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 -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I 담수어류 잉어목
P. 4

Ⅰ           일러두기                                                                                   Ⅱ           어류의 형태








                                                                                                                        본문에 기술한 어류의 형태는 어종의 특징을 정량화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정보로 각 부분의 명칭과
                      ① 담수어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과 수를 세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 I  담수어류: 잉어목
                     ●   담수어류는 1900년 이후 출간된 우리나라 담수어류 관련 국내외 문헌자료(도감, 논문 등)에서 담수서
                      식지 출현 여부가 확인된 종을 기반으로 선정되었으며, 추가적으로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사업을

                      통해 표본으로 소장되어 서식이 확인된 종을 포함하여 작성하였다.                                                                ① 어류의 부분별 명칭
      .
                     ●   “담수어류”는 생활사 중 전부 혹은 일부 기간에 담수서식지를 이용하는 종으로 담수서식지의 정의는 다음

                      과 같다.
      Ⅰ 일러두기
                       - 지표수(surface water) : 강(river), 하천(stream), 호수(lake), 연못(pond), 계곡(valley) 등                                                           등지느러미
                       - 지하수(ground water) : 지표면 아래에 존재하는 물                                                                                         등지느러미 기점
                       - 혼합대(hyporheic zone) : 지표수와 지하수가 혼합되는 곳                                                                     눈                                      등지느러미 기저
                                                                                                                                               주새개골
                       - 습지(wetland) : 담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흐르거나 체류하는 지역                                                     콧구멍     전새개골                                                   상엽
                       - 기수역(brackish zone) : 담수와 염수가 혼합되는 곳                                                              주둥이                                                    꼬리자루

                                                                                                                          상악


                      ② 본문
                                                                                                                          입

                     ●   담수어류의 분류(?)
                                                                                                                          하악                                                                    하엽
                       -  본 도감에는 담수생물종목록에 지정된 담수어류 중 잉어목 내의 1목 3과 44속 97종의 담수어류를 수록하였다.
                                                                                                                             수염    뺨
                       - 분류체계와 학명은 대부분 국가생물종목록을 따랐다.                                                                                           가슴                                         꼬리지느러미
                                                                                                                                                                          옆줄
                       -  본문에 기술된 과명(Family)의 순서는 Nelson et al.(2016)의 체계를 따랐으며, 과명 내 아과명(subfamily), 속                                   하새개골     가슴지느러미
                        명(Genus) 및 학명에 따라 알파벳 순서로 배치하였다.                                                                          간새개골                             항문
                                                                                                                                                                            뒷지느러미
                     ●    담수어류 종 설명문                                                                                                   새조골                 배지느러미
                       -  종의 설명은 국명, 학명, 영명, 멸종위기야생생물, 천연기념물, 한국고유종 등 관리대상여부, 형태, 생태, 분포의
                        순으로 기술하였다.
                       -  사진이 수록된 모든 종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에서 관리하는 표본번호, 제작한 표본의 유형, 표본으로 제작전
                        개체를 고정하는 전처리 방법(1차 고정)을 함께 기술하였다.

                     ●   담수어류 사진(?)
                       - 본 도감에 수록된 담수어류 사진은 최대한 혼인색이 나타나는 수컷을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  모든 사진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에서 소장하는 실물 표본을 촬영한 사진으로 대부분 액침표본으로 제작하기
                        전 촬영된 사진을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   소장 표본 현황 및 분포도(?)
                       - 각 종별 표본 소장 현황 집계는 2015년부터 2023년까지 집계된 표본수를 수록하였다.
                       - 각 종별 표본 소장 분포도는 우리나라에서 채집된 장소를 표시하여 수록하였다.
      4                                                                                                                                                                                                            5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