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 - 금강도감
P. 40

40   금강의 식물플랑크톤 도감



                 8. Cyclotella meneghiniana Kützing 1844


               ● 이명: Surirella melosiroides G.G.A. Meneghini ms. 1844

                  Cyclotella kutzingiana var. meneghiniana(Kützing) Brun 1880

                  Stephanocyclus meneghiniana(Kützing) Skabichevskii 1975
               ● 참고문헌: Lowe 1975, 416. figs 3-6; Parsad et al. 1990, 426. f. 27; Cho 1996, 10. figs
                 1-6, 37-44; Håkansson 2002, 79. figs 263-268; Kobayasi et al. 2006, 34, pl. 47; 조경
                 제 2010, 62. f. 46; 이진환 등 2013, 28. figs A-D; 이재관 등 2016, 51. pl. 3, figs. 1-2:
                 이진환 등 2017, 40. f. 10; 이옥민 등 2017, 40. f. 10; 이옥민 등 2018, 38. f. 9.


               세포는 단독성이다. 둘레면 보기에서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이고, 뚜껑면 보기에서는 원형
               이다. 뚜껑면 중앙에서 1/2로 구분되어 내부는 무늬가 없고, 외부는 파상으로 규칙적으로 요



               철로 굴곡져 있다. 세포의 직경은 20.5-30.5 μm이고, 높이는 13.5-22.5 μm로 직경이 더 크
               다. 가장자리 점무늬 열은 10μm당 8-10개이다. 중앙부에 받침돌기가 3-7개 있으며, 가장자


               리 받침돌기는 하나의 환(ring)을 이루며, 뚜껑 각투에 위치하고, 10μm당 8-12개이다. 뚜껑

               면 가장자리 받침돌기는 외부로 원형의 구멍이 있으며, 내부로 3개의 위성지지공으로 둘러
               싸여 있다. 하나의 입술돌기는 가장자리 받침돌기의 환에 위치하고, 하나의 가장자리 받침돌
               기를 대체한다. 입술돌기는 외부로 타원형의 구멍이고 내부로 길게 돌출된 입술 형태이다.


               ● 생태학적 특징: 본 종은 담수성 또는 해양성으로 알려져 있고(www.algaebase.org, 2019),

                 일본의 호수에서 보통 출현하며, 하천에서도 드물게 나타나는 종이다(水野 1993). 小久保

                 (1955)는 담수성 및 연안성으로 정수역 또는 유수역에 널리 출현하는 보편종이며, 우리나
                 라에서도 한국 전역의 연안, 하천, 댐, 호소, 계류, 강, 하구에서 빈도 높게 출현하였다(Lee

                 1995; Lee 1997). 조경제(2010)은 이 종은 부유성이나 일정기간 동안 저서에서 생육하는

                 일시플랑크톤(tychoplankton)으로 낙동강 하구에서 영양이 높고 염분이 있는 환경에서

                 도 아우점종으로 내성이 강한 종이라고 하였다. 이진환 등( 2013)에 의하면 한강 하류에

                 서 봄철과 가을철에 빈번하게 출현하였으며, 이재관 등(2016)도 우리나라 전역의 담수역

                 에서 보고하였다. 낙동강에서는 2009년 9월, 2014년 4월, 6월, 9월, 10월, 12월에 저서성

                 또는 부유성으로 출현하였다(이진환 등 2017). 북한강에서는 2017년 6월과 7월에 팔당

                 호, 의암호, 청평호에서 출현빈도가 높았다(이옥민 등 2017). 금강에서 2018년 12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중류와 하류에서 부유성으로 계절에 상관없이 빈번하게 출현하였다.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