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9 -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I 담수어류 잉어목
P. 89

잉어목 > 잉어과 > 대두어아과 > 백연어  잉어목 > 잉어과 > 종개과 > 쌀미꾸리


 77  백연어   Hypophthalmichthys molitrix (Valenciennes, 1844)  78  쌀미꾸리   Lefua costata (Kessler, 1876)

 영명  silver carp    관리대상  해당없음  영명  eight barbel loach    관리대상  해당없음

 표본번호 : NNIBR-P******  표본유형 : 액침  1차 고정 : 포르말린   표본번호 : NNIBR-P15815  표본유형 : 액침  1차 고정 : 포르말린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 I  담수어류: 잉어목






 준비중

 Ⅵ . 어류목록










 형태   전장: 50~100cm,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형태   전장:  5~6cm,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7, 뒷지느러미 기조수: iii 12~14, 측선린수:   6, 뒷지느러미 기조수: iii 5, 측선린수:
 98~120, 척추골수: 35, 새파수: 650~820.   101~108,  척추골수:  34~38,  새파수:
 몸은 긴 방추형이며 옆으로 납작하고, 체고  12~13. 몸은 가늘고 길며, 머리는 아래위
 가 높다. 눈은 중앙보다 아래 위치한다. 주둥  로 약간 납작하고 꼬리자루는 옆으로 납작
 이는 둥글고 뭉툭하다. 입은 크고 약간 위쪽  하다. 입은 주둥이 아래에 있으며, 입수염은
 을 향하며 입수염은 없다. 비늘은 작고, 옆줄  외비공에 1쌍, 위턱에 3쌍이 있다. 옆줄은
 은 완전하며 아래로 약간 휜다. 가슴지느러  없다. 꼬리지느러미 뒤가장자리는 둥글다.
 미 기부 아래에서 항문 앞까지 날카로운 융  체색은 연한 갈색 바탕에 등쪽은 약간 진하
 기연이 있다. 체색은 등쪽은 청회색이고 몸   다. 몸 옆면에는 작은 흑갈색 반점이 흩어져
 옆면과 복부는 은백색을 띤다. 몸 옆면에는   있다. 암수 모두 꼬리지느러미 기부 가운데
 검은 점이 없다. 각 지느러미는 회색이다.  에 긴 삼각형의 검은 반점이 있다. 수컷에서

 생태   큰 강의 하류, 큰 저수지, 댐호에서 살며, 주  는 몸 옆 가운데에 굵고 검은 세로띠가 길게
 로 식물플랑크톤을 새파로 걸러 먹는다. 번  있으나 암컷에서는 불분명하다. 암컷에서는
 식기는 6~7월이다.    몸 옆에 굵은 점무늬가 있는 경우가 많다.

 분포   아무르강에서 서강 수계까지의 중국대륙에   생태   중, 하류 하천의 물이 고인 곳, 저수지, 늪,
 표본 소장 현황                                                         표본 소장 현황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1963~1967년 사이  농수로에서 살며, 용천수가 있는 곳이나 수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온이 낮은 곳을 좋아한다. 주로 수서곤충을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에 일본과 대만에서 도입하여 양식을 시도하
 였으나 정착되지는 않았다. 가끔 한강이나   먹는다. 번식기는 4~6월이다.           금   강
                                                      4  %
 낙동강의 큰 댐에서 출현하고 있다.  분포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한다. 시베리아와 중국
 금   강          에도 있다. 일본에는 이식되어 서식한다.                낙동강                            한   강
   100 %                                                11%                          85 %



 88                                                                                                    89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