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0 - 금강도감
P. 140

140  금강의 식물플랑크톤 도감



                 58. Navicula rostellata Kützing 1844



               ● 이명: Navicula rhynchocephala var. rostellata(Kützing) Cleve & Grunow 1880
                  Navicula rostellata f. minor Grunow 1880

                  Navicula viridula var. rostellata(Kützing) Cleve 1895
               ● 참고문헌: 이정호 2012, 42. figs 7B-D; 이재관 등 2016, 226. pl. 38, figs 11-13; 이진환
                 등 2013, 57. figs A-D.


               세포는 단독성이다. 둘레면 보기에서 직사각형이며, 뚜껑면 보기에서는 선형 또는 선형-피침
               형이고, 양쪽 정단부에서 미약한 부리형 또 두상형이다. 등줄은 뚜껑면 중앙의 두 곳에서 시
               작하여 직선형으로 양단으로 뻗으며, 말단부에서 갈고리 모양으로 구부러진다. 뚜껑의 중앙
               부 폭은 4.5-6.5 μm이고, 세로축의 길이는 14.5-19.0 μm이다. 망목은 아주 작은 직사각형



               모양이며 10 μm당 34-37개이다. 점무늬 열은 뚜껑면 중앙에서 약한 방사상으로 배열하며,

               정단부에서 가로축에 평행하다. 점무늬 열은 10 μm에 13-15개이다. 세로축 역은 좁고 직선
               형이고, 중앙역은 보타이 모양으로 비교적 넓다.


               ● 생태학적 특징: 본 종은 오염에 강한 내성을 가진 해양 및 담수성 종이며(www.algaebase.

                 org, 2019), 또한 중성 및 약알카리성 담수를 선호하며 빈영양역 수역에서 서식하는 특징
                 이 있다(Patrick and Reimer 1966). 우리나라에서도 1969년 한강에서 보고된 이래 의암

                 호, 북한강, 남한강, 임진강, 낙동강 수계인 안동호, 임하호, 영천호, 운문호, 합천호, 진양

                 호, 형산강 등, 섬진강, 금강의 대청호 등에 널리 분포하는 종이다(Lee 1997; 이정호 2012;

                 이재관 등 2016). 이 종은 부영양화된 담수역에서 기수역에 주로 출현하며, 한강 하류역에
                 서는 겨울철부터 이듬해 봄철(12-3월)에 걸쳐 주로 관찰되었다(이진환 등 2013). 낙동강


                 에서 2014년 6월, 9월, 10월에 저서성으로 출현빈도가 높았고, 일부 부유성으로 출현하였
                 다(이진환 등 2017). 북한강에서 2017년 5월, 6월, 7월, 9월에 팔당호, 춘천호, 화천호에서

                 출현빈도가 높지 않았으며(이옥민 등 2017), 남한강에서는 본류와 지류, 충주호에서 관찰

                 되었으며, 여주 청미천과 단양 죽령천에서 출현량이 크게 증가되었다(이옥민 등 2018). 금

                 강에서 2019년 3월 19일 진안군 중앙교 아래에서 저서성으로 출현하였다.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