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8 -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I 담수어류 잉어목
P. 68

잉어목 > 잉어과 > 모래무지아과 > 몰개                                                                           잉어목 > 잉어과 > 모래무지아과 > 점몰개


                       57        몰개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Berg, 1906)                                          58        점몰개   Squalidus multimaculatus Hosoya and Jeon, 1984

                                 영명  short barbel gudgeon    관리대상  한국고유종                                                            영명  Korean spotted gudgeon    관리대상  한국고유종

                      표본번호 : NNIBR-P15682       표본유형 : 액침                 1차 고정 : 포르말린                                   표본번호 : NNIBR-P31830       표본유형 : 액침                 1차 고정 : 포르말린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 I  담수어류: 잉어목









      Ⅵ . 어류목록










                     형태   전장: 7~10cm,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7, 뒷                                                              형태   전장: 5~7cm,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7, 뒷
                         지느러미 기조수: iii 6, 측선린수: 36~38,                                                                      지느러미 기조수: iii 6, 측선린수: 34~37,
                         측선상부린수: 4.5, 척추골수: 40, 새파수:                                                                        측선상부린수: 4.5, 척추골수: 34~36, 새파
                         6~8. 몸은 길고 옆으로 납작하다. 주둥이는                                                                          수: 6~10. 몸은 다른 몰개속 어류에 비하여
                         약간 뾰족하고 입은 약간 아래에 있다. 입가                                                                           짧으며 옆으로 납작하다. 주둥이는 약간 뾰
                         에는 1쌍의 짧은 수염이 있다. 옆줄은 완전                                                                           족하고 입은 약간 아래에 있다. 입가에는 1
                         하고 앞부분은 약간 아래로 휜다. 몸은 연한                                                                           쌍의 수염이 있다. 옆줄은 완전하고 앞부분
                         갈색이며 등쪽은 더 진하고 배쪽은 은백색이                                                                            은 약간 아래로 휜다. 몸은 황갈색이며 등쪽
                         다. 눈의 윗부분은 약간 붉다. 몸 옆 가운데                                                                          은 더 진하고 배쪽은 은백색이다. 몸 옆 가
                         의 피부 아래에는 검은색 세로띠가 있으며                                                                             운데의 피부 아래에는 검은색 세로띠가 있
                         후반부는 매우 진하다. 세로띠 위에 점무늬                                                                            고, 세로띠 위에 동공 크기의 뚜렷한 반점이
                         는 없다. 몸의 등쪽에는 작고 검은 점이 불규                                                                          6~12개 배열되어 있다. 몸의 등쪽에는 작고
                         칙하게 흩어져 있다. 옆줄 구멍의 위아래에                                                                            검은 점이 불규칙하게 흩어져 있다. 옆줄 구
                         는 작은 점이 있어 이어진 줄무늬처럼 보인                                                                            멍의 위아래에는 작은 점이 있어 이어진 줄
                         다. 지느러미는 무늬가 없이 투명하다.                                                                              무늬처럼 보인다. 지느러미는 무늬가 없다.
                     생태   하천 중, 하류의 흐름이 느린 곳이나 저수지                                                                     생태   흐름이 느린 중, 하류 하천의 모래바닥에서
                                                                            표본 소장 현황                                                                                           표본 소장 현황
                         에 떼를 지어 산다. 수서곤충, 작은 동물, 유                                                                         주로 산다. 생활사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기물 등을 먹는다. 번식기는 6~8월이다.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분포   회야강에서 가곡천까지의 동해로 흐르는 하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분포   압록강에서 금강까지의 서해로 흐르는 하천                                                                            천에 분포한다. 그 이북의 동해안에는 이입
                         에 분포한다. 우리나라 고유종이다.                                                                                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리나라 고유종
                                                               금   강                          한   강                         이다.                                   낙동강                            한   강
                                                                 32 %                          67 %                                                               60 %                           40  %
                                                               낙동강
                                                                 1 %
      68                                                                                                                                                                                                           69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