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들매치
개요
몸길이는 8~12cm이다. 입에 굵고 짧은 1쌍의 수염이 있다. 눈 앞부분은 오목하며 눈은 작고 머리의 중앙에 있다. 옆줄은 거의 일직선이다. 등지느러미의 기점은 배지느러미 기점보다 약간 앞쪽에 있다. 수컷의 등지느러미 후연은 둥글다.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형태
체장은 8~12cm이며, 체형은 모래무지와 매우 유사하지만 더 뭉툭하다. 등지느러미 기조수 7개, 뒷지느러미 기조수 5개, 측선 비늘수 36~39개, 새파수 10~15개 및 척추골수 30~31개다. 머리는 크지만 주둥이는 짧은 편이고, 입은 주둥이 끝 아래쪽에 있다. 입술은 두터운 육질로 되어 있고, 피질 돌기가 없이 민틋하며, 입가에는 굵고 짧은 수염 1쌍이 있다. 머리의 눈 앞부분은 오목하며, 눈은 작고 머리 중앙에 있다. 측선은 거의 직선이다. 산란기의 수컷 성어는 아가미덮개, 주둥이와 눈의 열이 뚜렷하다. 몸은 옅은 갈색으로 등 쪽은 어둡고 배 쪽은 은백색에 가까우며, 몸 옆 중앙에는 안와 크기의 불분명한 흑갈색 반점이 8~9개 배열되어 있다. 각 지느러미는 담황색으로 가슴지느러미에는 약간의 검은색 반점이 있고,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에는 검은색 줄무늬가 있다. 산란기 수컷은 등 쪽이 남색이고, 배지느러미는 주황색을 띤다(Uchida 1939, 김 1997, 김과 박 2007). [1]
입에 굵고 짧은 1쌍의 수염이 있으며 눈 앞부분은 오목하며 눈은 작고 머리의 중앙에 있다. 측선은 거의 일직선이며 등지느러미의 기점은 배지느러미 기점보다 약간 앞쪽에 있다. 수컷의 등지느러미 후연은 둥글다. 크기는 8~12cm이다. [2]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분포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에 분포한다(김 1997, 환경부 1997-2009). [1]
한국 [2]
중국과 일본에 분포한다(김 1997, 김과 박 2007). [1]
중국, 일본 [2]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생태
잡식성으로 실지렁이, 동물성 플랑크톤, 수서곤충, 식물 종자 등을 먹는다. 산란기는 4~6월이고, 수정란은 수온 15~17℃에서 6일이 지나면 부화해 전장 4.0mm가 되고, 부화 후 3일이 되면 입이 형성된다. 부화 후 6일째 전장 5.6mm가 되면 턱이 완성되고, 10일째 전장 10.3mm 정도가 되어 등지느러미 기조수가 정수가 된다. 전장은 1년생 수컷이 80~90mm, 암컷이 70~80mm가 되며, 2년생은 대부분이 성숙한다(김 1997, 김과 박 2007).
산란장은 유속이 완만하고 수초가 있으며, 수심이 10~50cm가 되는 진흙 바닥이다. 수컷은 직경 20~40cm, 깊이 3~5cm의 산란장을 만들고 접근하는 물고기를 적극적으로 방어한다. 그러나 알을 가진 암컷이 들어오면 쫓아 내지 않고 쌍을 이루어 산란장을 빙글빙글 돌면서 산란 행동을 보인다. 수정 후에도 수컷은 산란장에 남아 진흙 덩어리를 입에 넣고 아가미구멍으로 뿜어내는 행동을 되풀이하면서 청소하고 부화한 새끼가 클 때까지 보호한다. [1]
모래나 진흙 속을 파고 들어가서 몸을 묻기도 한다. 산란기는 4∼6월이고, 산란장은 유속이 완만하고 수초가 있으며, 수심 10~50cm 정도의 진흙 바닥이다. [3]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해설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에 서식한다. 유속이 완만하고 바닥에 모래나 진흙이 깔려 있는 하천이나 저수지에 산다. 잡식성으로 동물성 플랑크톤이나 수서곤충을 먹는다. 최근 하천개발 등으로 인해 서식지 파괴되어 감소하고 있다.
멸종위기 평가 결과: NT
최근 무분별하게 진행되고 있는 하천개발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될 우려가 있다. [1]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집
[2] 국립생물자원관(2010),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자료집
[3]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Source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Biodiversity on the Korean Peninsula(species.nibr.go.kr)"]
국가생물종목록
분포지도
번호 | 자원번호 | 자원유형 | 채집지 | 채집일 |
---|---|---|---|---|
1 | NNIBR-P2883 | 액침 |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기동리 410−43 | 2012-04-01 |
2 | NNIBR-P2884 | 액침 |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기동리 410−43 | 2012-04-01 |
3 | NNIBR-P2885 | 액침 |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기동리 410−43 | 2012-04-01 |
4 | NNIBR-P2886 | 액침 |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기동리 410−43 | 2012-04-01 |
5 | NNIBR-P2887 | 액침 |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기동리 410−43 | 2012-04-01 |
6 | NNIBR-P2888 | 액침 |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기동리 410−43 | 2012-04-01 |
7 | NNIBR-P2889 | 액침 |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기동리 410−43 | 2012-04-01 |
8 | NNIBR-P2890 | 액침 |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기동리 410−43 | 2012-04-01 |
9 | NNIBR-P2891 | 액침 |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기동리 410−43 | 2012-04-01 |
10 | NNIBR-P2892 | 액침 |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기동리 410−43 | 2012-04-01 |
11 | NNIBR-P2893 | 액침 |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기동리 410−43 | 2012-04-01 |
12 | NNIBR-P7003 | 액침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1803 | 2017-08-31 |
13 | NNIBR-P7004 | 액침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1803 | 2017-08-31 |
14 | NNIBR-P7005 | 액침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1803 | 2017-08-31 |
15 | NNIBR-P7006 | 액침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1803 | 2017-08-31 |
16 | NNIBR-P7007 | 액침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1803 | 2017-08-31 |
17 | NNIBR-P7008 | 액침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1803 | 2017-08-31 |
18 | NNIBR-P7009 | 액침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1803 | 2017-08-31 |
19 | NNIBR-P7010 | 액침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1803 | 2017-08-31 |
20 | NNIBR-P7011 | 액침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1803 | 2017-08-31 |
배양체
은행번호 | 학명,국명 | 분류군 | Strain no. | 동정자 | 채집정보 | 배양조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배지 | 온도 | pH | 산소요구성 | 광도 | 명암주기 | |||||||
No results. |
추출물
은행번호 | 학명,국명 | 채집지정보 | 제작정보 | 상세보기 | ||||||||
---|---|---|---|---|---|---|---|---|---|---|---|---|
채집환경 | 채집일 | 채집지 | 추출용매 | 추출방법 | 추출부위 | 농도(mg/ml) | 제조일 | 제작자 | ||||
No results. |
조직
조직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채집일 | 채집지 | 조직부위 | 보존방법 |
---|---|---|---|---|---|---|
No results. |
DNA
DNA번호 | 자원유형 | 분류군 | Collection date | Collection location | 보존액 | 농도(ng/ul) | 순도(260/280) | 용량(ul) |
---|---|---|---|---|---|---|---|---|
No results. |
유전정보 번호 | 자원번호 | 분류군 | 학명,국명 | Strain no. | 프라이머셋명 | 근연종 | 유사도 (%) | 상세보기 |
---|---|---|---|---|---|---|---|---|
No results. |
종류 | |
---|---|
NCBI | |
유전자서열 |
Useful Code | 자원번호/은행자원번호 | 분류군 | Scientific name,Korea name | 유용성분야 | 유용성실험 | 상세보기 |
---|---|---|---|---|---|---|
No results. |
유전정보
유용성정보