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섬매자기
개요
바닷가 습지나 물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가 길게 뻗고, 중간에서 줄기가 나오며, 끝에는 둥근 덩이줄기가 달린다. 줄기의 높이는 45~141cm이다. 줄기 아랫부분은 다소 부푼다. 단면은 각이 예리한 삼각형이며 마디는 잎집에 싸인다. 잎은 줄기의 중간 아래에 달리고, 잎집의 길이는 5cm 정도이고, 잎혀는 없다. 잎의 너비는 2.5~6.0mm이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꽃차례는 줄기 끝에 달리고, 길이 1.5~6.0cm이다. 작은이삭에는 대가 있거나 없고 1~12개가 달린다. 꽃차례의 포는 잎과 모양이 비슷하고 가장 아래의 것은 곧게 선다. 작은이삭은 난형이고 길이 9~19mm이고, 인편은 나선형으로 배열한다. 인편은 난형이고, 중앙의 맥이 길어져서 까락처럼 되고 끝이 자주 갈라진다. 화피강모는 4~5개로, 곧게 서고 아래를 향한 가시가 있다. 암술대 머리는 두 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세 개이다. 열매는 수과, 도란형, 양면이 오목하고, 표면은 매끈하다. 7~9월에 익는다. 이 종은 본 종은 큰매자기와는 달리 내륙의 담수 습지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열매의 양면이 오목하여 쉽게 구별된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러시아 사할린, 일본 류큐 열도, 중국 만주 등에 분포한다. 덩이줄기는 약용하며, 새의 먹이가 된다. 작은매자기, 졸매재기, 좀매재기라고도 한다.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형태
땅속줄기가 길게 벋고, 중간에서 줄기가 나오며, 끝에는 둥근 괴경이 달린다. 줄기의 높이는 45~141cm이다. 줄기 아랫부분은 다소 부푼다. 단면은 각이 예리한 삼각형이며 마디는 잎집에 싸인다. 잎은 줄기의 중간 아래에 달리고, 잎집의 길이는 5cm 정도이고, 엽설은 없다. 잎의 너비는 2.5~6.0mm이다. 꽃차례는 줄기 끝에 달리고, 길이 1.5~6.0cm이다. 작은이삭에는 대가 있거나 없고 1~12개가 달린다. 꽃차례의 포는 잎과 모양이 비슷하고 가장 아래의 것은 곧게 선다. 작은이삭은 난형이고 길이 9~19mm이고, 인편은 나선형으로 배열한다. 인편은 난형이고, 중앙의 맥이 길어져서 까락처럼 되고 끝이 자주 갈라지며, 길이 6~8mm이다. 화피강모는 4~5개로, 곧게 서고 아래를 향한 가시가 있고, 길이 1.6~3.0mm이다. 암술대 머리는 두 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세 개이다. 수과는 도란형으로 길이 2.9~3.6mm, 양면이 오목하고, 표면은 매끈하다. [1]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분포
전국 [1]
러시아(사할린), 일본(류큐 열도), 중국(만주) [1]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6~7월에 피며, 열매는 7~9월에 익는다. [1]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이용 및 활용
약용한다. [1]
괴경은 새의 먹이가 된다. [2]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해설
본 종은 큰매자기와는 달리 내륙의 담수 습지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열매의 양면이 오목하여 쉽게 구별된다. 매자기류는 독립된 속(Bolboschoenus 매자기속)으로 분리되어 다루어진다. [1]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국가생물종목록
분포지도
번호 | 자원번호 | 자원유형 | 채집지 | 채집일 |
---|---|---|---|---|
1 | NNIBRVP79798 | 건조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자룡리 580−4 | 2020-06-21 |
2 | NNIBRVP79799 | 건조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자룡리 580−4 | 2020-06-21 |
3 | NNIBRVP79800 | 건조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자룡리 580−4 | 2020-06-21 |
4 | NNIBRVP75273 | 건조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신지리 699−11 | 2020-06-21 |
5 | NNIBRVP75274 | 건조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신지리 699−11 | 2020-06-21 |
6 | NNIBRVP75275 | 건조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신지리 699−11 | 2020-06-21 |
7 | NNIBRVP75300 | 건조 | 전라북도 군산시 회현면 금광리 1067−6 | 2020-06-21 |
8 | NNIBRVP75301 | 건조 | 전라북도 군산시 회현면 금광리 1067−6 | 2020-06-21 |
9 | NNIBRVP75302 | 건조 | 전라북도 군산시 회현면 금광리 1067−6 | 2020-06-21 |
10 | NNIBRVP79684 | 건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2331 | 2020-06-05 |
11 | NNIBRVP79685 | 건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2331 | 2020-06-05 |
12 | NNIBRVP79686 | 건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2331 | 2020-06-05 |
13 | NNIBRVP75395 | 건조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1965−1 | 2020-06-05 |
14 | NNIBRVP75396 | 건조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1965−1 | 2020-06-05 |
15 | NNIBRVP75397 | 건조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1965−1 | 2020-06-05 |
16 | NNIBRVP75549 | 건조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반암리 466−6 | 2020-06-29 |
17 | NNIBRVP75550 | 건조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반암리 466−6 | 2020-06-29 |
18 | NNIBRVP75551 | 건조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반암리 466−6 | 2020-06-29 |
19 | NNIBRVP78878 | 건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호수동 286−572 | 2020-07-18 |
20 | NNIBRVP78879 | 건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호수동 286−572 | 2020-07-18 |
배양체
은행번호 | 학명,국명 | 분류군 | Strain no. | 동정자 | 채집정보 | 배양조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배지 | 온도 | pH | 산소요구성 | 광도 | 명암주기 | |||||||
No results. |
추출물
은행번호 | 학명,국명 | 채집지정보 | 제작정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추출용매 | 추출방법 | 추출부위 | 농도(mg/ml) | 제조일 | 제작자 | ||||
No results. |
조직
조직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채집일 | 채집지 | 조직부위 | 보존방법 |
---|---|---|---|---|---|---|
No results. |
DNA
DNA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Collection date | Collection location | 보존액 | 농도(ng/ul) | 순도(260/280) | 용량(ul) |
---|---|---|---|---|---|---|---|---|
No results. |
유전정보 번호 | 자원번호 | 분류군 | 학명,국명 | Strain no. | 프라이머셋명 | 근연종 | 유사도 (%) | 상세보기 |
---|---|---|---|---|---|---|---|---|
No results. |
종류 | |
---|---|
NCBI | |
유전자서열 |
Useful Code | 자원번호/은행자원번호 | 분류군 | Scientific name,Korea name | 유용성분야 | 유용성실험 | 상세보기 |
---|---|---|---|---|---|---|
No results. |
유전정보
유용성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