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0 -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I 담수어류 잉어목
P. 60
잉어목 > 잉어과 > 모래무지아과 > 참붕어 잉어목 > 잉어과 > 모래무지아과 > 돌고기
49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Temminck and Schlegel, 1846) 50 돌고기 Pungtungia herzi Herzenstein, 1892
영명 topmouth gudgeon 관리대상 해당없음 영명 striped shinner 관리대상 해당없음
표본번호 : NNIBR-P36617 표본유형 : 액침 1차 고정 : 포르말린 표본번호 : NNIBR-P14341 표본유형 : 액침 1차 고정 : 포르말린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 I 담수어류: 잉어목
Ⅵ . 어류목록
형태 전장: 6~8cm,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7, 뒷 형태 전장: 10~15cm,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7,
지느러미 기조수: iii 6, 측선린수: 35~39, 뒷지느러미 기조수: iii 6, 측선린수: 36~41,
척추골수: 33~34, 새파수: 8~10. 몸은 가 척추골수: 35~37, 새파수: 7~12. 몸은 길
늘고 길며 옆으로 납작하다. 입은 작고 위를 고, 앞부분은 원통형에 가깝다. 머리는 뾰족
향하고 있다. 옆줄은 완전하고 일직선이다. 하며, 아래위로 납작하다. 입은 작고 주둥
번식기의 수컷에서 주둥이, 눈 옆, 아가미뚜 이 끝에 있다. 입술은 두껍고 양쪽 가장자리
껑에 추성이 돋아난다. 체색은 은갈색 바탕 는 불룩하며, 입가에 1쌍의 수염이 있다. 옆
이며, 등쪽은 진하고 배쪽은 은백색에 가깝 줄은 완전하고, 거의 직선이다. 몸의 등쪽은
다. 각 비늘의 뒷가장자리에 초승달 모양의 진한 갈색, 배쪽은 연한 황갈색이다. 몸의 가
진한 반점이 있어 몸 전체가 약간 검게 보인 운데에는 주둥이 끝에서 꼬리자루 끝까지 폭
다. 몸 가운데에는 주둥이 끝에서 꼬리자루 이 넓은 검은 세로띠가 달린다. 이 세로띠는
끝까지 검은 세로띠가 있다. 각 지느러미는 클수록 희미해진다. 등지느러미 위끝에 검은
약간 검다. 번식기에 수컷은 세로띠가 없어 무늬가 있는 경우도 있다.
지고 몸 전체가 검어지며, 암컷은 복부부근
생태 하천 중류와 상류의 물이 맑고 돌과 자갈이
에 노란색을 띤다.
많은 곳에서 산다. 부착조류나 작은 동물을
생태 하천 중, 하류의 하천, 호소, 농수로 등에서 먹는다. 번식기는 5~6월이다. 돌의 아랫면
표본 소장 현황 표본 소장 현황
살며, 떼를 지어 다니기도 한다. 부영양화에 이나 돌 틈에 주로 산란하지만, 꺽지의 산란
매우 강하다. 부착조류를 주로 먹는다. 번식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장에 탁란하기도 한다.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기는 5~6월이며, 돌표면에 산란하고 수컷이 제 주 한 강 섬진강
1 % 18 % 분포 동해 북부의 하천을 제외한 전국에 분포한 5 %
부화할 때까지 지킨다. 섬진강 다. 강릉남대천 이북의 하천에 이입된 경우 영산강
14 % 7 % 한 강
분포 전국에 분포한다. 중국, 대만과 일본에도 가 많다. 일본에도 있다.
영산강 금 강 48 %
있다. 17 % 4 %
금 강 낙동강 낙동강
13 % 37 % 36 %
60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