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2 -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I 담수어류 잉어목
P. 32
잉어목 > 잉어과 > 강준치아과 > 강준치 잉어목 > 잉어과 > 강준치아과 > 치리
21 강준치 Erythroculter erythropterus (Basilewsky, 1855) 22 치리 Hemiculter eigenmanni (Jordan and Metz, 1913)
영명 predatory carp 관리대상 해당없음 영명 sharpbelly 관리대상 해당없음
표본번호 : NNIBR-P****** 표본유형 : 액침 1차 고정 : 포르말린 표본번호 : NNIBR-P16028 표본유형 : 액침 1차 고정 : 포르말린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 I 담수어류: 잉어목
준비중
Ⅵ . 어류목록
형태 전장: 40~50cm,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7, 형태 전장: 15~20cm,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7,
뒷지느러미 기조수: iii 21~24, 측선린수: 뒷지느러미 기조수: iii 12~13, 측선린수:
85~90, 척추골수: 41, 새파수: 26~28. 몸 48~54, 척추골수: 38~39, 새파수: 19~21.
은 길고 옆으로 매우 납작하다. 아래턱이 위 몸은 가늘고 길며 옆으로 납작하다. 입은 주
턱보다 길어 입이 위를 향한다. 입수염은 없 둥이 끝에 있고 비스듬하다. 입수염은 없다.
다. 성장하면 머리 위쪽은 평평하고 뒤의 근 주둥이 끝에서 등지느러미 기점까지의 윤곽
육은 불룩해져서 오목한 윤곽을 지닌다. 옆 은 거의 직선이다. 복부에는 가슴지느러미에
줄은 완전하고 몸 가운데에서 아래로 약간 서 항문까지 용골상의 융기가 있다. 옆줄은
휜다. 복부에는 배지느러미에서 항문까지 용 완전하며, 굴곡이 매우 심하다. 비늘은 잘 빠
골상의 융기가 있다. 뒷지느러미 기저부는 진다. 몸과 지느러미에는 특별한 반문이 없
길다. 몸은 전체적으로 은백색이며 등쪽은 다. 몸은 은백색이며 등쪽은 약간 청갈색을
청갈색을 띤다. 몸과 지느러미에는 특별한 띤다. 지느러미는 거의 색깔이 없으며 꼬리
반문이 없다. 각 지느러미는 회색을 띠며 등 지느러미 뒤가장자리는 검다.
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더 진한 검은색
생태 하천 하류의 흐름이 느리거나 고인 곳, 저수
을 띤다.
지 등에서 살며, 표층 가까이에서 빠르게 헤
생태 흐름이 거의 없는 큰 강의 하류에서 산다. 수 엄쳐 다닌다. 수서곤충, 갑각류, 식물 조각 등
표본 소장 현황 표본 소장 현황
서곤충, 갑각류, 작은 물고기를 먹는 육식성 을 먹는 잡식성이다. 번식기는 6~7월이다.
이다. 번식기는 5~7월이다.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분포 압록강에서 섬진강까지의 서, 남해 유입하천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금 강 한 강 영산강 한 강
분포 압록강에서 만경강까지의 서해 유입 하천에 1 % 14 % 에 분포한다. 낙동강에는 이입되었다. 중국, 9 % 30 %
분포한다. 영산강과 낙동강에는 인위적으로 아무르강 수계에도 있다.
이입되었다. 중국에도 있다. 금 강
12 %
낙동강 낙동강
85 % 49 %
32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