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 -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I 담수어류 잉어목
P. 31
잉어목 > 잉어과 > 납자루아과 > 낙동납자루 잉어목 > 잉어과 > 강준치아과 > 백조어
19 낙동납자루 Tanakia latimarginata Kim, Jeon and Suk, 2014 20 백조어 Culter brevicauda Günther, 1868
영명 broad-margined bitterling 관리대상 해당없음 영명 white skygager 관리대상 해당없음
표본번호 : NNIBR-P16232 표본유형 : 액침 1차 고정 : 포르말린 표본번호 : NNIBR-P31847 표본유형 : 액침 1차 고정 : 포르말린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 I 담수어류: 잉어목
Ⅵ . 어류목록
형태 전장: 6~8cm,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8, 형태 전장: 20~25cm,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7,
뒷지느러미 기조수: iii 9~10, 측선린수: 뒷지느러미 기조수: iii 24~26, 측선린수:
32~35. 몸은 납작하고 체고는 비교적 높은 63~66, 척추골수: 42~43, 새파수: 25~27.
편이다. 입에는 눈의 지름보다 짧은 입수염 몸은 길고 옆으로 매우 납작하다. 머리는 작
이 있다. 옆줄은 완전하다. 체색은 등쪽은 황 고 눈은 크다. 입수염은 없다. 성장하면서 머
갈색이며 몸통은 황갈색 또는 황록색이고 배 리 위쪽은 평평해지고 뒤의 근육은 불룩하게
쪽은 연한 노란색이다. 등지느러미와 뒷지 발달하여 오목한 윤곽을 지닌다. 아래턱이
느러미의 바깥 가장자리에는 검은색 띠가 있 위턱보다 길어서 입은 위를 향한다. 옆줄은
고 그 안쪽으로 노란색과 검은색 띠가 교대 완전하고 몸 가운데에서 아래로 약간 휜다.
로 나타난다. 뒷지느러미의 바깥쪽 검은 띠 배쪽에는 가슴지느러미 아래에서부터 배지
는 칼납자루에 비해 폭이 넓은데 뒷지느러미 느러미를 지나 항문까지 용골상의 융기가 있
의 중간 정도까지 두껍게 유지된다. 다. 뒷지느러미의 기저부는 길다. 체색은 몸
생태 하천 중, 상류의 유속이 느리고 모래나 자갈 전체에 은백색을 띠며, 등쪽은 청갈색을 띤
이 깔린 수초가 많은 곳에 서식한다. 큰 개 다. 몸과 지느러미에는 특별한 반문이 없다.
체들은 여울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번식기는 큰 개체에서는 주둥이와 모든 지느러미가 주
5~6월이다. 황색을 띠며, 몸통에는 약간 노란색이 나타
표본 소장 현황 난다. 표본 소장 현황
분포 낙동강 수계에만 분포한다. 우리나라 고유종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생태 흐름이 거의 없는 큰 하천의 하류부나 저수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이다.
지 등에서 산다. 수서곤충, 갑각류, 작은 어
류 등을 먹는 육식성이다. 번식기는 5~7월
낙동강 이다. 영산강 금 강
100 % 75 % 25 %
분포 금강, 영산강, 낙동강에 분포한다, 중국에도
있다.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