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담수생물다양성
  • HOME
  • 담수생물다양성

종 상세정보

용상어

<i>Acipenser</i> <i>medirostris</i> Ayres, 1854
  • 학명
    Acipenser medirostris Ayres, 1854
  • 분류체계
    척삭동물문 > 조기강 > 철갑상어목 > 철갑상어과 > 철갑상어속 > 용상어
  • 일반분류군
    어류
  • 자원정보
    (0점)
  • 분양정보
    (0점)
  • 유전정보
    (0점)
  • 유용성정보
    (0점)

용상어 Acipenser medirostris Ayres, 1854

공공누리
다운로드
원본 이미지가 필요하신 분은digitalspecimen@nnibr.re.kr 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섬네일

종정보

  • 개요

    우리나라의 경골어류 중에서 가장 하등한 어류로서 두부 전체가 융합되어 있고 골격 대부분이 연골로 되어 있다. 전장은 150cm에 이른다. 체측 중앙상단부의 체색은 짙은 회색 또는 연한 갈색이며, 체측 중앙 하단부부터 복부의 체색은 연한 회색이다. 주둥이 부위는 약간 종편되어 있고 체측부위는 원통형이다. 체형은 긴 막대형이다. 등지느러미는 체측 후반부에 위치하며 외연은 둥글다. 등지느러미 기저 시점은 배지느러미 기저 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기저 후단은 뒷지느러미 기저 시점보다 약간 전방에 위치한다. 가슴지느러미는 체측 중앙보다 하단부에 위치하며, 체측인판열의 5-7인판에 이르고 상엽은 약간 뾰족하다. 배지느러미는 체측 중앙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가슴지느러미와 현저히 이격되어 있고 외연은 약간 둥글다. 항문은 배지느러미의 중간에 위치하며 체측 중앙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뒷지느러미 기저 시점과 현저히 이격되어 있다. 뒷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 기저 후단보다 약간 후방에서 시작하고 외연은 약간 둥글다. 꼬리지느러미는 부정형으로 상엽이 하엽보다 크고 길다. 주둥이는 전방으로 현저히 돌출되어 있다. 입은 두부의 복면에 위치한다. 입은 두부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입의 앞부분에 4개의 긴 촉수가 있다. 양쪽 아가미의 협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두부의 배 쪽 면과 연결되어 있다. 두부의 전체는 골판으로 융합되어 있다. 체측의 인판을 제외한 피부는 가죽과 같이 매끄럽고 윤택이 난다. 상하악에 이빨은 없다. 측선은 없다. 4-5월의 산란기에 하천으로 이동하여 200만 개 정도의 알을 수초 등에 낳는다. 산란한 개체들은 담수와 기수역에서 성장하고 가을철에 바다로 내려간다. 산란된 알은 1주일이면 부화한다. 최대 수명은 60-70년이며, 최소 15년 동안 산란한다. 군산, 웅기, 원산 등지에서 채집된 바 있으나 최근에는 기록이 없다. 일본 북해도, 러시아 사할린, 북미 연안에 서식한다. 식용 가능한 어류이나 체측 근육부를 식용으로 활용하기보다는 암컷의 난소와 알을 염장하여 캐비어를 만들어 식용한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 형태

    전장은 150cm에 이른다.
    등지느러미는 35-40연조, 뒷지느러미는 25-30연조, 가슴지느러미는 45연조, 배지느러미는 25연조, 새파수는 18-21개, 두부 후단부에서 등지느러미 기점전의 인판열은 1열이며 7-10개 인판이 있다. 아가미 후단부터 미병부까지의 체측인판열은 1쌍이며 34-36개 인판이 있다. 가슴지느러미 후연부터 배지느러미 기점의 인판열은 2열이며 8-9개 인판이 있다. 등지느러미 기저 후단부터 미병부까지의 인판열은 4-6개, 뒷지느러미 기점전 인판수는 1-2개, 뒷지느러미 기저 후단부터 미병부까의 인판열은 2-4개이다.
    전장은 체고의 6.5-7.0배, 두장의 3.1-4.8배이다. 두장은 주둥이 길이의 2.0-2.5배이다.
    체측 중앙상단부의 체색은 짙은 회색이나 연한 갈색이며, 체측 중앙 하단부부터 복부의 체색은 연한 회색이다.
    주둥이 부위는 약간 종편되어 있고 체측부위는 원통형이다. 체형은 긴 막대형이다. 등지느러미는 체측 후반부에 위치하며 외연은 둥글다. 등지느러미 기저 시점은 배지느러미 기저 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기저 후단은 뒷지느러미 기저 시점보다 약간 전방에 위치한다. 가슴지느러미는 체측 중앙보다 하단부에 위치하며, 체측인판열의 5-7인판에 이르고 상엽은 약간 뾰족하다. 배지느러미는 체측 중앙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가슴지느러미와 현저히 이격되어 있고 외연은 약간 둥글다. 항문은 배지느러미의 중간에 위치하며 체측 중앙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뒷지느러미 기저 시점과 현저히 이격되어 있다. 뒷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 기저 후단보다 약간 후방에서 시작하고 외연은 약간 둥글다. 꼬리지느러미는 부정형으로 상엽이 하엽보다 크고 길다. 주둥이는 전방으로 현저히 돌출되어 있다. 입은 두부의 복면에 위치한다. 입은 두부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입의 앞부분에 4개의 긴 촉수가 있다. 양쪽 아가미의 협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두부의 배 쪽 면과 연결되어 있다. 두부의 전체는 골판으로 융합되어 있다. 체측의 인판을 제외한 피부는 가죽과 같이 매끄럽고 윤택이 난다. 상하악에 이빨은 없다. 측선은 없다.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 분포

    군산, 웅기, 원산(Mori(1952)) 이후의 국내 출현기록은 없다. [1]
    일본(북해도), 러시아(사할린), 북미대륙 연안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 생태

    4-5월의 산란기에 하천으로 이동하여 200만 개 정도의 알을 수초 등에 낳는다. 산란한 개체들은 담수와 기수역에서 성장하고 가을철에 바다로 내려간다. 산란된 알은 1주일이면 부화한다. 최대 수명은 60-70년이며, 최소 15년에 산란에 참여한다(Berg, 1948; Lee et al., 1980).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 이용 및 활용

    식용 가능한 어류이나, 체측 근육부를 식용으로 활용하기보다는 암컷의 난소와 알을 염장하여 캐비어(caviar)를 제작하여 주로 식용한다. 인간의 남획으로 인하여 CITES II에 해당되는 국제 멸종위기보호대상종이다.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 해설

    Sakhalin sturgeon, Acipenser mikadoi (type locality: Hokaido, Japan)와 Green strurgeon, Acipenser medirostris (type locality: California, USA.)의 등지느러미 연조수, 뒷지느러미 연조수, 총 6군데의 골질판 및 새파수 등의 계수형질과 두장비 등의 계측형질들은 대부분 중복되고 있다(Berg, 1948; North et al., 2002; Artyukhin et al., 2007). 심지어 생식소 성숙지수(gonadosomatic index)와 유전자 분석(D-loop and cyt b gene)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두 종간의 유연성이 밀접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Ludwig et al., 2001; Van Eenennaam et al., 2006).
    Acipenser속 어류는 강 하구의 기수역과 담수역에서만 분포하는 어류이므로 해당 종의 서식 및 분포범위는 종의 분류에 대한 주요한 분류 형질이다. Acipenser mikadoi는 한국, 일본 및 러시아 등의 서태평양 연안에 분포하고, Acipenser medirostris는 캐나다와 미국의 동태평양 연안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Birstein, 1993; Birstein et Bemis, 1997; Artyukhin et al., 2007; Hilton et al. 2011).
    Acipenser속 어류의 생물진화적 경로는 아시아 조상집단에서 북미 자손집단으로 유래되었고, mitochondrial gene 분석을 통하여 두 종간의 차이가 분명하다고 하였다(Birtstein et al., 2002; Artyukhin et al., 2007; Shmigirilov, 2007).
    한편 우리나라에서도 본 종의 분류는 혼동이 있었다. Chyung(1967)은 본 종을 Acipenser mikadoi로 분류하였고, Chyung(1977)은 본 종을 Acipenser medirostris로 분류하고 있다. 이후, 본 종의 학명은 Acipenser medirostris로 분류되고 있다(Youn, 2002; Kim et al., 2005). 그러나, 서식 및 분포범위의 특징, 상기 두 종간의 유연적 상이함 및 Acipenser속 어류의 아시아 집단이 원시적 분포기원이라 생물지리적 특징 등에 의하여 한국산 “용상어”의 학명은 Acipenser mikadoi Hilgendorf, 1892를 사용함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1]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 출처

  • [1] 국립생물자원관(2015),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국가생물종목록

분포지도

자원정보

번호, 자원번호, 채집지, 채집환경, 채집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번호 자원번호 자원유형 채집지 채집일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검색결과 더보기 +

분양정보

배양체

체크박스, 은행번호, 학명,국명, 분류군, Strain no., 동정자, 채집지정보(채집환경, 채집일, 채집자), 배양조건(배지,온도,pH,산소요구성,광도,명암주기), 상세보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은행번호 학명,국명 분류군 Strain no. 동정자 채집정보 배양조건 상세보기
채집환경 채집일 채집지 배지 온도 pH 산소요구성 광도 명암주기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추출물

체크박스,은행번호,학명,국명, 채집자정보(채집환경,채집일,채집지), 제작정보(추출용매,추출방법,추출부위,농도(mg/ml),제조일,제작자), 상세보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은행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정보 제작정보 상세보기
채집환경 채집일 채집지 추출용매 추출방법 추출부위 농도(mg/ml) 제조일 제작자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조직

체크박스, 조직번호, 자원유형(조직), 분류군, 채집일, 채집지, 조직부위(플랫폼 상시료종류), 보존방법, 상세보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조직번호 자원유형 분류군 채집일 채집지 조직부위 보존방법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DNA

체크박스, DNA번호, 자원유형(gDNA), 분류군, 채집일, 채집지, 보존액, 농도(ng/ul), 순도(260/280), 용량(ul), 상세보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DNA번호 자원유형 분류군 채집일 채집지 보존액 농도(ng/ul) 순도(260/280) 용량(ul)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유전정보

유전정보번호, 자원번호, 분류군, 학명,국명, Strain no., 프라이머셋명, 근연종, 유사도(%), 상세보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유전정보 번호 자원번호 분류군 학명,국명 Strain no. 프라이머셋명 근연종 유사도 (%) 상세보기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유전정보

종류, NCBI, 유전자서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종류
NCBI
유전자서열

유용성정보

유용성정보번호, 자원번호/은행번호, 분류군, 학명,국명, 유용성분야, 유용성실험(플랫폼 상 소제목), 상세보기 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유용성번호 자원번호/은행자원번호 분류군 학명,국명 유용성분야 유용성실험 상세보기
조회결과가 없습니다.

유전정보

유용성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