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 -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I 담수어류 잉어목
P. 18

잉어목 > 잉어과 > 납자루아과 > 큰납지리                                                                          잉어목 > 잉어과 > 납자루아과 > 큰줄납자루


                       07        큰납지리   Acheilognathus macropterus (Bleeker, 1871)                                       08        큰줄납자루   Acheilognathus majusculus Kim and Yang, 1998

                                 영명  deep body bitterling     관리대상  해당없음                                                            영명  large striped bitterling    관리대상  멸종위기종, 한국고유종

                      표본번호 : NNIBR-P16224       표본유형 : 액침                 1차 고정 : 포르말린                                   표본번호 : NNIBR-P16695       표본유형 : 액침                 1차 고정 : 포르말린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 I  담수어류: 잉어목









      Ⅵ . 어류목록










                     형태   전장: 6~15cm,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형태   전장: 9~12cm,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8,
                         15~16, 뒷지느러미 기조수: iii 12~13, 측                                                                     뒷지느러미 기조수: iii 7~8, 측선린수:
                         선린수: 36~38, 척추골수: 31~34, 새파수:                                                                      37~40, 척추골수: 37~40, 새파수: 15~21.
                         7~8. 납자루아과 어류 중에서는 가장 크다.                                                                          몸은 납작하고 체고는 높지 않으며, 크기는
                         몸은 납작하고 체고는 높다. 입가에는 아주                                                                            비교적 큰 편이다. 주둥이는 돌출되었고, 위
                         짧은 입수염이 있다. 옆줄은 완전하며 가운                                                                            턱이 아래턱보다 약간 길다. 입수염은 길다.
                         데 부분이 아래로 약간 휜다. 체색은 은백색                                                                           옆줄은 완전하다. 체색은 등쪽은 암갈색이며
                         바탕에 등쪽은 약간 푸르스름하다. 아가미                                                                             배쪽은 연녹색이거나 은백색이다. 아가미구
                         뚜껑 상단의 바로 뒤와 약간 뒤쪽 부분에 진                                                                           멍 뒤쪽에 좀 떨어져서 불명료한 녹색 반점
                         한 청색 점이 2개 있다. 몸 옆면에는 청록색                                                                          이 있고 그 뒤를 이어 꼬리자루 끝까지 초록
                         의 세로줄이 길게 달린다. 번식기의 수컷에                                                                            색 세로줄이 있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서는 뒷지느러미 가장자리에 흰색 띠가 뚜                                                                             의 가장자리에는 붉은 띠가 있다. 배지느러
                         렷해진다.                                                                                              미는 전체적으로 검으며 바깥 가장자리에 흰

                     생태   하천 하류의 흐름이 느린 곳이나 호소와 그                                                                           띠가 없다.
                         에 연결되는 수로에서 산다. 부착조류나 작                                                                       생태   큰 돌이나 자갈이 깔려있고 흐름이 비교적
                         은 수중 동물을 먹는 잡식성이다. 번식기는                                                                            빠른 곳에서 산다. 수서곤충을 주로 먹는다.
                                                                            표본 소장 현황                                                                                           표본 소장 현황
                         4~6월이다.                                                                                            번식기는 4~6월이다.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분포   동해 유입 하천을 제외한 전국의 하천에 분                                                                      분포   섬진강과 낙동강에 분포한다. 우리나라 고유
                                                                                              한   강
                         포한다. 중국에도 있으며, 일본에는 이식되                                                4  %                        종이며, 멸종위기 II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어 분포한다.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
                                                               38  %                                                                                                64 %                         36  %

                                                                                              낙동강
                                                                                              57 %
      18                                                                                                                                                                                                           19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