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 - 금강도감
P. 7

머리말    7





                돌말류 59종류와 계룡산에서 발원하는 용수천과 노성천의 10개 정점에서 돌말류 57종류를
                각각 동정하여 정점별 출현양상을 비교하였다. 이학동(1980)은 청주시내를 관통하는 무심천

                의 7개 정점에서 11종류의 돌말류를 동정하였고, 정영호 등(1985)은 1984년 8월부터 1985

                년 5월까지 금강 하류역 5개 정점에서 돌말류 68종류를 동정하였으나 정점 1은 사실상 해양

                으로 이곳에서 출현한 해산 돌말류가 11종류였다.
                  1980년 금강 중류에 건설된 대청호는 상수원 및 홍수 방지와 관개용수의 역할을 하는
                중요한 수자원인 바, 1990년대부터 남조류에 의한 녹조현상으로 비교적 많은 연구가 수행
                되었다. 정상진(1995)는 대청호에서 식물플랑크톤군집의 종조성, 현존량과 우점도 지수 및

                종 다양성 지수를 논의하였다. 오광철 등(1995)은 대청호 추동 지점에서 1993년 8월 28∼

                30일, 10월 7∼9일 2차에 걸쳐 식물플랑크톤의 일주성 조사를 하여 남조류의 변동을 연구
                하였다. 오희목 등(1997)은 대청호에서 녹조발생 시 남조류와 인의 농도와의 관계를 규명

                하였으며, 이어서 오희목 등(1998)은 성층파괴 시에 남조류의 수직 분포를 밝혔다. 오희목

                등(1999)은 1998년 5월부터 11월까지 대청호 내에서 취기물질을 생산하는 남조류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 추동지점과 회남교 아래에서 돌말류, 녹조류, 남조류의 월간 동태를
                파악하였다. 신재기 등(1999)은 대청호에서 수환경 요인과 식물플랑크톤의 변동에서 우점

                종인 돌말류 6종과 남조류 3종, 녹조류 4종 등의 원별 현존량을 규명하였으며, 이진환 등
                (2000)은 1998년 5월부터 11월까지 대청호의 2개 정점 표·중·저층에서 수질과 일차생
                산을 나타내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13가지 물리·화학적 환
                경요인을 조사하여 식물플랑크톤 대발생은 년 중 유지하고 있었으며, 봄철 대발생은 아질
                산염, 질산염 및 인산염의 영향이라고 하였다. 김철호와 이정호(2000)는 대청호 하류에서

                남조류 Anabaena cylindrica의 생장억제 세균은 7~10월에 더 많이 검출되었다. Park et

                al. (2001)은 대청호에서 1999년 4월부터 10월까지 25주간에 걸쳐 이화학적, 생물학적
                수질과 geosmin 농도를 조사하였으며, 이취미 물질인 geosmin은 8월 31일에 농도가 가장 높
                았고, phycocyanin 농도, cyanobacteria 세포수, Anabaena spiroides 세포수 등이 최고조에

                달해 일치함을 규명하였다. Joung et al. (2002)은 대청호의 수질과 남조류 anatoxin 농도
                는 7월에 질산염, TN, TP 등과 높은 상관성을 갖는다고 하였다. 2001년 6월부터 10월까지
                대청호에서 남조류의 수화발달과 환경요인의 상관을 총인과 인산염의 높은 상관성을 밝혀냈

                으며(이정준 등 2003), 남조류 수화현상에 강우의 영향을 연구하였으나 강우보다는 일조가

                더 중요하다고 하였다(Ahn et al. 2003). 심정기(2002)는 갑천에서 2001년 8월부터 2002


                년 6월까지 미소생물상을 연구하면서 31과 58속 105종 17변종 3품을 동정하였으며, 이 중
                돌말류가 28분류군이었으며, 남조류는 13분류군, 그 외 녹조류, 유글레나조류, 원생동물이었
                다. 박종근(2005)은 1997년 3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대청호의 5개 정점에서 남조세균의
   2   3   4   5   6   7   8   9   10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