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 - 남한강도감
P. 39

38   남한강의 식물플랑크톤 도감



                 9. Cyclotella meneghiniana Kützing 1844



               ● 이명: Stephanocyclus meneghinianus(Kützing) Skabitschevsky 1975.
               ● 참고문헌: Hustedt 1930, p. 100, fig. 67; Krammer & Lange-Bertalot 1991a, p. 44, pl.

                 44, figs. 1-10; 정 1993, p. 251, fig. 177; 심 1994, p. 143, fig. 13; 조 2010a, p. 62, figs.
                 46A-P; Park et al. 2013, p. 414, figs. 5A-H; Lowe & Kheiri 2015 in Diatoms of North
                 America.


               세포는 북 모양이며, 단세포이나 때로는 2, 3개 세포가 연결되어 관찰된다. 뚜껑면은 중심부
               와 주변부로 뚜렷하게 구분되고, 중심부에는 융기된 곳과 함입된 곳이 있어 심하게 굴곡이
               진다. 주변부에는 방사상 점문열이 있고, 그 사이 돌출맥이 있고, 돌출맥은 표면에서 함몰된
               형태로서 10 μm에 6-10열이다. 돌출맥의 말단 부분에 받침돌기가 있으며, 중심부 함입부에

               도 1-4개의 받침돌기가 흩어져 있다.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뚜껑면 주변부의 받침돌기는
               돌출맥 끝 마다 위치하나, 관 모양의 외부 돌출부가 없다. 뚜껑면의 중심부 받침돌기의 지주
               공은 3개, 주변부 돌기의 지주공은 2개이다. 한 개의 입술돌기가 뚜껑면 중심부 근처에 있다.

               뚜껑면은 직경 5-43μm이다.

               ● 생태학적 특징: 본 종은 정수 또는 유수에서 플랑크톤보다는 저서 돌말류로 더 많이 나타나
                 고, 심수층보다는 가장자리 얕은 곳에서 바닥 돌말류 또는 플랑크톤으로 출현한다. 기수
                 지역에도 쉽게 관찰되는 광분포 종으로서 부양양성이면서 가장 흔한 돌말류 중 하나이다.

               ● 채집지: 남한강 전역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보편종으로 때로는 대량 발생하기도 하였다.
                 2018년 5월, 영월 남한강에서 플랑크톤으로 많이 나타났으며, 2018년 8월, 여주 남한강에
                                  6
                 서 발생량은 4.5×10  cells/L였다.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