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나무
개요
소나무목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이다. 비교적 높은 산지의 숲 속과 능선부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40m, 지름 1.5m에 달한다. 줄기껍질은 흑갈색이며 거칠고, 회백색의 얕은 홈이 있다. 잎은 선형으로 길이 4cm, 폭 2mm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 뒷면 가운데 잎맥 양쪽에 하얀 기공선이 있다. 암수한그루이며 4~5월에 수분한다. 수구화수는 원통 모양으로 길이 15mm, 황록색이고, 2년지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암구화수는 2~3개가 가까이 달리며 긴 타원 모양으로 길이 3.5cm, 연한 녹색, 2년지에 곧추서서 달린다. 열매는 구과이며, 원통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고 길이 10~20cm, 폭 3.5cm이다. 10월에 익으며, 씨는 난상 삼각형으로 연한 갈색이고 날개가 있다. 목재는 건축재, 기구재, 선박재, 펄프재로 이용하며, 가로수 또는 산지 조림용으로 심는다. 일본에서 들여와 식재하고 있는 일본전나무와 비슷하나 소지에 털이 없고 어린잎이나 성숙한 잎이 모두 끝이 갈라지지 않고 하나인 점에서 구분할 수 있다. 젓나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중국 동북부, 러시아 우수리 지역 등에 분포한다.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형태
줄기는 높이 40m, 지름 1.5m에 달한다. 줄기껍질은 흑갈색이며 거칠고, 회백색의 얕은 홈이 있다. 잎은 선형으로 길이 4cm, 폭 2mm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 뒷면 가운데잎줄 양쪽에 하얀 기공선이 있다. 수솔방울은 원통 모양으로 길이 15mm, 황록색이다. 암솔방울은 2~3개가 가까이 달리며 긴 타원 모양으로 길이 3.5cm, 연한 녹색이다. 열매는 구과이며, 원통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고 길이 10~20cm, 폭 3.5cm다. 씨는 난상 삼각형으로 연한 갈색이며 날개가 있다. [1]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분포
전국 [1]
중국 동북부, 러시아 우수리 지역 [1]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생태
고위도 지역에서는 해발 10~1,200m, 저위도 지역에서는 해발 500~1,500m의 산지에서 자란다. 여름철에 강수량이 많고 겨울철에는 건조하나 눈이 오랫동안 쌓여 있는 산지의 경사면의 화강암이 풍화된 암설토에 자라며 북한 함경도 이북의 고위도 지역으로 갈수록 우점하기도 하나 잣나무와 함께 자란다. 저위도 지역에서는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느릅나무(Ulmus davidiana Planch. var. japonica (Rehder) Nakai),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Miq.) Hara)등의 낙엽활엽수와 혼재한 혼합수림을 이룬다(Farjon 1990). [1]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이용 및 활용
목재는 건축재, 기구재, 선박재, 펄프로 이용하며, 가로수 또는 산지 조림용으로 심는다. [1]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해설
본 분류군은 수피가 짙은 회색이고, 불규칙적으로 벗겨지며 씨가 달린 구과의 길이가 10cm보다 큰 특징이 있다. 일본에서 들여와 식재하고 있는 일본전나무(Abies firma Siebold & Zucc.)와 비슷하나 소지에 털이 없고 어린 잎이나 성숙한 잎이 모두 끝이 갈라지지 않고 하나인 점에서 구분할 수 있다(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1]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국가생물종목록
분포지도
번호 | 자원번호 | 자원유형 | 채집지 | 채집일 |
---|---|---|---|---|
1 | NNIBRVP70407 | 건조 | 강원도 태백시 삼수동 323−1 | 2020-09-15 |
2 | NNIBRVP84322 | 건조 |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청계리 | 2016-10-23 |
3 | NNIBRVP84323 | 건조 |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청계리 | 2016-10-23 |
4 | NNIBRVP84324 | 건조 |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청계리 | 2016-10-23 |
5 | NNIBRVP84325 | 건조 |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청계리 | 2016-10-23 |
6 | NNIBRVP102060 | 건조 |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가목리 산8-24 | 2021-07-17 |
7 | NNIBRVP118007 | 건조 |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동곡리 산136 | 2009-02-24 |
8 | NNIBRVP119454 | 건조 | 강원 평창군 용평면 운두령로 656 | 2023-04-17 |
9 | NNIBRVP121384 | 건조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256-2 | 2023-07-15 |
10 | NNIBRVP140523 | 건조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화촌면 구성포리 1259-23 | 2024-06-12 |
배양체
은행번호 | 학명,국명 | 분류군 | Strain no. | 동정자 | 채집정보 | 배양조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배지 | 온도 | pH | 산소요구성 | 광도 | 명암주기 | |||||||
No results. |
추출물
은행번호 | 학명,국명 | 채집지정보 | 제작정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추출용매 | 추출방법 | 추출부위 | 농도(mg/ml) | 제조일 | 제작자 | ||||
FBCC-EP1707 | 전나무 Abies holophylla Maxim. | 2023-07-15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 70%에탄올 | 용매추출 | 전초 | 20 | 2024-05-08 | 최지수, 황병수 | 상세보기 | ||
FBCC-EP1706 | 전나무 Abies holophylla Maxim. | 2023-07-15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 증류수 | 열수추출 | 전초 | 20 | 2024-05-08 | 최지수, 황병수 | 상세보기 |
조직
조직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채집일 | 채집지 | 조직부위 | 보존방법 |
---|---|---|---|---|---|---|
No results. |
DNA
DNA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Collection date | Collection location | 보존액 | 농도(ng/ul) | 순도(260/280) | 용량(ul) |
---|---|---|---|---|---|---|---|---|
No results. |
유전정보 번호 | 자원번호 | 분류군 | 학명,국명 | Strain no. | 프라이머셋명 | 근연종 | 유사도 (%) | 상세보기 |
---|---|---|---|---|---|---|---|---|
No results. |
종류 | |
---|---|
NCBI | |
유전자서열 |
Useful Code | 자원번호/은행자원번호 | 분류군 | Scientific name,Korea name | 유용성분야 | 유용성실험 | 상세보기 |
---|---|---|---|---|---|---|
No results. |
유전정보
유용성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