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8 - 금강도감
P. 68

68   금강의 식물플랑크톤 도감



                 22. Fragilaria mesolepta Rabenhorst 1861



               ● 이명: Fragilaria capucina var. mesolepta(Rabenhorst) Rabenhorst 1864

                  Staurosira mesolepta(Rabenhorst) Cleve & Möller 1879

                  Staurosira capucina var. mesolepta(Rabenhorst) Comère 1892

                  Fragilaria virescens var. mesolepta(Rabenhorst) Schönfeldt 1907

                  Fragilaria virescens f. mesolepta(Rabenhorst) A.Cleve 1953

                  Fragilariforma virescens var. mesolepta (Rabenhorst) Andresen, Stoermer & Kreis. Jr
                    2000
               ● 참고문헌: Kobayasi et al. 2006, 58. pl. 75; 조경제 등 2012, 70. f. 12; 이진환 등 2017,
                 66. f. 23.



               세포는 선형 또는 선형-피침형이다. 뚜껑면은 직선형이며, 둘레면 보기에서 긴 장방형이다.
               뚜껑면 중앙에서 오목하게 파여져 있다. 세포의 양단부는 볼록하여 아두상형이다. 세포의 중


               앙부 직경은 3.0-4.0μm이고, 세로축의 길이는 25.0-45.5μm이다. 점무늬 열은 세로축에 직
               각으로 평행하며, 10 μm당 13-16개이다. 입술돌기는 양단부 중 한쪽 끝에 위치하며, 뚜껑면
               안쪽 가장자리에 볼록하게 박혀 있으며, 가운데 틈이 있다. Fragilaria capucina의 변종으로
               취급하는 경우도 있지만 입술돌기가 각투에 있는 점으로 이 종과 크게 달라 별종으로 하였다
               (Kobayasi et al. 2006).



               ● 생태학적 특징: 본 종은 담수역에서 부유성으로 널리 분포하며(www.algaebase.org, 2019),

                 일본에서는 호수에서 부착성 또는 부유성으로 출현하며, 약오탁 내성종으로 보고하였다
                 (Kobayasi et al. 2006). 우리나라에서는 낙동강, 임하호, 진양호, 광천, 금호강, 반변천, 동
                 화천, 남천에서 보고되었다(조경제 등 2010). 낙동강에서는 2014년 6월과 12월에 부유성

                 으로 출현하였다(이진환 등 2017).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