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매치
개요
크기는 5~6cm다. 모래무지와 비슷하나 머리가 다소 뭉툭한 점이 다르다. 돌마자에 비하여 주둥이가 짧고 둔하다. 옆줄을 따라 7~8개의 흑색 반점이 있다. 가슴지느러미, 등지느러미 및 꼬리지느러미에 작은 흑점이 흩어져 있다. 주둥이의 등쪽, 눈 밑, 아가미뚜껑 등에도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반점이나 줄무늬가 있다. 산란기의 수컷은 온몸이 검은 갈색으로 변할 뿐만 아니라 각 지느러미의 살까지 검은 갈색으로 변한다. 하천 중류의 물살이 빠르지 않고 바닥에 모래나 자갈이 깔린 여울에 서식하며 부착조류를 먹는다. 산란기는 5~6월이다. 한국 고유종으로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에 널리 분포한다.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형태
체장은 6~8cm로 소형이며, 체형은 돌마자와 비슷하다. 등지느러미 기조수 7개, 뒷지느러미 기조수 5~6개, 측선 비늘수 34~37개 및 척추골수 36~37개다. 머리는 작고 약간 납작하며 주둥이는 짧고 둔하다. 입은 주둥이 밑에 초승달 모양으로 되어 있고, 입술은 두꺼우나 피질 소돌기가 없으며, 짧은 수염 1쌍이 있다. 눈은 비교적 크며 머리 위쪽에 있다. 측선은 완전해 거의 직선에 가깝지만 전반부는 배 쪽으로 약간 굽어 있다. 등지느러미 가장자리는 약간 오목하거나 거의 직선이다. 몸은 은갈색 바탕에 등 쪽은 약간 짙으며, 배 쪽은 밝은 색이다. 몸의 상단부에는 작고 검은 점이 산재하고, 체측 중앙에는 불분명한 검은색 반점이 측선을 따라 7~8개 배열되어 있다. 가슴지느러미, 등지느러미 및 꼬리지느러미에는 작고 검은 점이 산재되어 있다. 산란기의 수컷은 몸이 흑갈색으로 변한다(Banarescu and Nalbant 1973, 김 1997, 김과 박 2007). [1]
전체적인 생김새는 돌마자와 흡사하다. 옆줄을 따라 7~8개의 흑색 반점이 있다. 가슴지느러미, 등지느러미 및 꼬리지느러미에는 작은 흑점이 흩어져있다. 크기는 5~6cm이다. [2]
등지느러미 기조수 iii 7, 뒷지느러미 기조수 iii 5~6, 측선비늘수 34~37 척추골 수 36~37. 머리는 작고 납작하며, 주둥이는 뭉툭하다. 입은 아래쪽에 있고, 버들매치보다 더 말굽 모양이다. 아랫입술 가운데 구엽이 잘 발달. 눈은 크고 수염은 작다. [3]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분포
고유종으로 동해로 흐르는 하천을 제외한 대부분의 하천 중·하류에 분포한다(김 1997, 김과 박 2007). [1]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각 하천 [2]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 [3]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생태
모래나 펄이 깔려 있고, 물살이 그다지 빠르지 않은 여울의 바닥 가까이에서 부착조류와 수서곤충의 유충을 먹는다. 5~6월이 산란성기이며 산란은 2년생부터 시작한다(김 1997, 김과 박 2007). 1년생은 전장 50mm, 2년생은 60mm, 3년생은 70~80mm까지 성장한다. [1]
주로 부착조류를 섭식하며 산란기는 5~6월이다. [3]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해설
고유종으로 동해로 흐르는 하천을 제외한 대부분의 하천 중·하류에 분포한다. 모래나 펄이 깔려 있고, 물살이 그다지 빠르지 않은 여울 바닥에서 부착조류와 수서곤충의 유충을 먹는다.
Banarescu and Nalbant(1973)에 의해 처음 기재되었다. Hosoya(1986)은 Biwia속으로 전속할 것을 주장했고, 강(1991)은 골격과 근육형태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Microphysogobio속으로 전속할 것을 주장했다. 최근 분자계통학적 연구는 강(1991)의 주장을 잘 지지하고 있어(Kim and Bang 2010), 추후 전속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멸종위기 평가 결과: NT
절멸위기에 처해 있지는 않으나, 환경오염, 하천 개발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어 감소하고 있다. [1]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집
[2] 국립생물자원관(2010),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자료집
[3]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고유종특성평가및총람발간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국가생물종목록
분포지도
번호 | 자원번호 | 자원유형 | 채집지 | 채집일 |
---|---|---|---|---|
1 | NNIBR-P14856 | 액침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월기리 297−11 | 2019-02-15 |
2 | NNIBR-P22314 | 액침 |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 모곡리 737−4 | 2020-06-06 |
3 | NNIBR-P22315 | 액침 |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 모곡리 737−4 | 2020-06-06 |
4 | NNIBR-P22316 | 액침 |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 모곡리 737−4 | 2020-06-06 |
5 | NNIBR-P22317 | 액침 |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 모곡리 737−4 | 2020-06-06 |
6 | NNIBR-P22318 | 액침 |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 모곡리 737−4 | 2020-06-06 |
7 | NNIBR-P22319 | 액침 |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 모곡리 307−1 | 2020-09-05 |
8 | NNIBR-P22320 | 액침 |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 모곡리 307−1 | 2020-09-05 |
9 | NNIBR-P22321 | 액침 |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 모곡리 307−1 | 2020-09-05 |
10 | NNIBR-P22322 | 액침 |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 모곡리 307−1 | 2020-09-05 |
11 | NNIBR-P22323 | 액침 |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 모곡리 307−1 | 2020-09-05 |
12 | NNIBR-P22324 | 액침 |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 모곡리 307−1 | 2020-09-05 |
13 | NNIBR-P22325 | 액침 |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 모곡리 307−1 | 2020-09-05 |
14 | NNIBR-P22326 | 액침 |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 모곡리 307−1 | 2020-09-05 |
15 | NNIBR-P22327 | 액침 |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 모곡리 307−1 | 2020-09-05 |
16 | NNIBR-P22339 | 액침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대덕리 120 | 2020-09-05 |
17 | NNIBR-P22529 | 액침 | 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 용곡리 693 | 2017-11-07 |
18 | NNIBR-P22530 | 액침 | 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 용곡리 693 | 2017-11-07 |
19 | NNIBR-P24684 | 액침 | 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 용곡리 548−1 | 2017-11-07 |
20 | NNIBR-P24685 | 액침 | 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 용곡리 548−1 | 2017-11-07 |
배양체
은행번호 | 학명,국명 | 분류군 | Strain no. | 동정자 | 채집정보 | 배양조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배지 | 온도 | pH | 산소요구성 | 광도 | 명암주기 | |||||||
No results. |
추출물
은행번호 | 학명,국명 | 채집지정보 | 제작정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추출용매 | 추출방법 | 추출부위 | 농도(mg/ml) | 제조일 | 제작자 | ||||
No results. |
조직
조직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채집일 | 채집지 | 조직부위 | 보존방법 |
---|---|---|---|---|---|---|
No results. |
DNA
DNA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Collection date | Collection location | 보존액 | 농도(ng/ul) | 순도(260/280) | 용량(ul) |
---|---|---|---|---|---|---|---|---|
No results. |
유전정보 번호 | 자원번호 | 분류군 | 학명,국명 | Strain no. | 프라이머셋명 | 근연종 | 유사도 (%) | 상세보기 |
---|---|---|---|---|---|---|---|---|
No results. |
종류 | |
---|---|
NCBI | |
유전자서열 |
Useful Code | 자원번호/은행자원번호 | 분류군 | Scientific name,Korea name | 유용성분야 | 유용성실험 | 상세보기 |
---|---|---|---|---|---|---|
No results. |
유전정보
유용성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