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8 -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I 담수어류 잉어목
P. 108
잉어목 > 잉어과 > 미꾸리과 > 미꾸라지
97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Günther, 1888
영명 Chinese mud loach 관리대상 해당없음
표본번호 : NNIBR-P****** 표본유형 : 액침 1차 고정 : 포르말린
픽셀에 담긴 담수생물 I 담수어류: 잉어목
준비중
Ⅵ . 어류목록
형태 전장: 15~20cm,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7, 뒷지느러미 기조수: iii 5, 측선린수:
115~135, 척추골수: 48~51, 새파수: 19~22.
몸은 가늘고 긴 원통형이며, 머리와 꼬리자
루는 약간 납작하다. 눈은 작고 윗쪽에 있다.
눈 아래에는 가시가 없다. 주둥이는 길고 돌
출되어 있으며, 입은 주둥이 아래에 있다. 입
수염은 5쌍이며, 위턱의 가장 긴 수염은 눈
지름의 4배 정도로 길다. 옆줄은 불완전하며
매우 짧다. 수컷에서는 가슴지느러미 기부에
길쭉한 사각형의 골질반이 있다. 미병부가
높고 아래위에 융기연이 잘 발달되어 있다.
체색은 황갈색 바탕에 등쪽과 옆면은 진하고
배쪽은 연하다. 몸에는 아주 작은 갈색 반점
이 빽빽히 흩어져 있다. 꼬리지느러미 기부
의 위쪽에는 작은 검은 반점이 없다.
표본 소장 현황
생태 중, 하류 하천, 늪, 논, 저수지, 농수로, 습
지대 등의 흐름이 없는 진흙 바닥의 환경에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서 산다. 식물플랑크톤이나 유기물을 먹는 영산강
6 %
다. 창자와 피부로 호흡이 가능하여 용존산
소가 적은 곳에서도 살 수 있다. 번식기는 금 강 한 강
2 % 77 %
4~6월이다.
분포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한다. 중국과 대만에도 낙동강
15 %
108 있다. 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