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6 - 금강도감
P. 106
106 금강의 식물플랑크톤 도감
41. Cymbella tumida(Brébisson) Van Heurck 1880
● 기본명: Cocconema tumidum Brébisson 1849.
● 이명: Cocconema tumidum Brébisson 1849
Cymbella stomatophora Grunow 1875.
● 참고문헌: Hustedt 1959, 815. f. 677; 정영호 1968, 334. pl. 66, f. 596; Henry 1981, 288.
pl. 106, figs 1-2; 이정호 2011, 23. figs 5B-C; 이진환 등 2013, 48. figs A-D; 이재관 등
2017, 154. pl. 26, f. 2; 이진환 등 2017, 100. f. 40; 이옥민 등 2017, 100. f. 40.
세포는 단독성이며, 뚜껑면 보기에서 비대칭으로 뚜껑은 강하게 등배형이다. 뚜껑면의 양 말
단부는 둥근 부리형이다. 등부 가장자리는 강하게 아치형이고, 반면에 복부 가장자리는 약간
볼록하거나 평평하며, 중앙에서 약간 볼록하다. 세포의 중앙부 폭은 15.5-26.5μm이고, 세로
축 길이는 52.5-76.0 μm이다. 등줄은 중앙에서 두 구멍에서 발달하여 말단으로 향하며, 끝
에서는 외부에서 확장되고, 복부면으로 급격히 휘어진다. 망목은 세로축으로 길게 신장되어
갈라지고, 10 μm당 20-22개이다. 점무늬 열은 중앙에서 뚜렷하게 방사상이고, 끝을 향해 평
행해지며, 10 μm당 10-12개이다. 양 말단부 정축구멍부는 뚜껑의 양쪽 끝에 있다. 세로축
역은 좁고, 아치형이다. 중앙부는 명확하고, 원형-장방형이다. 하나의 안점이 복부면에서 중
앙 점무늬 열의 끝에 나타난다.
● 생태학적 특징: 본 종은 빈영양역과 중영양역의 수질에서 서식하며(Krammer 2002), 담수
성이다(www.algaebase.org, 2019). 우리나라에서는 하천, 댐, 호소, 계류, 강 그리고 하
구에서 빈도 높게 출현하였다(Lee 1997). 2005년 4월 충청남도 웅천의 습지에서(이정호
2005), 낙동강에서는 2014년 3월과 6월, 9월과 2016년 9월에 저서성으로 출현하였으며
(이진환 등 2017), 2017년 강원도 북한강의 여러 댐과 호소에서 빈도 높게 출현하였다(이
옥민 등 2017). 금강에서는 2018년 12월 26일 미호천, 백강나루, 2019년 1월 25일 웅포
대교, 2월 11일 미호천과 백강나루, 3월 19-20일 전라북도 진안군 중앙교, 남대천, 양수교
에서 저서성으로 출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