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무릎
개요
산, 들, 농경지 주변 등에서 흔히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50~100cm,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네모지며, 마디는 볼록해진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길이 4~8cm다. 잎몸은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 10~20cm, 폭 4~10cm, 양쪽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8~9월 피는데 녹색이고,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이삭꽃차례를 이루고 열매 맺는 시기에는 휘어져 거꾸로 달린다. 꽃싸개잎은 녹색, 난형이며, 3개 중 2개는 밑에 돌기가 2개씩 있다. 꽃받침은 5개, 피침형으로 길이 4~5mm다. 수술은 5개, 밑부분은 서로 붙는다. 암술은 1개다. 열매는 포과, 9월에 익으며 타원형, 씨가 1개 들어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일본, 중국, 타이완, 히말라야 등지에 분포한다. 북아메리카에 귀화하여 분포한다. 이 종은 비름속 식물에 비해 잎은 마주나고, 꽃은 양성이며, 열매 맺는 시기에는 휘어져 거꾸로 달리므로 구분된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뿌리는 약용한다. 쇠무릅, 쇠무릎풀, 우슬이라고도 한다.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형태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50~100cm, 마디는 볼록해진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형 또는 난형, 길이 10~20cm, 폭 4~10cm이다. 꽃은 녹색,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 이삭꽃차례를 이루고 열매 시기에는 휘어져 거꾸로 달린다. 열매는 포과, 씨가 1개 들어 있다. [1]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50~100cm,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네모지며, 마디는 볼록해진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길이 4~8cm다. 잎몸은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 10~20cm, 폭 4~10cm, 양쪽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녹색,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이삭꽃차례를 이루고 열매 맺는 시기에는 휘어져 거꾸로 달린다. 포엽은 녹색, 난형이며, 3개 중 2개는 밑에 돌기가 2개씩 있다. 꽃받침은 5개, 피침형으로 길이 4~5mm다. 수술은 5개, 밑부분은 서로 붙는다. 암술은 1개다. 열매는 포과, 타원형, 씨가 1개 들어 있다. [2]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분포
전국 [1]
전국 [2]
대만, 일본, 중국, 히말라야 [1]
아시아, 북아메리카(도입) [2]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생태
산, 들, 농경지 주변 등에 자란다. 꽃은 8~9월 피며, 열매는 9월에 익는다. [1]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8~9월에 핀다. [2]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이용 및 활용
식용 또는 약용한다. [2]
어린잎은 식용하며, 뿌리는 약용한다. [3]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해설
약용 및 식용으로서 가치가 높은 생물자원이기 때문에 해외반출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1]
비름속(Amaranthus) 식물에 비해 잎은 마주나고, 꽃은 양성이며, 열매 맺는 시기에는 휘어져 거꾸로 달리므로 구분된다. 한방에서는 우슬(牛膝)이라 하여 뿌리를 약용한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2]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2019),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선정 연구
[2]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3]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국가생물종목록
분포지도
번호 | 자원번호 | 자원유형 | 채집지 | 채집일 |
---|---|---|---|---|
1 | NNIBRVP1119 | 건조 | 전라남도 광양시 진상면 어치리 | 2016-09-25 |
2 | NNIBRVP1248 | 건조 |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유평리 | 2016-09-03 |
3 | NNIBRVP1445 | 건조 |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 소화리 | 2016-10-13 |
4 | NNIBRVP1680 | 건조 |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봉암리 119 | 2016-11-04 |
5 | NNIBRVP1741 | 건조 |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요성리 | 2016-09-22 |
6 | NNIBRVP1742 | 건조 |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요성리 | 2016-09-22 |
7 | NNIBRVP1743 | 건조 |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요성리 | 2016-09-22 |
8 | NNIBRVP1744 | 건조 |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요성리 | 2016-09-22 |
9 | NNIBRVP1945 | 건조 | 제주도 서귀포시 강정동 | 2016-07-31 |
10 | NNIBRVP1946 | 건조 | 제주도 서귀포시 강정동 | 2016-07-31 |
11 | NNIBRVP1954 | 건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309 | 2016-07-30 |
12 | NNIBRVP1955 | 건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309 | 2016-07-30 |
13 | NNIBRVP1956 | 건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신촌리 | 2016-07-30 |
14 | NNIBRVP1958 | 건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신촌리 | 2016-07-30 |
15 | NNIBRVP51428 | 건조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박암리 | 2018-10-03 |
16 | NNIBRVP66477 | 건조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 785 | 2019-10-01 |
17 | NNIBRVP73426 | 건조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하갈리 53−2 | 2020-09-09 |
18 | NNIBRVP73427 | 건조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하갈리 53−2 | 2020-09-09 |
19 | NNIBRVP73428 | 건조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하갈리 53−2 | 2020-09-09 |
20 | NNIBRVP73429 | 건조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하갈리 53−2 | 2020-09-09 |
배양체
은행번호 | 학명,국명 | 분류군 | Strain no. | 동정자 | 채집정보 | 배양조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배지 | 온도 | pH | 산소요구성 | 광도 | 명암주기 | |||||||
No results. |
추출물
은행번호 | 학명,국명 | 채집지정보 | 제작정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추출용매 | 추출방법 | 추출부위 | 농도(mg/ml) | 제조일 | 제작자 | ||||
FBCC-EP1655 | 쇠무릎 Achyranthes bidentata var. japonica Miq. | 2022-09-01 | 충청북도 단양군 매포읍 하시리 | 70%에탄올 | 용매추출 | 전초 | 20 | 2023-06-01 | 최지수 | 상세보기 | ||
FBCC-EP1654 | 쇠무릎 Achyranthes bidentata var. japonica Miq. | 2022-09-01 | 충청북도 단양군 매포읍 하시리 | 증류수 | 열수추출 | 전초 | 20 | 2023-06-01 | 최지수 | 상세보기 |
조직
조직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채집일 | 채집지 | 조직부위 | 보존방법 |
---|---|---|---|---|---|---|
No results. |
DNA
DNA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Collection date | Collection location | 보존액 | 농도(ng/ul) | 순도(260/280) | 용량(ul) |
---|---|---|---|---|---|---|---|---|
No results. |
유전정보 번호 | 자원번호 | 분류군 | 학명,국명 | Strain no. | 프라이머셋명 | 근연종 | 유사도 (%) | 상세보기 |
---|---|---|---|---|---|---|---|---|
No results. |
종류 | |
---|---|
NCBI | |
유전자서열 |
Useful Code | 자원번호/은행자원번호 | 분류군 | Scientific name,Korea name | 유용성분야 | 유용성실험 | 상세보기 |
---|---|---|---|---|---|---|
No results. |
유전정보
유용성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