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2 -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I 담수어류 잉어목
P. 82

잉어목 > 잉어과 > 끄리아과 > 참갈겨니                                                                           잉어목 > 잉어과 > 끄리아과 > 피라미


                       71        참갈겨니   Zacco koreanus Kim, Oh and Hosoya, 2005                                          72        피라미   Zacco platypus (Temminck and Schlegel, 1846)

                                 영명  Korean dark chub    관리대상  한국고유종                                                                영명  pale chub    관리대상  해당없음

                      표본번호 : NNIBR-P14532       표본유형 : 액침                 1차 고정 : 포르말린                                   표본번호 : NNIBR-P10964       표본유형 : 액침                 1차 고정 : 포르말린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 I  담수어류: 잉어목









      Ⅵ . 어류목록










                     형태   전장: 15~20cm,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7,                                                               형태   전장: 15~17cm,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7,
                         뒷지느러미 기조수: iii 9~10, 측선린수:                                                                         뒷지느러미 기조수: iii 9, 측선린수: 42~45,
                         47~53, 측선상부린수: 8.5~10.5, 척추골                                                                       척추골수: 37~40, 새파수: 12~17. 몸은 가
                         수: 39~41, 새파수: 9~11. 몸은 길고 옆으                                                                      늘고 길며, 옆으로 납작하다. 눈은 작은 편이
                         로 납작하다. 입은 앞을 향하고 약간 비스듬                                                                           다. 입수염은 없다. 옆줄은 완전하며, 앞부
                         하며 입수염은 없다. 눈은 큰 편이다. 옆줄은                                                                          분은 아래로 휜다. 비늘은 참갈겨니보다 약
                         완전하고 앞 부분은 아래로 휜다. 비늘은 갈                                                                           간 작다. 번식기의 수컷에서는 주둥이, 눈 주
                         겨니보다 약간 더 크다. 수컷은 번식기에 주                                                                           위, 뺨, 뒷지느러미에 추성이 나타난다. 뒷
                         둥이, 눈주위, 뺨, 뒷지느러미에 추성이 나                                                                           지느러미는 매우 길어져 있다. 체색은 몸 옆
                         타난다. 체색은 황갈색이며 등쪽은 갈색이                                                                             면은 청록색을 띠며 등쪽은 진한 녹갈색, 배
                         더 진하고 배쪽은 은백색이다. 눈의 윗부분                                                                            쪽은 은백색이다. 몸 옆면에는 분홍색 또는
                         은 검다. 몸옆 가운데에는 검은 세로띠가 꼬                                                                           주홍색의 가로띠가 불규칙하게 배열된다. 눈
                         리 끝까지 이어진다. 번식기에 배 아랫면은                                                                            의 동공 윗부분은 붉은색을 띠며, 주둥이 윗
                         주황색, 그 위의 옆면은 노란색을 띤다. 가슴                                                                          부분도 약간 붉다. 번식기의 수컷은 턱아래
                         지느러미 앞가장자리의 붉은 띠의 유무, 등                                                                            부분과 뒷지느러미가 검붉게 되며 몸 전체의
                         지느러미의 색깔 패턴에 따라 3개의 집단으                                                                            색깔이 아주 화려해진다.
                         로 구분된다.                                            표본 소장 현황                                                                                           표본 소장 현황
                                                                                                                       생태   중, 하류 하천에 주로 살며, 여울을 좋아한
                     생태   하천 중, 상류의 흐름이 느린 곳에 살며, 수서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다. 부착조류를 주로 먹는다. 번식기는 5~7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곤충이나 육상곤충을 먹는다. 번식기는 5~6              섬진강                                                          월로 알려져 있으며, 모래와 자갈이 섞인 곳              섬진강
                                                                 10 %                                                                                               4 %
                         월이며, 모래와 자갈이 섞인 곳에 산란한다.                                                                           에 알을 낳는다.
                                                               영산강                            한   강                                                               영산강                            한   강
                     분포   임진강 이남의 서해, 남해, 삼척 남쪽의 동해            4 %                            32  %                    분포   서해, 남해, 동해 남부로 흐르는 대부분의 하             5 %                            26  %
                         로 흐르는 하천에 분포한다. 강원도 동해안의                                                                           천에 분포한다. 중국, 대만, 일본에도 있다.
                         하천에는 이식되었다. 우리나라 고유종이다.               금   강                          낙동강                                                                 금   강                          낙동강
                                                                 7 %                          47  %                                                                 10 %                         56  %
      82                                                                                                                                                                                                           83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