고하과> 딴옛새우속> 마성딴옛새우
몸길이는 수컷이 2.55mm이고, 너비보다 약 12배 길다. 머리는 흉부의 첫 3마디보다 약간 짧다. 제I촉각은 7마디이다. 제1마디는 내면 끝에 1개의 강모, 등 면에 2개의 강모와 등 면 및 배 면에 각 1개씩의 깃털강모 그리고 2개의 측변 깃털강모를 갖는다. 제II촉각은 7마디, 제I촉각의 1~5마디와 같은 길이이다. 상순은 평평하다. 8개의 이빨과 좌우로 6, 7개의 작은 이빨을 갖는다. 대악의 송곳돌기는 4개의 이빨로 구성되어 있다. 배면기저이빨이 없다. 어금니돌기는 10개의 가시를 갖는다. 촉절은 1마디로 2개의 강모를 갖는다. 제I소악은 2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제II소악은 네 마디이다. 미각은 기절의 내측 면에 12개의 가시가 있다. 미절은 강모를 갖지 않는다. 삭개는 둥글게 약간 돌출한다. 미차상기은 길이는 너비의 1.2배에 이른다. 우리나라 경북(문경)에 분포한다.
처음으로
이전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마지막으로
총게시물 11,964 건 페이지(1/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