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9 -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I 담수어류 잉어목
P. 49

잉어목 > 잉어과 > 모래무지아과 > 어름치  잉어목 > 잉어과 > 모래무지아과 > 새미


 37  어름치   Hemibarbus mylodon (Berg, 1907)  38  새미   Ladislavia taczanowskii Dybowski, 1869

 영명  Korean barbel    관리대상  멸종위기종, 천연기념물, 한국고유종  영명  Tachanovsky’s gudgeon    관리대상  멸종위기종

 표본번호 : NNIBR-P******  표본유형 : 액침  1차 고정 : 포르말린   표본번호 : NNIBR-P16449  표본유형 : 액침  1차 고정 : 포르말린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 I  담수어류: 잉어목






 준비중

 Ⅵ . 어류목록










 형태   전장: 20~40cm,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7,   형태   전장: 10~12cm,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7,
 뒷지느러미 기조수: iii 6, 측선린수: 43~44,   뒷지느러미 기조수: iii 6, 측선린수: 40~43,
 척추골수: 37, 새파수: 9~12. 몸은 길고 앞부  척추골수: 38~39, 새파수: 11~13. 몸은 길고
 분은 원통형이며 뒤로 갈수록 옆으로 납작해  옆으로 약간 납작하다. 주둥이는 뭉툭하고
 진다. 주둥이는 약간 뭉툭하며, 입은 아래쪽  입은 아래에 있다. 입가에는 1쌍의 짧은 수염
 에 있다. 입가에는 1쌍의 짧은 수염이 있다.   이 있다. 옆줄은 완전하고 몸옆 가운데를 거
 옆줄은 완전하며, 전반부는 아래로 약간 휘어  의 직선으로 달린다. 번식기에 수컷은 주둥
 진다. 체색은 은갈색이며 등쪽은 좀 더 진한   이, 눈 아래, 아가미뚜껑에 추성이 빽빽히 나
 갈색, 배쪽은 은백색이다. 몸옆의 비늘에는   타난다.체색은 연한 갈색이며, 등쪽은 좀 더
 동공 크기의 검은 점이 있어서 7~8줄의 점줄  진하고 배쪽은 은백색이다. 주둥이 끝에서
 무늬를 이룬다. 몸 옆면의 가운데에는 눈크  부터 꼬리지느러미 기부까지 굵고 검은 띠가
 기의 불명료한 검은 점이 5~7개 배열되어 있  있다. 등지느러미 가운데에도 폭이 넓은 검
 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에는 여러 줄  은 띠가 있다. 번식기의 수컷에서는 가슴지
 의 굵은 검은 띠가 있다.  느러미, 배지느러미, 뒷지느러미의 앞가장자
 생태   하천 중, 상류의 물이 맑고 자갈이 깔린 곳에  리와 꼬리지느러미의 바깥가장자리에 붉은
 서 산다. 수서곤충과 갑각류 등을 먹는다. 번  띠가 나타난다.
 표본 소장 현황                                                         표본 소장 현황
 식기는 4~5월이며, 느린 여울에 바닥을 판   생태   하천 상류의 맑고 찬 물에 무리 지어 산다.
 뒤 알을 낳고 자갈을 덮어 산란탑을 만들어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수서곤충과 부착조류를 먹는다. 번식기는 6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알을 보호한다.       월로 추정한다.
 분포   임진강, 한강, 금강에 분포한다. 낙동강 상  분포   압록강에서 한강까지의 서해로 흐르는 하천
 류의 봉화군과 태백시에는 이입되어 서식하  과 삼척오십천에 분포한다. 강릉 연곡천에는                                     한   강
                                                                                     100 %
 고 있다. 우리나라 고유종이며, 천연기념물   이입되어 서식한다. 아무르강 수계에도 있다.
 238호, 259호로 지정되어 있다.
 48                                                                                                    49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