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닥나무
개요
높은 산의 숲속에서 높이 5~8m 정도로 자라는 낙엽 활엽 작은큰키나무이다. 줄기는 밑에서 많이 갈라지고, 어린가지는 붉은빛을 띤다. 잎은 마주나며, 긴 난형, 3~5갈래로 갈라지고, 길이와 폭이 각각 5~10cm쯤이다. 잎자루는 길이 2~5cm, 붉은빛이 돈다. 꽃은 5~7월에 암수딴그루로 피지만 가끔은 수그루에 양성화가 섞여 피기도 하는데, 가지 끝의 길이 6~8cm 총상꽃차례에 5~10개가 달리며, 노란색이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장이다. 열매는 2개의 시과, 길이 2~3cm, 직각으로 벌어진다. 제주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러시아 동부,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청시닥나무에 비해 잔가지에 털이 없고 잎자루는 붉은색이므로 구분되며, 부게꽃나무에 비해서 총상꽃차례는 길이 6~8cm로서 짧으므로 구분된다. 관상용으로 심고, 목재를 가구재로 쓴다. 단풍자래, 시당나무라고도 부른다.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형태
낙엽활엽 소교목으로 8-10m이다. 어린가지는 붉은빛을 띤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길이 5-9cm, 너비 5-10cm, 3-5갈래로 갈라진다. 잎자루는 2-5cm, 붉은빛이 난다. 꽃은 6-7월에 4-7개가 총상꽃차례를 이루어 피며, 황색이다. 열매는 시과, 길이 2-3cm, 둔각으로 벌어진다. [1]
교목으로, 낙엽성이며, 웅성일가화성이고, 키 약 5m이다. 수피는 매끈하다. 소지는 가늘며, 무모이다. 동아는 자색이고, 타원형이며, 기부에 자루가 있고, 아린은 2쌍이다. 잎은 단엽이며, 엽병은 자색이고, 길이 5-7cm이며, 투명한 수액을 함유한다. 엽신은 삼각상 난형이고, 깊게 5열 또는 드물게 3열하며, 6-10×6-8cm, 종이질이고, 엽저는 심장저 또는 아심장저, 엽연은 복소예거치연이며, 상면은 무모, 하면은 연녹색으로, 맥액에 적갈색 털이 있고, 주맥은 5개이다. 엽신의 중앙열편은 난형으로, 선단은 점첨두이며, 측열편은 삼각상 난형으로, 중앙열편과 크기가 비슷하고, 기부열편은 난형으로, 선단은 둔두이다. 화서는 잎이 달리는 소지에 정생하며, 총상화서이고, 5-7(-10)개의 꽃으로 이루어지며, 소화경은 길이 0.7-1cm이고, 가늘며, 무모이다. 악편은 5장, 난상 장타원형이다. 화판은 5장, 도란상 타원형이고, 악편보다 약간 길다. 수술은 8개, 무모이며, 기능적 암꽃의 경우 짧고, 밀선반은 무모이며, 편평하고, 수술 내측에 있다. 자방은 어릴 때 적자색이다. 소견과는 편평하며, 약 8×5mm이고, 평활하며, 표면에 맥이 약간 발달하고, 날개는 소견과를 포함하여 2-2.5×1-1.2cm이며, 둔각으로 벌어진다. [2]
높이 5~8m, 줄기는 밑에서 많이 갈라지고, 어린 가지는 붉은빛을 띤다. 잎은 마주나며, 긴 난형, 3~5갈래로 갈라지고, 길이와 폭이 각각 5~10cm쯤이다. 잎자루는 길이 2~5cm, 붉은빛이 돈다. 꽃은 가지 끝의 길이 6~8cm 총상꽃차례에 5~10개가 달리며, 노란색이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장이다. 열매는 시과, 길이 2~3cm, 직각으로 벌어진다. [3]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분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1]
함북, 함남, 평북, 평남, 강원, 전북(덕유산), 전남(지리산). [2]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3]
러시아 극동지방, 중국 동북지방 [1]
러시아, 중국 [2]
러시아, 중국(동북부) [3]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생태
개화기: 5월(결실기 9월). [2]
낙엽 작은키나무이다. 꽃은 5~7월에 핀다. [3]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이용 및 활용
가구재, 관상용 [3]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해설
세계적으로 분포역이 좁은 식물이며, 정원수로서 가치가 높은 생물자원이기 때문에 해외반출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1]
청시닥나무(A. barbinerve Maxim.)에 비해 잔가지에 털이 없고 잎자루는 붉으므로 구분되며, 부게꽃나무(A. ukurunduense Trautv. & C. A. Mey.)에 비해서 총상꽃차례는 길이 6~8cm로서 짧으므로 구분된다. [3]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2018),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선정 연구 2단계 3차년도
[2] 국립생물자원관(2017), 한국생물지발간연구
[3]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국가생물종목록
분포지도
번호 | 자원번호 | 자원유형 | 채집지 | 채집일 |
---|---|---|---|---|
1 | NNIBRVP72383 | 건조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 1983-05-20 |
2 | NNIBRVP72691 | 건조 |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 2003-05-12 |
3 | NNIBRVP72692 | 건조 |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 2003-05-12 |
4 | NNIBRVP72728 | 건조 |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34 | 1999-05-20 |
5 | NNIBRVP98663 | 건조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109 | 2011-07-04 |
6 | NNIBRVP110509 | 건조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 2007-04-27 |
7 | NNIBRVP110510 | 건조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 2007-07-17 |
8 | NNIBRVP111263 | 건조 | 강원도 양양군 서면 갈천리 | 2006-07-07 |
9 | NNIBRVP111264 | 건조 | 강원도 양양군 서면 갈천리 | 2006-07-07 |
10 | NNIBRVP111274 | 건조 | 경기도 남양주시 호평동 | 2006-08-03 |
11 | NNIBRVP124884 | 건조 |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 2012-06-01 |
12 | NNIBRVP124885 | 건조 |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 2012-06-01 |
13 | NNIBRVP124886 | 건조 |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 2012-06-01 |
14 | NNIBRVP134182 | 건조 |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산2-140 | 2024-05-24 |
15 | NNIBRVP134183 | 건조 |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산2-140 | 2024-05-24 |
16 | NNIBRVP134184 | 건조 |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산2-140 | 2024-05-24 |
17 | NNIBRVP134293 | 건조 |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산2-140 | 2024-05-24 |
18 | NNIBRVP134303 | 건조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산 12-21, 설악산 | 2024-06-07 |
19 | NNIBRVP134304 | 건조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산 12-21, 설악산 | 2024-06-07 |
20 | NNIBRVP134305 | 건조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산 12-21, 설악산 | 2024-06-07 |
배양체
은행번호 | 학명,국명 | 분류군 | Strain no. | 동정자 | 채집정보 | 배양조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배지 | 온도 | pH | 산소요구성 | 광도 | 명암주기 | |||||||
No results. |
추출물
은행번호 | 학명,국명 | 채집지정보 | 제작정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추출용매 | 추출방법 | 추출부위 | 농도(mg/ml) | 제조일 | 제작자 | ||||
No results. |
조직
조직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채집일 | 채집지 | 조직부위 | 보존방법 |
---|---|---|---|---|---|---|
No results. |
DNA
DNA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Collection date | Collection location | 보존액 | 농도(ng/ul) | 순도(260/280) | 용량(ul) |
---|---|---|---|---|---|---|---|---|
No results. |
유전정보 번호 | 자원번호 | 분류군 | 학명,국명 | Strain no. | 프라이머셋명 | 근연종 | 유사도 (%) | 상세보기 |
---|---|---|---|---|---|---|---|---|
No results. |
종류 | |
---|---|
NCBI | |
유전자서열 |
Useful Code | 자원번호/은행자원번호 | 분류군 | Scientific name,Korea name | 유용성분야 | 유용성실험 | 상세보기 |
---|---|---|---|---|---|---|
No results. |
유전정보
유용성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