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7 -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I 담수어류 잉어목
P. 87

잉어목 > 잉어과 > 눈불개아과 > 눈불개  잉어목 > 잉어과 > 대두어아과 > 대두어


 75  눈불개   Squaliobarbus curriculus (Richardson, 1846)  76  대두어   Hypophthalmichthys nobilis (Richardson, 1845)

 영명  barbel chub    관리대상  해당없음  영명  bighead carp    관리대상  해당없음

 표본번호 : NNIBR-P18762  표본유형 : 액침  1차 고정 : 포르말린   표본번호 : NNIBR-P******  표본유형 : 액침  1차 고정 : 포르말린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 I  담수어류: 잉어목






                                              준비중

 Ⅵ . 어류목록










 형태   전장: 20~30cm,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형태   전장: 50~100cm,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7, 뒷지느러미 기조수: iii 6~7, 측선린수:   7~10, 뒷지느러미 기조수: iii 12~13, 측
 47~48, 척추골수: 45~46, 새파수: 13~14.   선린수: 96~112, 척추골수: 38, 새파수:
 몸은 길고 앞쪽은 원통형, 뒤쪽은 옆으로 납  240~300. 몸은 긴 방추형이며 옆으로 납작
 작하다. 머리는 작고 원추형이다. 눈사이의   하고, 체고가 높다. 눈은 중앙보다 아래 위치
 간격은 비교적 넓다. 입가에는 한 쌍의 수염  한다. 주둥이는 둥글고 뭉툭하다. 입은 크고
 이 있다. 위턱이 아래턱보다 길다. 옆줄은 완  약간 위쪽을 향하며 입수염은 없다. 비늘은
 전하며 앞부분은 아래로 휜다. 체색은 등쪽  작고, 옆줄은 완전하며 아래로 약간 휜다. 배
 은 녹갈색, 옆면과 배쪽은 은백색이다. 눈의   지느러미에서 항문 앞까지 날카로운 융기연
 동공 윗부분은 붉다. 옆줄 위의 비늘에는 앞  이 있다. 체색은 검으며, 머리 아래와 복부는
 쪽 가운데에 검은 점이 있어 여러 줄의 점줄  은백색을 띤다. 몸 옆면에 불규칙한 검은 점
 무늬처럼 보인다. 꼬리지느러미는 진한 회색  이 있다. 각 지느러미는 회색이다.
 을 띤다.
           생태   중큰 강의 하류, 큰 저수지, 댐호에서 살며,
 생태   큰 강 하류의 흐름이 느린 곳에서 산다. 부착  동물플랑크톤을 먹는다. 번식기는 6~8월이
 조류, 식물, 수서곤충, 물고기알, 작은 물고  며, 부유성 알을 낳는다.
 기 등을 먹는다. 번식기는 6~8월이다.  분포   중국 동북부에서 서강 수계까지의 중국대륙
 표본 소장 현황                                                         표본 소장 현황
 분포   대동강에서 만경강까지의 서해로 흐르는 하  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1967년 대만에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천에 분포한다. 한강에서는 현재 발견되지   서 도입하여 양식을 시도하였으나 정착되지
 한   강
 않는다. 중국에도 있다.     3  %  는 않았다. 가끔 큰 댐이나 저수지에서 출현
                하고 있다.
 금   강
 97  %



 86                                                                                                    87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