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 - 남한강도감
P. 33

32   남한강의 식물플랑크톤 도감



                 6. Melosira varians Agardh 1827


               ● 참고문헌: Krammer & Lange-Bertalot 1991a, p. 7, pl. 3, fig. 8, pl. 4, figs. 1-8; 정 1993,
                 p. 252, fig. 180; 이 2004, pl. 1, fig. 6; Potapova 2009 in Diatoms of North America; 조

                 2010a, p. 109, figs. 87A-J, figs. 88A-F.


               세포는 원통형으로, 뚜껑면과 뚜껑면이 결합하여 긴 사상체를 이룬다. 뚜껑면은 편평하나, 모
               서리가 둥글어 뚜껑면 결합부위의 홈(의횡구)이 크다. 뚜껑면에는 과립체 소돌기 또는 작은

               가시가 불규칙하게 분포하고, 이것이 결합하여 군체를 형성하며, 환상의 막이나 가시 형태의
               구조물은 없다. 둘레띠면에도 횡구와 고리형 테가 없다.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각투
               면에는 미세한 소돌기와 작은 공문 형태의 입술돌기가 불규칙하게 분포하나 광학현미경에서
               는 점문 또는 별다른 무늬가 없다. 뚜껑면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바깥면에 형성된 작은 방(헛


               작은방)이 많다. 휴먼포자의 형성이 빈번한 편이다. 뚜껑면은 직경(D) 8-35μm 원형이고, 각


               투면 높이(H)는 4-14μm이며, H/D 비율은 0.3-1.4 범위이다.

               ● 생태학적 특징: 하천과 호수의 바닥 부근에 생육하는 저서 돌말류이나 얕은 곳에서는 플랑
                 크톤으로 많이 발생한다. 봄에서 가을에 많이 나타나나 겨울에도 대량으로 출현하기도 하
                 여 계절성이 뚜렷하지 않다. 본 종은 대하천과 소하천, 작은 수로 등 다양한 크기의 수계에
                 서, 오염도가 높은 수역뿐 아니라 산간계류 등 수질 오염도가 낮은 수역에서도 나타나는
                 등 분포 범위가 넓고, 생태 내성이 매우 큰 종으로 알려져 있다.
               ● 채집지: 남한강에서 가장 보편적인 돌말류 중 하나이다. 남한강에서는 플랑크톤뿐 아니라

                 수생식물에서 대량으로 관찰되었다. 충주호를 제외한 남한강 본류와 지류의 플랑크톤에서
                 매우 흔하게 관찰되었으나 우점도는 높지 않았다.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