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83 - 남한강도감
P. 383

382    남한강의 식물플랑크톤 도감





                     김용재, 김한순. 2012. 한국의 조류 제6권 2호. 담수산 녹조류. 정행사. 122쪽.
                     심재형. 1994. 한국동식물도감. 제34권. 해양식물플랑크톤. 교육부. 139-344쪽.
                     윤숙경. 2002. 한국산 대바늘돌말속(Genus Synedra) 돌말류의 분류학적 연구. 가톨릭대학교 이

                           학박사 청구논문. 239쪽.
                     이  경, 윤숙경. 2010. 대바늘속. 한국의 조류(Algae). 대한민국 생물지 제3권 2호, 담수산 돌말류

                           II: 막돌말과.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99-150쪽.

                     이옥민, 김지환. 2015. 국가 생물종 목록집 『녹조류』. 국립생물자원관. 307쪽.
                     이옥민, 이진환, 정승원, 이상득. 2017a. 북한강 유역의 식물플랑크톤 도감. 국립낙동강생물자원
                           관. 364쪽.
                     이정호. 2010. 김발돌말속. 한국의 조류(Algae). 대한민국 생물지 제3권 2호, 담수산 돌말류II: 막

                           돌말과.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51-97쪽.
                     이정호. 2011. 반달돌말속, 쐐기돌말속 외. 한국의 조류(Algae). 대한민국 생물지 제3권 4호, 담수

                           산 돌말류IV: 쪽배돌말과.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70쪽.

                     이정호. 2012. 한국의 조류. 담수산 돌말류, 제3권 8호. VI. 쪽배돌말속. 국립생물자원관. 60쪽.
                     이진환. 2004. 강원도 동강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한국조류학회 19: 217-226.
                     이진환, 김한순, 정승원, 이상득. 2017b. 낙동강 유역의 식물플랑크톤 도감. 국립낙동강생물자원
                           관. 461쪽.
                     이진환, 이옥민, 정승원, 김진희. 2013. 한강하류의 식물플랑크톤. 국립생물자원관. 221쪽.
                     이진환, 조경제. 2015. 국가 생물종 목록집 『돌말류』. 정행사. 365쪽.
                     정영호. 1968. 한국동식물도감. 제9권 담수조류. 문교부. 573쪽.
                     정영호. 1972. 한강의 Microflora에 관한 연구. 남한강의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분류와 한강 중심
                           수역의 수질 오탁 판정. 연구과제: 한강 유역의 생물 환경오염과 자연보존에 관한 연구. 과

                           학기술처 연구보고서 R-72-81: 69-100.
                     정영호, 김기태. 1970 한강의 Microflora에 관한 연구(제5보). 한강중류의 식물성 플랑크톤에 대

                           한 분류와 계절적 소장. 대한민국 학술원 IBP연구보고서 4: 9-55.
                     정영호, 심재형, 이민재. 1965. 한강의 Microflora에 관한 연구(제1보). 한강하류의 식물성 플랑크

                           톤과 해수의 영향. 한국식물학회지 8: 47-65.
                     정  준. 1970. 영남지역의 담수조류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학위논문(경북대). 115쪽.

                     정  준. 1993. 한국담수조류도감. 도서출판 아카데미서적. 서울. 496쪽.

                     조경제. 2010a. 한국의 조류. 담수산 돌말류, 제3권 1호. I. 중심돌말목. 국립생물자원관. 154쪽.
                     조경제. 2010b. 별돌말속, 막돌말속, 부체돌말속, 몽치돌말속, 볼록뼈돌말속. 한국의 조류(Algae),

                           대한민국 생물지 제3권 2호, 담수산 돌말류II: 막돌말과.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5-50쪽.
                     최중기, 이진환, 이  경. 1995. 한국산 돌말류(규조류)의 분류학적 연구. I. 분류체계와 분류계급의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