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물개구리밥
개요
논이나 연못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부유성 수생식물이다. 줄기는 촘촘하게 깃 모양으로 갈라지며 전체가 삼각형 또는 삼각상 타원형으로 되고 길이 1.5~7.0cm다. 실 같은 뿌리가 내리며 분지하지 않고 뿌리털이 거의 없다. 잎은 2줄로 어긋나고, 길이 2mm쯤으로 끝은 둔하며 가장자리는 투명한 막질이고, 표면은 붉은색을 띤다. 뒷면 잎 사이에 한 쌍의 포자낭과가 달리며, 대포자와 소포자가 각각 다른 포자낭과에서 발생한다. 포자는 9~10월에 성숙한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자라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이 종은 물개구리밥에 비해 전체에 거의 털이 없이 밋밋하고, 크기가 크며 뿌리가 가늘고 뿌리털이 없으며 잎 표면에 돌기가 없거나 모호한 돌기가 있는 특징으로 구분한다. 질소 고정원으로 사용하며, 관상용으로 심어 기른다.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형태
줄기는 촘촘하게 깃 모양으로 갈라지며 전체가 삼각형 또는 삼각상 타원형으로 되고 길이 1.5~7.0cm다. 실 같은 뿌리가 내리며 분지하지 않고 뿌리털이 거의 없다. 잎은 2줄로 어긋나고, 길이 2mm쯤으로 끝은 둔하며 가장자리는 투명한 막질이고, 표면은 붉은색을 띤다. 뒷면 잎 사이에 한 쌍의 포자낭과가 달리며, 대포자와 소포자가 각각 다른 포자낭과에서 발생한다. [1]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분포
남부지방 [1]
일본 [1]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생태
여러해살이 부유성 수생식물이다. 포자는 9~10월에 성숙한다. [1]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이용 및 활용
질소 고정원으로 사용하며, 관상용으로 심어 기른다. [1]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해설
본 종은 Azolla caroliniana Willd.에 비해 비늘처럼 겹쳐 나는 잎이 보다 떨어져 있고, A. caroliniana와 A. pinnata R. Br.의 중간 크기를 가지는 특징에 의해 신종으로 기재되었다. 국내에 분포하는 물개구리밥(A. imbricata (Roxb. ex Griff.) Nakai)과 함께 A. pinnata R. Br.의 이명으로 취급되기도 한다(Saunders and Flower, 1993; Reid et al., 2006). 물개구리밥에 비해 전체에 거의 털이 없이 밋밋하고 크기가 큰 특징으로 구분한다(Ohwi, 1984). [1]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국가생물종목록
분포지도
번호 | 자원번호 | 자원유형 | 채집지 | 채집일 |
---|---|---|---|---|
1 | NNIBRVP76167 | 건조 |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 230 | 2020-07-18 |
2 | NNIBRVP76168 | 건조 |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 230 | 2020-07-18 |
3 | NNIBRVP76169 | 건조 |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 230 | 2020-07-18 |
4 | NNIBRVP76221 | 액침 |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 230 | 2020-07-18 |
배양체
은행번호 | 학명,국명 | 분류군 | Strain no. | 동정자 | 채집정보 | 배양조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배지 | 온도 | pH | 산소요구성 | 광도 | 명암주기 | |||||||
No results. |
추출물
은행번호 | 학명,국명 | 채집지정보 | 제작정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추출용매 | 추출방법 | 추출부위 | 농도(mg/ml) | 제조일 | 제작자 | ||||
No results. |
조직
조직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채집일 | 채집지 | 조직부위 | 보존방법 |
---|---|---|---|---|---|---|
No results. |
DNA
DNA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Collection date | Collection location | 보존액 | 농도(ng/ul) | 순도(260/280) | 용량(ul) |
---|---|---|---|---|---|---|---|---|
No results. |
유전정보 번호 | 자원번호 | 분류군 | 학명,국명 | Strain no. | 프라이머셋명 | 근연종 | 유사도 (%) | 상세보기 |
---|---|---|---|---|---|---|---|---|
No results. |
종류 | |
---|---|
NCBI | |
유전자서열 |
Useful Code | 자원번호/은행자원번호 | 분류군 | Scientific name,Korea name | 유용성분야 | 유용성실험 | 상세보기 |
---|---|---|---|---|---|---|
No results. |
유전정보
유용성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