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7 - 남한강도감
P. 47

46   남한강의 식물플랑크톤 도감



                 13. Stephanodiscus hantzschii Grunow in Cleve & Grunow 1880


               ● 참고문헌: Krammer & Lange-Bertalot 1991a, p. 73, pl. 75, figs. 4-11; 조 2010a, p. 79,
                 figs. 61A-E; Burge & Edlund 2016a in Diatoms of North America.



               세포는 얇은 북 모양이며, 대게 단세포이나 대발생시 간혹 짧은 군체를 만들기도 한다. 뚜껑
               면과 각투면 사이 경계가 뚜렷하며 각투면은 매우 짧다. 뚜껑면에는 1-5개 공문열이 하나의

               선을 이루어 방사상으로 배열하고, 그 사이 돌출맥이 있으며, 돌출맥은 10 μm 당 8-10열이
               고, 공문열의 공문은 10 μm에 22-25개이다. 뚜껑면 중앙부에 작은 원형의 돌출맥이 발달하

               고, 그 내부에 수개의 공문이 있고, 중앙부의 원형 돌출맥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맥이 뻗는 모
               양이다. 뚜껑면의 돌출맥 가장자리 끝에 가시가 10 μm 당 8-12개로 배열하며, 동시에 미세

               한 극모(seta)가 길게 사방으로 돌출하는 경우가 있다. 주변부의 가시 밑에는 2, 3개 간격으

               로 받침돌기가 표면과 내부 밖으로 돌출하고, 돌기 주변에는 3개의 지주공이 받치고 있다. 뚜
               껑면 중앙부에는 받침돌기가 없다. 뚜껑면 가장자리에 위치한 환상 배열한 가시 중에서 한
               개는 입술돌기이다. 뚜껑면은 직경 12-20 μm이다. 색소체는 작은 접시형으로 각투면에 집

               중되어 있다.


               ● Note: Stephanodiscus hantzschii f. tenuis보다 크고, 광학현미경에서도 공문열을 관찰할
                 수 있다.
               ● 생태학적 특징: 온대 및 한대 지역의 담수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저온성 플랑크톤으로서

                 호소성이나 국내에서는 호수와 하천을 가리지 않고 발생하며 겨울과 봄에 많이 발생한다.
               ● 채집지: 2018년 5-12월, 여주 남한강 등, 충주호 하류 지역에서 드물게 관찰되었다.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