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 -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I 담수어류 잉어목
P. 12

잉어목 > 잉어과 > 잉어아과 > 붕어                                                                             잉어목 > 잉어과 > 잉어아과 > 떡붕어


                       01        붕어   Carassius auratus (Linnaeus, 1758)                                                 02        떡붕어   Carassius cuvieri Temminck and Schlegel, 1846

                                 영명  crucian carp     관리대상  해당없음                                                                    영명  white crucian carp    관리대상  해당없음

                      표본번호 : NNIBR-P15218       표본유형 : 액침                 1차 고정 : 포르말린                                   표본번호 : NNIBR-P******      표본유형 : 액침                 1차 고정 : 포르말린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 I  담수어류: 잉어목






                                                                                                                                                          준비중

      Ⅵ . 어류목록










                     형태   전장: 10~30cm,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형태   전장: 20~50cm,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16~19, 뒷지느러미 기조수: iii 5~6, 측선                                                                      15~18, 뒷지느러미 기조수: iii 4~5, 측선
                         린수: 29~31, 척추골수: 27~32, 새파수:                                                                       린수: 29~33, 척추골수: 28~30, 새파수:
                         44~45. 몸은 긴 타원형이며 체고가 높다.                                                                          92~128. 몸은 긴 타원형이며 체고가 붕어보
                         입은 주둥이 끝에 있고, 입수염이 없다. 비늘                                                                          다 더 높다. 입은 주둥이 끝에 있고, 입수염
                         은 크고 두꺼우며 옆줄은 완전하다. 체색은                                                                            이 없다. 옆줄은 완전하며 아래로 약간 휘어
                         황회색이며 배쪽은 약간 연하다. 지느러미에                                                                            있다. 비늘은 얇으며 잘 떨어진다. 체색은 회
                         는 무늬가 없고, 약간 검은색이 있다.                                                                              갈색이며 어릴 때는 은빛 광택이 난다. 비늘
                     생태   생활하는 장소는 광범위하여 계류역을 제외                                                                            가운데에 약간 진한 반점이 있어 여러 줄의
                         한 대부분의 담수지역에서 살며 물이 고여있                                                                            줄무늬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지느러미에는
                         는 곳을 좋아한다. 가장 많은 곳은 농수로나                                                                           무늬가 없고, 색이 약간 검다.
                         연못 등이다. 번식기는 4~7월이며, 알은 수                                                                     생태   유속이 느린 하천의 하류나 저수지에서 살
                         초 등에 붙인다. 잡식성이다.                                                                                   며, 집단을 이루는 경향이 있다. 번식기는
                     분포   우리나라의 전 지역에 서식한다. 중국, 일                                                                           3~6월이며, 알은 수초 등에 붙인다. 식물플
                         본, 러시아 등에도 있다.                                                                                     랑크톤을 주로 먹는다.
                                                                                                                       분포   일본의 비와호가 원산지이다. 우리나라에는
                                                                            표본 소장 현황                                                                                           표본 소장 현황
                                                                                                                            1972년에 도입되었으며, 전국의 하천과 저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수지에 방류되어 살고 있다.
                                                               섬진강                            한   강                                                               낙동강                            한   강
                                                               2  %                           37  %                                                               50  %                          50  %

                                                               영산강
                                                                 4 %

                                                               금   강                          낙동강
                                                                 12 %                         47  %
      12                                                                                                                                                                                                           13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