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 - 금강도감
P. 36
36 금강의 식물플랑크톤 도감
6. Melosira varians C. Agardh 1827
● 이명: Lysigonium varians(C. Agardh) De Toni 1892
● 참고문헌: 小久保 1955, 78. f. 38; Crawford 1971, 176. figs 1-28; Crawford 1978, 249.
figs 33-38; Kobayasi et al. 2006, 4. pl. 5-6; 조경제 2010, 109. figs 87-89; 이진환 등
2013, 25. figs. A-D; 이진환 등 2017, 28. f. 4; 이옥민 등 2017, 32. f. 6; 이옥민 등 2018,
32. f. 6.
세포는 직선형의 군체를 이룬다. 둘레면 보기에서 모서리가 둥근 원통형이고, 뚜껑면 보기에
서 원형이다. 세포의 직경은 6.0-27.5 μm이고, 높이는 10.0-15.5 μm이다. 뚜껑면은 평평하
고, 작은 과립으로 덮혀 있다. 뚜껑면 과립입자 사이에는 소돌기 도는 미세한 구멍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과립이 환(ring)을 이룬다. 둘레띠면에는 특별한 구조물은 없으나 과립물질과
미세한 구멍이 보인다.
● 생태학적 특징: 본 종은 담수성 또는 기수성으로 전 세계의 수계에서 출현하는 종으로 알려
져 있으며(조경제 2010; www.algaebase.org, 2019), 일본에서 호수와 하천에서 가장 흔
하게 관찰되고, 부유성 또는 부착성 종으로 오염된 수역에서 출현하는 종으로 알려져 있
다(水野 1993). Kobayashi et al.(2006)은 부착성 약오탁 내성종으로 하천, 호소, 포구, 호
수, 연못 등에서 매우 폭넓게 관찰되며 자주 대량으로 출현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1940
년 이래로 하천, 호수, 댐, 강, 저수지, 계류, 늪지, 하구 등에서 매우 출현빈도가 높았다
(Lee 1997). 한강 하류에서 봄철부터 여름철에 빈번하게 관찰되었으며(이진환 등 2013),
북한강에서도 연중 강, 호수, 댐 등에서 출현빈도가 매우 높았다(이옥민 등 2017). 낙동
강에서는 2014년 6월, 9월, 10월, 12월에 저서성으로 출현하였으며(이진환 등 2017), 남
한강에서는 충주호를 제외한 본류와 지류에서 매우 보편적으로 출현하였다(이옥민 등
2018). 금강에서 이 종은 2018년 12월 26일 미호천에서 저서성으로 출현하였다. 금강에
서 2018년 12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전 수역에서 출현빈도는 높지 않았지만 항상 부유
성으로 출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